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8899173197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_ 불안한 아이 때문에 마음만 앞서는 부모들에게
1. 내 아이는 왜 불안해할까? : 아이의 안심 시스템 점검하기
건강한 불안감은 필요하다
불안해서 힘들까 봐, 기회를 놓칠까 봐
몸이 느끼는 불안감을 알려주자
불안감의 폭포는 계속된다
아이의 안심 시스템을 들여다보는 시간
왜 불안감이 심해지는 걸까?
안심 시스템을 초기화하라
그때그때 찾아오는 불안감, 방법은 있다
2. 두 번째 병아리가 되라 : 공감하며 안심시키는 친구 되기
아이들의 두려움은 정당하다
당신은 어떤 병아리인가?
부모를 위한 두 번째 병아리 되기 수업
제대로 안심시키기
자신감과 대응 기술을 가르쳐주자
3. 아이의 몸에 모든 답이 있다 : 이완과 호흡, 그리고 놀이
아이와 함께 만드는 두려움 측정기
1부터 10까지 두려움 지수별 이완 방법
변화와 받아들임의 출발점, 호흡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부위별 불안 해소법
이완에 대한 저항감 극복하기
침착한 몸, 침착한 정신
몸을 이용한 그 밖의 기법
4. 불안감의 가장자리에서 한 걸음 더 : 불안을 마주하고 느끼기
오늘은 회피, 내일은 마주하고 느끼기
가장자리에 선 부모
스톱 앤 고 게임
생각하고 느끼고 실행하기
“그건 말하기 싫어!”
“얘기할 거야, 계속.”
많이 놀고 적게 말하자
안전감의 내면화가 가장 중요하다
5. 감정에는 옳고 그름이 없다 : 감정의 불길을 다루는 방법
감정의 불길 모델을 가르쳐주자
모든 감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감정의 흐름을 막을 때 찾아오는 불안감
감정의 건강한 발산을 돕는 놀이
감정의 과부하를 막아주는 놀이
6. ‘만약에’에서 ‘지금 이 순간’으로 : 미래에 대한 걱정에 도전하기
아이의 불안한 생각에 도전하기 전에
불안한 생각에 놀이로 도전하기
가장 강력한 마법, ‘지금 이 순간’
뇌의 다른 부분을 깨워서 불안감을 이겨보자
도전! 불안한 생각을 환영하고 다른 것으로 바꾸기
7. 침대 밑 괴물부터 걱정 수프까지 : 아동기 불안감 유형별 극복 방법
절대 안 떨어질 거야: 애착 불안
다들 날 보면 어떡해: 사회 불안
혼자 자기 무서워: 침대 밑 괴물
뉴스에 나오잖아: 생활 속 위험
얼어붙은 아이: 정신적 외상으로 인한 두려움
왜 미리 말 안 했어: 지나친 경직성
미안해: 남을 기쁘게 해주어야 한다는 과도한 불안감
어디 갔어?: 삶과 죽음의 문제
다 불안하다구: 걱정 수프
8. 뿌리와 날개를 모두 가진 아이 : 아이와의 유대감과 믿음 되찾기
내면의 목소리를 키워주자
재미없어도 재미있게
걱정을 조금 덜어내고 아이를 조금 더 믿기
부모가 꼭 기억해야 할 것들
리뷰
책속에서
나는 불안감이 심한 아이를 둔 부모들에게 안심시키려고 끊임없이 애쓰는 노력을 그만두라고 권했다. 겁을 먹지 않은 두 번째 병아리가 그 어떤 논리나 말, 행동을 보여주어도 겁을 먹고 죽은 척하는 병아리를 안심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두 번째 병아리의 질문’이라는 기법을 개발했다. “내 눈을 봐, 내가 겁을 먹은 것 같아, 아닌 것 같아?” 이 질문은 아이들을 꼼짝도 못하게 만드는 두려움에서 벗어나 안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무턱대고 ‘무서워할 거 하나도 없어’라고 말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_ 여는 글, 불안한 아이 때문에 마음만 앞서는 부모들에게
이어짐-단절-다시 이어짐은 ‘빈 컵 채우기’에 비유할 수도 있다. 모든 아이들 속에 애정, 사랑, 관심, 안도감으로 채워져야 하는 빈 컵이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 컵이 가득 채워지면 아이들은 협조적이고, 행복해하고, 창의적이 될 수 있다. 반면 컵이 비면 아이들은 비협조적이고, 불행해하고, 문제를 일으킬 행동을 하기 쉽다. 부모로서 우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그 컵을 채워주는 것이다. 아이들의 마음속에 있는 컵을 채워주기 위해서는 관심을 보이고, 아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선택권을 주고, 귀를 기울이고, 격려해주어야 한다. 사랑, 애정 그리고 놀이는 아이들의 컵을 넘치도록 채워줄 수 있다.
_ 여는 글, 불안한 아이 때문에 마음만 앞서는 부모들에게
불안감이 심한 아이들 대부분 종종 말도 안 되는 행동을 하는 것 때문에 자신이 멍청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그런 아이들에게 똑똑하고 영리해야 불안해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항상 일러준다. 지능이 고통을 일으키는 감정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지는 않는다. 사실 불안감이 심한 아이들 중 많은 수가 상당히 높은 지적 능력을 보여준다. 그 아이들이 걱정하는 일에 대해 생각하려면 엄청난 두뇌의 힘이 필요할지 모른다! 불안감이 심한 아이들은 자신에게 강한 감정의 힘 즉 감정력이 있음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아동기에는 어느 한 부분이 약하면 그에 대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른 부분이 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_ 1장. 내 아이는 왜 불안해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