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88991402232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08-10-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80년대 급진노동정치는 역사 속의 삽화가 아니다
1장. 왜 80년대 이후 급진노동운동에 주목해야 하는가
2장. 급진노동운동의 전사: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궤적
초기 노동운동의 주객관적 조건
한국노총의 탈노동운동화: 공개적 독재체제의 노동통제기구화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형성과 발전
70년 전후 ‘경제위기’와 ‘정치위기’: 파시스트체제로서 유신체제의 등장
기독교 노동운동의 등장과 ‘사회적 실천’: ‘자유주의 정치세력’의 대행자
‘민주노조운동’의 대두와 성격
자유주의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과 대응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양면성과 민주노조운동
3장. 급진노동운동의 등장과 발전
1979∼80년 사회관계의 위기: 5·18광주민중항쟁과 유신체제의 재편
‘신군부파시즘’의 노동운동통제와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재편 및 분화
노동운동에 대한 물리적 탄압과 노동법 개정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한계와 재편
노동운동의 방향전환과 ‘급진노동운동’의 등장
구로연대파업과 노동운동의 방향전환: 급진노동운동의 대두와 성장
‘노동자계급주의’의 형성과 그 의미
4장. 급진노동운동의 분화와 위기
6월항쟁과 7∼9월 노동자투쟁
6월항쟁과 ‘제한적 자유화’
7∼9월 노동자투쟁과 자생성
7∼9월 노동자투쟁과 급진노동운동
‘맑스주의 노동운동’의 형성과 분리
‘민주화이행기’ 급진노동운동의 위상
급진노동운동의 재편과 위기
민주노조운동 ‘진영’의 형성과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건설
급진노동운동과 대중운동의 관계
: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성격과 민주노조운동의 ‘분화’
급진노동운동의 대중운동으로부터 분리와 위상의 재편
: 전노운협의 분화와 ‘노동운동 위기논쟁’
‘통합국가’로의 진전과 ‘포위된 급진노동운동’
5장. 급진노동운동이 남긴 그늘과 여백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80년 5월 3일부터 2박 3일 동안의 창립대회를 거쳐 결성된 전민노련은 무엇보다 이념 및 조직의 수준에서 '노동자계급의 독자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은 70년대 노조운동의 흐름과 분명한 차별성을 드러내었다. 이 조직이 '과학적 세계관'과 노동운동 관련 이론을 대중적으로 널리 선전·전파해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게 하는 것, 학생운동을 지원해서 더 적극적인 반파쇼투쟁에 나서게 하고 이들을 계획적으로 기간산업에 배치하여 운동의 역량과 전략적 기반을 다져나가는 것 등을 목표로 삼은 것은 이러한 차별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p.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