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9135854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8-11-05
책 소개
목차
나는 당신을 만나 행복합니다
-메마른 세상에서 행복 찾아 떠난 감사 여행
추천사/이강천; 행복한 삶으로 안내해주는 책
추천사/강준민; 감사의 에세이요, 감사의 시요, 감사의 노래다
추천사/지형은; 부정적 정서의 결박을 끊고 감사의 땅으로 전진한 체험
# Prologue (들어가는 말)
# INVITATION : 당신이 행복해지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1) 행복여행에 당신을 초대하며
(2) 행복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한다
(3)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4) 감사하면 정말 행복해질 수 있는가
(5) 가진 것은 없어도 행복하다
# DEFINITION : 나는 감사운동을 이렇게 생각한다.
(1) 감사운동은 사람을 살리는 운동인데...
(2) 감사운동은 하이애나 운동이다
(3) 감사운동은 나작지 운동이다.
(4) 감사운동은 30배 60배 100배의 결실 운동이다
(5) 감사운동은 독서와 닮은 데가 많다
# HOW : 나는 이렇게 감사한다.
(1) 1532 감사저널의 태동
(2) 나는 1532로 감사한다
(3) 범사에 감사하기
(4) 작은 것에 감사하기
(5) 오밀조밀 감사하기 1
(6) 오밀조밀 감사하기 2
# POWER : 나는 감사의 힘을 믿는다.
(1) 무엇이 이렇게 사람을 다르게 만드는가
(2) 절망과 싸워 이기다
(3) 소록도 사람들의 감사이야기
(4) 헬렌켈러의 감사이야기
(5) 공감하던 아버지의 자리
# FAILURES STORY : 성서 속 감사의 실패이야기를 통해
(1) 아담과 이브의 실패이야기
(2) 가인과 아벨의 실패이야기
(3) 타락한 인류의 족보이야기
(4) 롯이 살던 소돔과 고모라성에서
(5) 팥죽 가마 곁의 에서와 야곱의 실랑이
# MIRACLE : 나는 감사로 기적을 보았다.
(1) 감사는 중독이 없다 다만 치유가 있을 뿐이다
(2) 넘치는 감사로 행복한 삶 누리기
(3) 고질적인 아토피가 낫다
(4) 아내의 갑상선 이상이 치유되다
(5) 첫 딸의 베체드병이 낫다
# ENVIRONMENT : 나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감사했다.
(1) 생각의 틈새를 만들자
(2) 아주 특별한 성탄선물_마티즈
(3) 아내의 특별한 봉사
(4) 넥 워머가 있어 더욱 감사합니다
(5) 험한 세상에 다리 되어
# Epilogue(나가는 말)
# 부록 / 우리가족의 감사밴드 이야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행복이란 녀석은 그것을 노래해서 찾아지는 게 아니다. 바로 이것이 문제이다. 행복과는 전혀 다른 체계, 행복과는 전혀 생소한 언어, 그것이 감사(感謝)이다. 행복과 감사의 함수관계를 알아야 한다. 우리는 정확하게는 감사할 수 있는가. 그것도 매일 습관적으로 감사를 노래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감사를 노래하면 행복이 온다는 것이다. 나는 소록도의 사람들에게서 감사를 보았다. 절망할 것 같은 시각 장애인에게서도 감사를 보았다. 영어(囹圄)의 세계에 사는 재소자들에게서도, 하늘을 지붕 삼아 살아가는 노숙자에게서도 감사를 보았다. 감사를 회복한 사람들은 결국 행복을 노래한다. 감사를 잊은 사람들은 행복을 말하기는커녕 틈만 있으면 죽으려고 자살을 시도한다. 이 사슬은 끊어내야 한다. 그래야 대한민국의 자살소동 한해의 자살자 수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보다 약 3배에 달해 1만3천명을 넘는다.
을 끝낼 수 있다.
우선, 감사운동 이야기에 앞서 감사(感謝)의 의미를 알아보자. 먼저 한자풀이로 볼 때 느낄 감(感)에 사례할 사(謝)자를 쓴다. 감(感)은 느낌이나 생각을 말할 때 사용하는 글자이다. 사(謝)는 인사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사전적으로는 ‘상대방에게 고마움을 담아 인사한다.’고 할 때 사용하는 단어다. 그런데 사례할 사(謝)를 찬찬히 뜯어보면 무엇인가가 더욱 분명하게 다가온다. 감사란 감사하다는 말(言)뿐만 아니라 몸(身)과 마디마디(寸)를 굽히고 접어서 인사한다는 의미다.
왜 그때 감사를 잃어버렸을까? 감사운동이란 무엇인가. 감사운동의 정의를 묻고자 함이 아니다. 하지만 감사운동은 ‘나작지’운동이라 하겠다. 이는 감사에 대한 정의가 아니라 성격을 말함이다. 나를 회복하고 나로부터 시작하며, 작은 것을 회복하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며, 지금을 회복하고 지금부터 실행하자는 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