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접변

현대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접변

(운남 금평의 소수민족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홍희, 정상홍, 김덕삼, 권인호, 최준, 유승종 (지은이)
심포지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접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접변 (운남 금평의 소수민족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88991437678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06-09-25

책 소개

현재 중국사회의 변화 양상을 인류학, 민속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소수민족의 변화를 중국의 당면과제로 이해했으며 국내 학자에 의한 중국 소수민족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담았다.

목차

제1장 신남공로 주변 마을의 전통문화와 현대화
제2장 ≪시경≫과 중국운남소수민족의 시가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시가발생유형 연구(1)
제3장 文化接變으로 바라본 少數民族 교육
제4장 전통문화와 윤리관습의 변천과 사회발전
제5장 세시풍속으로 본 전통문화와 민족의식
제6장 중국 소수민족 향촌사회의 제7장 중국 운남 지역의 무속신앙 연구
제7장 중국 운남 지역의 무속신앙 연구

저자소개

정상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 출생. 부산고등학교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동 대학원 중어중문학과(문학박사)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경희대학교, 상명대학교, 숙명여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중국 북경사범대학과 남경사범대학에서 국외 박사후(post-doc), 중국 산동대학 교환교수와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선진사(先秦史) 방문학자 등을 거 쳤다. 현재 경북 영주의 동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송시(宋詩)와 문학 이론이지만 본시 문사철(文史哲)과 문화인류학?종교학 등을 좋아하는 잡학(雜學)인지라 십수 년 이래 『시경(詩經) 』과 중국 소수민족의 가요 및 원시종교 등에 관한 책을 읽고 글 쓰는 중이다. 이후 위의 연구를 포함하여 한중(韓中) 간 고대 언어 문자의 비교를 통한 시가(詩歌) 및 역사 그 주변을 공부하려 한다. 논문으로 「황산곡(黃山谷)의 시와 시론」, 「강서시파(江西詩派)와 선학(禪學)의 수용」, 「당송시(唐宋詩)에서의 구어사(口語詞) 사용과 시의 아속문제(雅俗問題)에 관한 연구」, 「『시경』 ‘풍(風)’의 시가발생학적(詩歌發生學的) 양상 연구」, 「『시경』과 중국운남 소수민족의 시가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시가 발생 유형 연구(1): 주술가」, 「『시경』과 시가발생유형 연구(2): 토템가」 등 다수가 있다. 옮긴 책(공역 포함)으로는 『선종(禪宗)과 중국 문화』 〔갈조광(葛兆光) 저〕, 『시론(詩論)』〔주광잠(朱光潛) 저〕, 『대하장강』〔고양(高陽) 저『자희전전(慈禧全傳)』〕, 『사기(史記) 』, 『월헌집(月軒集)』 등이 있다.
펼치기
김덕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진대학교 교양과 전임강사
펼치기
권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진대학교 교양과 전임강사
펼치기
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강사
펼치기
유승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대진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은 <공자의 天觀에 관한 연구>, <선진유가의 天思想 연구>, <중국 고대 천관의 종교성>, <중국소수민족 종교문화연구>, <도교의 종교성 연구>, <영지주의의 종교적 의미>, <영지주의와 동양종교의 상관성>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이란 나라는 언제나 베일 속에 가려 언뜻언뜻 그 모습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을 뿐 시원하게 모습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는 미지의 나라일 뿐이다. 중국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다른 환경과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변화하는 현대 사회의 흐름을 따라 거대한 틀 속에서 움직여가고 있다. 그래서 조금 더 깊이 들어가 사람들이 살아가고 변해가는 모습을 조사하고 관찰하고자 하였다.

중국 성립이전에는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화와 사회가 존재했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가가호호 스스로의 실정에 부합되는 생계 형태를 유지하면서 전통적인 사회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 후 중국은 유사 이래 처음으로 전 지역이 하나의 행정 조직망으로 통일되었으며, 급속한 전 국민 일체화가 이루어졌다. 50년대에는 전국이 하나로 집단소유와 집단 노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적인 생활방식으로 전환되었다. 60년대의 문화혁명은 평균주의와 획일화된 소비로 국가의 사회적인 일체화를 도모하려고 하였다. 사람들의 의식주는 사회주의적인 의식으로 인하여 평균화되고 표준화 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로는 사회와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사회생활도 다양해지고 개인화 특수화로 변하게 되었다. 이런 사회적인 변화는 생활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이런 변화는 지역, 집단과 개인에서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대도시에서 궁벽한 농촌에 이르기까지, 각 계층별 민족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