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9148199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9-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을 읽기 전, 나의 생존경제지수는?
1장 재테크를 위한 필사의 생존 상식
01 주식, 부동산 말고도 길은 있다
02 주식은 흐름을 타야 한다
03 부동산, 꺼진 거품도 다시 보자
04 원유를 알아야 살아남는다
05 절대 화폐, 금의 비중을 높여라
06 최대 금융시장, 채권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v2장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대한민국 경제의 현주소
07 불황 속 물가 불안, 왜?
08 한국의 경제위기, 그 본질은?
09 저출산 고령화, 남는 건 자산 붕괴
10 실업률이 낮다고? 고용률은 왜 빼먹나
11 대한민국의 희망, 상상 초월 통일경제
3장 세계 경제의 지각 변동 속에서 우리는?
12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13 거품으로 버티는 경제, 반드시 무너진다
14 출구전략 잘못 하면 버블 역풍 맞는다
15 아이슬란드의 몰락과 노르웨이의 생존
16 중국은 과연 세계 경제를 장악할 것인가
17 일본이 금리를 절대 올릴 수 없는 이유는?
4장 알면 알수록 약이 되는 경제 이야기
18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는 나라가 만든다
19 미국 옥수수 경제의 비극
20 민영화의 허와 실
21 신자유주의는 경제 위기의 주범?
22 시장경제의 보이지 않는 손
23 지구 온도 상승의 외부불경제 현상은?
24 GDP 성장, 착각의 늪에서 벗어나자
25 물은 셀프, 식당에 숨겨진 경제학의 비밀
26 국제수지와 환율을 모르면 경제뉴스 못 본다
5장 대한민국을 위한 희망의 경제학
27 그래도 희망은 있다
28 한국 경제, 희망을 찾아서
이 책을 읽은 후, 나의 생존경제지수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원자재는 경기 흐름의 지표이다.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지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지표들을 살펴봐야 할까? 우선 기본적으로 세계 고용동향이라는 것을 보자. 미국, 영국, 독일 등 나라별로 고용동향이 늘어나면 우리나라의 경제도 좋아질 거라는 예상을 해볼 수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원자재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인 원자재는 뭘까? 원유? 물론 원유도 될 수 있지만 원유는 워낙 외부 요인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경기 흐름의 지표로 보기에 곤란한 측면이 있다. 경기 지표로 볼 수 있는 원자재는 놀랍게도 구리이다.
- '1장 재태크를 위한 필사의 생존상식' 중에서
아직까지는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보다 내는 사람이 더 많고, 어느 순간까지는 그 상태가 계속될 것이다. 그래서 현재 250조 원인 국민연금 자산 규모는 2043년까지 계속 늘어나 정점에 이를 것이다. 그때 자산 규모는 지금의 열 배인 2,500조 원이다. 사실 엄청나게 큰 규모다. 물가가 오르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2043년 우리나라의 GDP 규모보다 결코 작지는 않을 것이다. 그야말로 거대한 공룡이 되는 것이다. 자,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2043년에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 사회에 들어서 있을 것이다. 그래서 국민연금을 내는 사람은 적은데 받아가는 사람은 엄청나게 많을 것이다. 정점에 달했던 국민연금의 규모는 어떻게 될까? 당연히 급속하게 줄어들다가 2060년쯤이면 아마도 기금이 모두 소진되고 말 것이다.
- '2장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대한민국 경제의 현주소' 중에서
중국을 방문한 미국의 재무부 장관 티모시 가이스너가 북경대 경제학부 학생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중국의 인재들이 죄다 모였다는 북경대, 그곳에서도 실력이 만만치 않은 경제학부 학생들 중 한 명이 가이스너에게 질문을 던졌다. “달러는 믿을 만합니까?” 그러자 가이스너가 대답했다. “문제없습니다.” 그 순간 북경대 강당이 폭소로 뒤집어졌다. 왜 북경대 학생들은 가이스너의 대답에 배꼽을 잡고 웃었을까? 이미 달러는 문제가 있었고, 그 점에 대해 북경대 학생들은 모두 공감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 도대체 미국 달러의 문제는 무엇일까?
- '3장 세계 경제의 지각변동 속에서 우리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