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170558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7-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서론
제1장 세계란 무엇인가
1. 세계의 일반적 특징은 무엇인가?
2. 신비로운 우주 현상과 우주의 신비
3. 우주의 특징은 인간의 운명과 어떻게 관계되는가?
제2장 물질의 보편적 특성은 무엇인가?
1. 물질의 철학적 개념에 대하여
2. 마르크스주의의 물질의 본질적 특성
3. 인간중심 철학의 물질관
제3장 세계는 어떻게 변화 발전하는가?
1. 양과 질의 통일의 법칙
2. 대립물의 통일의 법칙
3.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통일의 법칙
4. 목적과 수단의 통일의 법칙
5.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
제4장 세계에 있어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
1. 세계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자주적 지위
2. 세계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창조적 역할
3. 세계 운명의 주인으로서 인간의 사명
제5장 인간은 무엇을 목적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1. 인간 존재와 인생관의 기본 문제
2. 자연적 존재와 자연주의적 인생관
3. 개인적 존재와 개인주의적 인생관
4. 집단적 존재와 집단주의적 인생관
5. 자주적 존재와 인간중심의 인생관
■맺음말
■부록 : 인간중심철학의 역사적 사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유물론’, ‘변증법’, ‘변증법적 유물론’, ‘유물변증법’ 등의 철학이론을 자주 보게 되는데 이 네 가지 이론은 엄밀히 보면 완전히 똑같은 의미를 가진다. 원래 유물론은 필연적으로 변증법이고, 변증법은 필연적으로 유물론이다. 왜냐하면 물질은 변증법적으로 운동하고, 변증법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물질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질적 특징은 자주성과 창조성, 사회적 협조성을 지니는 사회적 존재라는 점에 있다. 사회적 존재란 사회적 재부를 가지고 사회적 관계로 결합되어 생활하는 사회적 인간을 의미한다.
사회적 존재의 본질적 속성은 자주성과 창조성, 다시 말하면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능력이다. 자주적 요구가 세계를 자기에게 복무하게 하면서 그 주인으로서 살며 발전하고자 하는 생활적 요구라고 한다면, 창조적 능력은 세계를 자기의 요구에 따라 개조하고 이용하면서 살며 발전할 수 있는 생활 능력이다. 이러한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능력이야말로 인간의 운명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종래의 유물변증법의 3대 발전 법칙은 이제는 더욱 과학적이고 긍정적인 내용을 포섭하고 보다 발전된 변증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즉 질량의 법칙을 양과 질의 상호 의존관계의 법칙으로,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의 법칙을 협조와 단결, 사랑의 통일의 법칙으로, 부정의 부정의 법칙을 계승과 혁신의 법칙으로 각기 발전시켜야 한다. 이것이 인간중심 철학이 새롭게 정립한 변증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