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논리와 비판적 사고
· ISBN : 978899113621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9-09-10
책 소개
목차
1장 삶엔 허튼소리가 그득하다
2장 감정의 언어-교묘하게 설득하기
연민에 호소한다/특별한 대우를 바란다/죄의식에 호소한다/공포에 호소한다/희망에 호소한다/아첨한다/신분에 호소한다/시류에 호소한다/애정에 호소하고, 신뢰에 호소한다/자부심이나 충성심에 호소한다/성실함에 호소한다/대중에게 호소한다
3장 감정의 언어-선전하고 선동하기
시류에 호소한다(재론)/반복한다/자신감을 과시한다/성실하고 참된 태도를 보인다/지나치게 단순화한다/낙인찍는다/전형화한다/미사여구를 늘어놓는다/구호로 유혹한다/감정을 전이시킨다/유명인의 증언을 딴다/보통사람임을 강조한다/속물근성을 자극한다/뜬금없이 통계를 인용한다/큰 숫자에 기댄다/나쁜 놈, 희생양을 만들어낸다/터무니없이 왜곡한다/명령을 내린다
4장 감정의 언어-암시하기
힌트를 띄운다/한 부분을 강조한다/증거를 골라서 제시한다/어조를 바꾼다/표현법을 조절한다/단어를 선별한다/비유를 쓴다/나란히 놓아 왜곡한다/무관한 세부사항을 거론한다/이미지 개선용 단어를 쓴다/과시하는 언어를 쓴다/부정적 이미지의 단어를 쓴다/유도신문을 한다
5장 논리의 속임수를 간파하기
논증/논증의 오류/논증의 건전성과 비건전성/삼단논법 이해하기/은폐된 전제들/형식적 오류
6장 관계없는 얘기로 빗나가기
대인논증: 인신공격을 한다/지위나 입장을 비난한다/주변관계를 비난한다/우물에 독약을 탄다
책임전가: 피장파장임을 내세운다/반문한다/
부적절한 이유:전제와 무관하게 결론짓는다/무관한 세부사항을 거론한다/힘에 호소한다/무지에 호소한다
부적절한 권위:“그가 그렇게 말했어.”/과거 또는 과거의 권위에 호소한다/막연한 권위에 호소한다/선험적으로 논증한다/믿음에 호소한다 성역에 호소한다/아포리즘, 고사성어, 슬로건, 속담, 상투어를 동원한다/전문용어를 구사한다/전통과 선례에 호소한다/어원을 들먹인다
숫자의 악용:평균치로 장난친다/퍼센트로 현혹한다/표본추출에서 속인다/모호한 통계에 기댄다
확신에 찬 억측:개인적으로 보증한다/경험을 내세운다/도미노 이론을 동원한다/신과 같은 전지성에 호소한다/억측과 사실을 혼동한다
7장 논점에서 일탈하기
훈제 청어:유머, 비꼼, 조롱, 빈정거림, 패러디, 제스처를 활용한다/재치 있는 말을 던진다/비유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인다/엄포를 놓아 수세로 몬다/자잘하게 트집 잡는다/ 모르는 체한다
허수아비:상대의 생각을 확대 해석한다/상대가 말하지 않은 것을 말한 것으로 만든다/사례를 물고 늘어진다/대안을 물고 늘어진다/문제를 바꿔치기 한다
8장 애매성과 부정확한 추론
말의 다의성을 이용한다/불명확하게 표현한다/애매한 어조로 말한다/반어로 말한다/한 부분을 강조한다(재론)/맥락을 무시하고 인용한다/선택적으로 인용한다/보잘것없는 칭찬으로 혹평한다/애매한 구문을 쓴다/애매한 문법으로 말한다/나란히 놓아 왜곡한다(재론)/생략삼단논법을 구사한다
9장 혼동과 부정확한 추론
단어나 어구를 혼동한다/다의성으로 헛갈리게 한다/호언장담으로 위장한다/이중잣대, 이중사고를 휘두른다/좁은 시야로 본다/순환적으로 논증한다
잘못된 추론에 대하여
부정과 반대를 혼동한다/합성하여 오판한다/분할하여 오판한다/부당하게 나누고 더한다/공유하는 특징으로 단정한다/의견·추론·추측·의향을 사실로 취급한다/일부와 전체를, 하나와 대다수를 혼동한다
10장 원인과 결과의 혼동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기여조건을 혼동한다/간접원인과 직접원인을 혼동한다/자기 행위를 정당화한다/원인과 결과를 뒤집는다/전후관계를 인과관계로 착각한다/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에서 인과관계를 본다/거짓 원인을 상정한다/거짓 결론을 내린다
11장 지나친 단순화
일반론을 무조건 적용한다/복합 질문을 던진다/양자택일, 흑백논리를 강요한다/입맛대로 분류한다/결론으로 비약한다/수염의 오류를 저지른다/절대어를 좋아한다/거짓 중용 취한다/순환적으로 정의한다/타락의 오류로 회피한다/복귀의 오류로 회피한다/시간의 오류로 회피한다/더 나쁜 일과 비교한다/결의가 부족하다고 탓한다/이상주의를 내뿜는다/침묵하면 동의하는 것으로 친다/거짓 딜레마를 제시한다
12장 잘못된 비교와 대비
유비를 악용한다/통계로 비튼다/부적절하게 대비한다/부당하게 대비한다/일관성을 무시하거나 맹신한다
13장 둘러대기
진실을 반쪽만 말한다/물음에 애매하게 답한다/위장해서 답한다/우유부단하게 질질 끈다/한 걸음씩만 나아가자고 한다/가정이 너무 많다고 한다/도미노 이론을 동원한다(재론)/상대의 비난을 다르게 표현한다/전통과 선례를 맹종한다/질문을 바꿔서 답한다
14장 내가 왜 논쟁을 하고 있지?
15장 이 뜻이냐 저 뜻이냐
의미론적인 애매함/애매한 구문/애매한 접속어/애매한 병치/양쪽과 한쪽의 애매함/전부와 일부의 애매함/포괄과 택일의 애매함/이쪽이 참이면 저쪽은 거짓?/가정이나 조건의 애매함/후건 긍정의 오류/전건 부정의 오류/조건의 연쇄
16장 삼단논법을 더 알기
삼단논법의 세 항/전칭/특칭, 주연/부주연/전부/일부, 긍정/부정/ 삼단논법과 벤 다이어그램/ 중개념 부주연의 오류/부당 주연의 오류/삼단논법 검토 기법 ①-벤 다이어그램/ 삼단논법 검토 기법 ②-개념 대체/삼단논법 검토 기법 ③-규칙 대조/삼단논법 검토 기법 ④-형식 목록 참조
17장 조심하라, 조심하라
옮긴이의 말 / 허튼 소리 당찬 논리, 신나는 토론
리뷰
책속에서
강조의 오류와 연관된 또 하나의 왜곡 형태는 내용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인용하기'다. 어느 영화 광고가 이렇게 주장한다.
"누구나 이 영화를 극찬다. <무비 배거진>의 평론가는 이 영화가 '불가사의'하고 '믿기 어려우며' 또한 '최면술을 거는 듯한' 작품이라고 했다. 그녀는 이 영화의 충격을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 모르겠다고도 했다."
영화평의 실제 문구는 이렇다.
"이 영화는 불가사의하고 믿기 어려운 작품이다. 어떻게 이런 쓰레기가 할리우드에서 나올 수 있는 믿기 어렵다. 영화가 준 충격을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 모를 정도지만, 굳이 말을 찾자면 장황하고 따분하며 최면술을 거는 듯한 작품이라 하겠다. 나를 잠재웠으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