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91643550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9-07-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스킨십에 강한 아이가 인지능력이 뛰어나다
교육 유목민으로 전락하지 마라 | 스킨십으로 교육효과를 극대화하라 | 긍정적인 마인드를 이끌어주라 | 간접경험의 가장 좋은 공부법은 독서다 | 효과적인 책읽기로 감정표현의 달인이 되게 하라 | 모둠학습으로 '더불어 공부하기'를 공유하라 | 어려운 수학일수록 구체적인 문제로 접근하라 | 지능지수가 인지능력을 말하지는 않는다 | 아이들의 '가면 쓴 우울증'은 학습된 '무기력'이다
2장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라
'아이의 뇌는 수많은 자극으로 진화한다 | 지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제공하라 | 수업시간에 관심받는 아이가 되도록 경청을 코치하라 | 자주 사용한 단어일수록 친밀감이 높다 | 심리학으로 기억력을 향상시켜라 | 기억력은 타고나는 게 아니라 연습의 결과다 | 시간은 상대적이라는 것을 가르쳐라 | 짜임새 있는 생활계획을 잡아주라 | 일관성 있는 체벌을 하라 |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하는 폭력을 경계하라 | 잘못을 들추기보다는 착한 행동에 관심을 보여라 | 감정이 섞이지 않는 합리적인 꾸중을 하라
3장 나와 다른 생각의 차이를 가르쳐라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창의적 사고'를 키워라 | 공부가 재미없는 아이에겐 또다른 욕구를 채워주라 | 생존이 걸려 있을 때 학습효과는 배가 된다 | 친할수록 심리적 거리는 가까워진다 | 아이들은 또래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 나와 다른 생각의 차이를 알려주라 | 친구에게 눈맞추고 미소짓는 행동으로 학기초를 즐겁게 하라 | 밤샘공부가 오히려 기억력을 떨어뜨린다 | 우등생일수록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4장 체험으로 새로운 지식을 알게 하라
공부할 때 방해요소를 멀리하게 하라 | 특별한 재능을 찾아서 칭찬해주라 | 그림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를 심어주라 | 체험으로 새로운 지식을 알게 하라 | 이해가 빠른 쪽 학습에 더 집중하라 | 아이들이 인상쓰며 공부하게 놔두지 마라 | 기초를 탄탄히 쌓을수록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나다 | 어려운 공부일수록 쉽게 만들어라 |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틀리게 하지 마라 | 실현가능한 계획으로 길들여라 | 한번의 시험이 평생을 결정한다는 건 자녀에겐 스트레스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비관적인 생각보다는 낙관적인 사고방식을 키워주는 게 가장 좋은 학습효과라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습니다. 긍정적인 마인드가 학습된 사람일수록 실패를 겪어도 이를 두고 비관에 빠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실패도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길 뿐만 아니라 주눅들지 않으며, 안 좋은 상황을 오히려 도전으로 여기며 더 열심히 노력합니다. (…) 무기력도 학습되듯이,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마인드도 학습될 수 있다는 것을 부모님들은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 낙관성이 학습된 아이일수록 아무리 힘든 상황이 일어나더라도 근면성을 발휘한다는 것입니다.
― 「긍정적인 마인드를 이끌어주라」(25∼26쪽)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엄마로부터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할 때, 아이의 뇌는 좋은 자극을 받게 됩니다. 부모의 과거 경험으로 아이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아이가 현재 보내는 감정의 교감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실제로 아이가 어떤 감정의 신호를 보내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에 맞는 자극을 주어야 하는 게 부모의 역할임을 잊지 말아야겠지요.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들과 선생님으로부터도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에 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아이의 뇌는 수많은 자극으로 진화한다」(65쪽)
해결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벽에 부딪친 상황에서는 잠시 그 문제를 내려놓고 쉬는 상태가 필요합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학습동기, 즉 열망이 있는 사람의 머릿속에서는 생각하지 않고 있어도 머릿속에서 정보들끼리 화학작용이 일어나고, 그 산물이 문제해결의 단서로 작용합니다. (…) '머릿속에서 그냥 영감이 떠올랐다'는 표현은 창의성 분야에는 맞지 않습니다. 창의성은 사고훈련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마음의 구성요소와 환경요인, 특히 '쉼'이라는 요인이 적절하게 조합됐을 때 가능합니다.
― 「지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제공하라」(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