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9120496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1-12-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재무분석의 기본 포인트
회계 초보자가 가장 쉽게 하는 재무분석
모든 기업이 공통적으로 하는 세 가지 활동
대체 왜 재무제표를 만드는 걸까?
현금흐름관리란?
현금흐름을 보면 회사의 실태가 보인다
재무3표는 연관되어 있다
재무분석을 할 때 꼭 봐야 하는 것들
제2장 재무3표만 알면 분석할 수 있다
주요 숫자에 집중하라
재무분석을 하는 3단계 과정
1. 재무3표에서 중요 데이터를 뽑아라
일단 그래프로 만들어라 |재무분석지표의 계산식 | 재무분석의 5단계 | 재무상태표를 그래프로 만드는 이유 | 흐 름이 보이는 그래프 그리기 | 진짜 현금흐름을 확인하라 | 네 가지 재무분석지표 | 재무분석의 기본 단계 총정리
2. 동종업계의 회사들과 비교하라
기업의 정확한 재무상태를 파악하려면 | 마쓰다 vs. 미쓰비시 |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로 확인하는 미쓰비시의 재무 구조조정 | 마쓰다와 스즈키, 도요타, 닛산, 스바루까지 | 업계의 표준치를 확인하라 | 전체 상장기업의 평균치를 확인하라
3. 기간 비교를 해야 기업의 성장이 보인다
확실하게 달라진 마쓰다의 재무상태 |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로 확인하는 미쓰비시의 재무 구조조정 | 마쓰다와 미쓰비시, 어떻게 달라졌는가 | 비교를 해야 업계의 흐름이 보인다 | 기업의 성장성을 확인하는 방법
제3장 재무3표의 흐름을 통한 실제 재무분석
1. 전자업계_ 파나소닉 vs. 산요전기 vs. 샤프
재무 상태를 확인하는 두 가지 포인트 | 이익잉여금과 유이자부채 | 규모는 큰데 이익이 적다고?
2. 백화점업계_ 미쓰코시 vs. 이세탄
미쓰코시와 이세탄의 통합 이유 | 현금 장사를 하는 회사들의 유동비율
3. 외식업계_ 요시노야 vs. 스키야
M&A로 빠르게 몸집을 불린 젠쇼 | 장기차입금이 많으면 유동부채가 늘기 쉽다
4. 이동통신업계_ 소프트뱅크 vs. NTT 도코모
보다폰 인수로 유이자부채가 급증한 소프트뱅크 | 레버리지란 대체 무엇인가? | 도코모의 재무현금흐름 확인하기
5. 정보통신업계_ 라이브도어 vs. 라쿠텐
분식회계를 간파할 수 있는가? | 이상한 방식으로 돈을 번 라이브도어
6. 상사업계_ 미쓰비시상사 vs. 미쓰이물산
종합상사는 ‘투자자로서의 비즈니스’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 상사들의 경영 전략 변화
7. 금융업계_ 미즈호 vs. 미쓰이 스미토모 외
은행은 총자본회전율이 낮다 | 자동차회사의 금융 비즈니스 | 소니의 금융 비즈니스
8. 재무분석의 핵심 포인트
분석지표의 계산보다 전체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라 | 표준치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여라 | 재무분석을 하면 경영자의 생각이 보인다
제4장 흐름이 보이는 재무분석 그래프
1. 재무분석 그래프 만드는 법
재무 데이터를 준비한다 |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의 그래프를 그린다 |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기간비교표를 만든다 | 한 회사의 1기분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를 만든다
2. ROE와 레버리지 비율
한눈에 보는 재무분석지표 계산식 | 꼼꼼히 알아야 할 재무분석지표
제5장 실전에서 활용하는 재무제표 흐름 읽는 법
1. ‘연결’을 알면 ‘소수주주지분’의 의미가 보인다
연결재무제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전체연결과 지분법연결
2. 얼마를 배당받는게 좋을까?
3. 개인투자자에게 중요한 지표들
리뷰
책속에서
회계 전문가가 아닌 우리 같은 사람이 재무제표를 만들 필요는 없다. 우리는 그저 재무제표를 읽을 줄만 알면 된다. 그렇다면 세부적인 회계 규칙을 외우기보다 전체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다. ‘재무3표 시스템’은 회계의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돈을 어떻게 모았는가는 재무상태표의 대변, 모은 돈을 무엇에 투자했는가는 재무상태표의 차변에 나타낸다. 그리고 손익계산서를 보면 회사가 어떻게 이익을 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사업 전체의 효율성을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ROE(자기자본이익률)이다. ROE는 사업 전체 과정에 따라 레버리지비율과 총자본회전율, 당기순이익률이라는 세 가지 분석지표로 세분화할 수 있다. 결국 결산서를 분석할 때 중요한 지표는 ROE와 레버리지비율, 총자본회전율, 당기순이익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