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상학/해석학/실존철학
· ISBN : 9788991706804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14-04-25
책 소개
목차
서문 5
서 론
유식사상과 현상학에 대한 비교론적 관점 제시_23
제1장 환원에서의 태도전환과 3성설 29
제2장 아뢰야식연기와 초월론적 역사성 33
제3장 지평으로부터 탈각함과 원성실성 37
ㅤ
제Ⅰ부 행상과 현출
제1장 유식사상은 관념론인가? 43
제2장 가설假說의 소의所依인 식전변識轉變 61
제3장 행상行相과 현상학적 현출론 87
제4장 유식 4분의四分義와 자기의식의 문제영역 107
제5장 후설의 ‘초월론적’ 개념 123
제6장 후설의 논리와 생生 141
제Ⅱ부 훈습과 침전
제1장 아뢰야식과 현상학적 신체론 157
제2장 ‘이숙’과 ‘일체종’, 그리고 초월론적 역사 185
제3장 후설 현상학에서의 초월론적 역사 205
제4장 후설의 생활세계와 역사의 문제 219
제5장 의식의 ‘뿌리’로서의 자연 235
제6장 소가 료신?我量深의 아뢰야식론 243
제7장 키타야마 준유北山淳友의 아뢰야식론 257
제Ⅲ부 전의와 반성
제1장 3성설을 둘러싼 여러 문제 271
제2장 식의 유有와 무無를 둘러싼 철학적 일고찰 291
제3장 유식사상과 후설 현상학의 원적原的 사상事象에 대한 물음 315
제4장 회심廻心의 논리 탐구 331
제5장 현상학과 대승불교 341
보유補遺 논문
불교와 과학_367
제1장 인지과학의 전개와 바렐라의 입장 369
제2장 인지과학과 불교 379
생명윤리와 ‘신身’의 논리_391
제1장 퍼슨론의 문제점 392
제2장 ‘신身의 논리’의 가능성 401
서양의 ‘인과성’ 개념의 여러 형태_405
제1장 인과적 필연성을 둘러싼 논점들 406
제2장 자연과학에서의 ‘인과법칙’관의 변천 413
제3장 전통적 ‘인과법칙’관을 다시 물음 420
아도르노와 하이데거_427
제1장 아우슈비츠 이후 429
제2장 하이데거 비판 434
제3장 ‘성좌星座’와 ‘타자他者’ 445
비트겐슈타인과 현상학_449
제1장 지금까지의 양자의 비교연구 450
제2장 직접경험과 현상학적 언어 453
제3장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의 동기로서의 현상학 455
후기 459
미주 465
옮긴이 후기 523
부록
구문 논문 531
Der Begriff der Erscheinung in der Yog?c?ra-Schule 533
Die Lehre vom Speicherbewußtsein in der Yog?c?ra-Schule 545
초출 일람 557
책속에서
이 책을 집필하는 첫 번째 의도는, 후설이 직면했던 초월론적 반성의 한계점에서 생기하고 있는 사건의 사상事象 구조를 유식사상의 아뢰야식 연기론과 3성설의 관계 속에서 찾아내는 일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후설의 초월론적 입장과 유식론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물론 아니다. 양자 간에는 역사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엄연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반성을 촉구하면서도 대상성의 논리의 테두리 내에서 활동하는 반성에 의해서는 파악될 수 없는, 비대상적인 차원에 이르는 사유의 길을 개척하기 위해서 유식론이 문제로 삼았던 사상事象을 발굴하는 일은 현대의 ‘사유의 사태’로 보아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유식사상의 연구 분야에서, 전통적인 법상교학의 이름으로 전승되어 온 호법과 현장의 사상과, 새롭게 발견된 범문원전에 대한 실증적 문헌연구에 기초하는 견해 사이에 다양한 해석의 문제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중에는 ‘식전변識轉變’이나 ‘3성性’의 해석 등, 각각의 입장이 갖는 사상의 철학적 배경 등에 대해 검토해야 할 많은 논점들이 있다. 물론 필자로서는 이 논점들에 관해 문헌학적 고증을 행할 수는 없지만,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 논점들이 갖는 사상적 의의에 대해서 설사 불충분하더라도 철학적으로 검토를 시행하는 일은 전혀 무의미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여기에 이 책의 두 번째 동기가 있다. - <서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