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기타
· ISBN : 9788991373495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09-04-3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본래의 마음’을 향한 심리치유의 빛
CHAPTER 01 ‘아홉 가지 심리치유의 원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01. 응석과 치유의 밀접한 관계
02. 자신에 대한 본능적 욕구의 충족
03. ‘열심히 해라’가 아니라 ‘열심히 했구나’
04. 긍정적 삶을 부르는 치유의 효과
CHAPTER 02 왜 마음에 행복과 평화가 없을까?
01. 울고 싶은 마음, 매정한 사회
02. 스스로를 비하하는 잘못된 버릇
03. 우울한 마음을 근원적으로 낫게 하는 방법
04. 반드시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생각
CHAPTER 03 뇌가 행복과 평화를 만드는 방법
01. 걱정과 불안을 야기시키는 변연계
02. 뇌 기능의 원리 1 _ 우울증과 혈류량
03. 뇌 기능의 원리 2 _ 소실되는 시냅스
04. 뇌 기능의 원리 3 _ 감정은 사고에, 사고는 감정에
05. ‘걱정의 신경’과 운동
06. 자신의 미래를 너무 염려할 때
07. 무인도에서의 사고방식
CHAPTER 04 아홉 가지 심리치유의 비밀
01.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첫 번째 아름다운 추억
두 부자(父子)의 미국 생활
망향의 멜로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기억의 파일
02.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두 번째 따뜻한 믿음의 언어
악행의 결과
긍정 사상과 인과의 법칙
긍정적인 말이 주는 혜택
인생을 바꾸는 세 가지 치유의 언어
마음을 바꾸는 말의 힘
03.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세 번째 감미로운 선율
엄마의 목소리와 아기의 안도감
음악이 뇌와 신체에 미치는 영향
음악을 통한 진정 효과
모차르트 음악의 치유 효과
04.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네 번째 쾌활한 웃음
유머 천재 처칠의 신랄한 농담
웃음으로 교원병을 극복한 사람
난치병을 이겨낸 웃음의 힘
05.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다섯 번째 부드러운 스킨십
독신자의 사망률이 높은 이유
치유의 자극과 면역 기능의 정상화
신체적 접촉이 육아에 미치는 영향
아기의 불안을 없애는 엄마의 마사지
남녀노소를 막론하는 스킨십의 치유 효과
06.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여섯 번째 매혹적인 향기
파브르 『곤충기』에 기록된 페로몬의 일화
‘아프로디신’에 유혹되는 수컷
감정과 호르몬을 자극하는 향기
이성의 통제를 넘어서
07.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일곱 번째 바른자세·맑은 호흡
치유 효과 탁월한 바른자세와 호흡
몸의 통증을 줄이는 밝은 생각
망상을 쫓는 호흡법
길고 매끄럽게, 그리고 집중하면서
나의 ‘마음새’를 타인에게 보내다
08.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여덟 번째 마음을 끄는 빛과 색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색’의 이미지
세로토닌과 빛
색과 함께 마음에 남는 기억
색, 마음을 움직이는 힘
09.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의 비밀 - 아홉 번째 깊고 안락한 휴식
잠을 자기 위한 삶
쉬지도 잠들지도 않는 뇌
수면, 뇌도 고치고 마음도 정리하고
효율적인 두 가지 숙면법
CHAPTER 05 진실한 ‘마음’과의 만남을 위해
01. 심장에서 뇌로 옮겨진 마음의 자리
02. 의식, 그 깊숙한 곳에
03. 일깨워라, 본래의 마음
마치는 글 - 치유 뒤에 찾아오는 맑고 고요한 마음
옮긴이의 글 - 독자들을 치유의 길로 안내할 빛
책속에서
▣ 아기는 제 힘으로 할 줄 아는 건 아무 것도 없으면서 배가 고프면 “먹여줘”라고 아우성치고, 졸리면 “재워줘”하고 보채며, 변을 보면 “깨끗이 닦아줘”하고 명령합니다. “나를 보살펴 달라”고 요구하는 것입니다. … 부모가 “부모도 부모 나름대로 하고 싶은 일이 있단다. 너만 돌봐줄 수는 없지.”하고 타일러도 아이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것이 ‘응석’의 본질입니다.
그런데 이 아이가 성장해 사회의 일원이 되면 더 이상 응석을 부리며 사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아이는 점차로 응석을 드러내놓고 요구하지 못하게 됩니다. 게다가 사람 사이의 마땅한 신뢰관계마저 쉽게 허물어져 버리는 경쟁 사회 속에서는 나를 다독여주고 응석을 받아줄 상대를 찾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기아나 산소부족 상태에서 먹을 것이나 공기를 찾듯 응석에 대한 욕구는 나이와 상관없이 모든 이의 가슴 깊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내 마음의 목마름, 응석을 이제는 타인이 아닌 내 스스로가 받아주어야 할 때입니다. 마음 깊은 곳에서 그리고 본능으로 존재하는 ‘나를 아끼고 사랑해 달라’고 하는 요구에 응해야 합니다. 타인이 주지 않는 것을 스스로가 찾아 자신에게 부여해야 합니다.
- '응석과 치유의 밀접한 관계' 중에서
▣ 내가 진료를 통해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어떤 일에 실패를 했거나 우울 상태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관이나 감정을 고집하고 그것을 끝까지 관철시키려는 경향이 크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신에게 우울 증상이 있다고 합시다. 당신은 자신에게 무언가 매우 안 좋은 일이 일어났고 그 때문에 자신이 이렇게 우울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게 과연 사실일까요? 당신이 그렇게 해석하고 있거나 또는 그렇게 해석하는 자신의 사고방식을 옳다고 믿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요? 그러한 사고의 경향은 다음과 같은 성향에서 비롯됩니다.
①‘예스’ 아니면 ‘노’의 이분법적 사고
②보편화(어느 하나가 모든 것에 해당한다)
③곧바로 결론을 내려고 한다
④사물을 과대 또는 과소 평가한다
⑤어떤 일에서 ‘꼭 그래야만 된다’고 생각한다
⑥무조건 선입견부터 갖는다
⑦자신에게만 있거나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열심히 해라’가 아니라 ‘열심히 했구나’' 중에서
▣ 인간의 고민이나 걱정과 관련된 뇌 부위는 어디일까요? 우리 뇌의 변연계라는 부분이 자극을 받는 과정을 통해 이를 설명하겠습니다. 변연계의 주요 부위는 해마, 편도체(扁桃體), 대상회(帶狀回) 등인데 이들은 전두엽(특히 전두엽의 앞쪽이라는 뜻에서 전전두엽(前前頭葉)이라고 불린다)의 제어를 받습니다. 그런데 이 제어가 지나치게 강하면 감정이 억제되거나 어두운 기분이 심해지면서 결국 우울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한편 언어가 상기될 때 감정이 동반되는 현상은 어떤 원리로 일어나는 것일까요?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먼저 감정의 영역으로 불리는 편도체가 자극됩니다. 이에 의해 기쁨, 즐거움, 분노, 미움, 공포 등의 감정이 일어납니다. 한편 대상회의 앞부분은 감정을 불러일으키지만 이곳이 반복적으로 자극되면 불안이 커집니다. 전두엽의 복내측부(腹內側部)는 편도체를 제어하는데 이곳에서 강한 자극을 보내는 경우에도 감정이 격렬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 '걱정과 불안을 야기시키는 변연계' 중에서
▣ 우리가 흥분하거나 긴장하면 교감신경으로부터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됩니다. 보통 이것은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호흡을 편안하게 합니다. …?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흥분하면 피부에 와 있는 자율신경의 말단으로부터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이것이 알레르기 반응, 즉 염증을 촉진시킵니다. 이 같은 사실은 마음을 치유하는 행위가 알레르기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말했던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도 치유의 하나입니다.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천식 발작을 일으키는 비율이 낮다고 합니다. (다만 부모 중 어느 한 쪽이 천식을 가진 경우에는 이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치유에 관련된 자극이나 행위는 면역계의 기능을 정상화하고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걱정과 불안을 야기시키는 변연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