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91907362
· 쪽수 : 301쪽
· 출판일 : 2011-05-13
책 소개
목차
제1장 평생현역사회 만들기
1. 고령사회의 도래
.고령사회 위기-인구 오너스
.부정적 이미지-깨뜨려야 할 슈퍼 밈
.노인차별주의-이중성과 착각
2. 평생현역사회의 모색
.나이혁명-청년노인세대의 등장
.사회참여-행복으로의 초대
.평생현역사회의 추진
3. 노년기 역할 재설계
.노년기의 환경변화
.노인들의 관심변화
.역할분담 체계의 재구성
4. 노인세대의 위치
.위대한 세대-과거
.비극의 세대-현재
.희망의 세대-미래
5. 대한노인회의 역할과 과제
.대한노인회의 사회적 위치
.과제-평생현역사회 구축
.비전-희망의 세대 실현
제2장 자원봉사의 기초 다지기
1. 워밍업-발상의 전환
.실버에서 시니어로
.사회적 객체에서 주체로
.지배모델에서 자주모델로
2. 자원봉사의 특성과 지향성
.자원봉사의 특성
.자원봉사의 지향성
3. 노인자원봉사 지지정책
.전문가 중심주의
.노인자원봉사 지원정책
.외국의 노인자원봉사 제도
4. 노인자원봉사의 이론들
.사회교환이론
.확산이론
.자원동원이론
5. 노인자원봉사 고려사항
.성공적 노후생활과 자원봉사
.자원봉사 참여의 장벽
.노인자원봉사에 대한 기본관점
제3장 자원봉사 코치하기
1. 자원봉사활동의 지지체계
.지지체계의 필요성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관리조정의 필요성
2. 코치의 개념과 필요성
.코치의 보편적 개념
.유사개념과의 비교
.코칭의 필요성
.코칭의 5가지 특성
3. 코칭의 기본적 기술
.질문하기 기술
.경청하기 기술
.피드백하기 기술
4. 자원봉사 코칭의 원리
.자원봉사 코치의 위치
.자원봉사 코치의 자질
.자원봉사 코칭의 원칙
5. 노인자원봉사 코칭기술
.코치의 임무수행 배경
.노인자원봉사를 위한 준비
.노인자원봉사 코칭의 유의사항
.노인자원봉사 코칭의 실제
제4장 자원봉사 클럽 만들기
1. 클럽에 대한 이해
.클럽의 개념
.클럽운용사례
.자원봉사 클럽의 필요성
2. 노인자원봉사 클럽 만들기
.클럽 조직의 걸림돌
.클럽 조직 준비하기
.클럽조직하기
.클럽운영기준 만들기
.클럽코치의 역할 정하기
3. 클럽활동 시작하기
.동행하기 -초기단계의 리더십
.몰입하기 - 사명과 목적의 공유
.전략적 매니지먼트
4. 클럽활동 사후 관리
.일상적 사후 지도
.유연한 조직 만들기
.클럽의 건강도 체크
5. 노인자원봉사 클럽 활성화
.초심 잃지 말기
.인재발굴의 노력
.클럽활동의 다변화
제5장 자원봉사 관리하기
1. 교육훈련하기
.자원봉사교육의 한계
.잠재력의 개발
.몇 가지 가정과 적용
.안드라고지의 원리
.단계별 훈련계획
2. 동기부여하기 기술
.직무설계에 적용하기
.모집활동에 적용하기
.면접과 배치에 적용하기
.리더십에 적용하기
.인정보상에 적용하기
.활동유지에 적용하기
3. 갈들관리하기 기술
.자원봉사 활동의 역동성
.유급직원과의 갈등
.동료 간의 갈등
.수요자와의 갈등
제6장 지역사회와 협력하기
1. 네트워킹에 대한 이해
.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의 개념
.네트워크의 효용성
.네트워크 강화요인
2. 노인자원봉사 네트워킹
.노인자원봉사에 대한 관점
.노인자원봉사 네트워킹 모형
3. 네트워킹의 실천방법
.네트워킹의 고려사항
.네트워킹의 실행
.소그룹의 네트워킹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이혁명이 가져온 중요한 변화는 “노인은 더 이상 노인이 아니다”라는 말로 요약된다. 즉 오늘의 노인은 어제의 노인이 아니다. 젊은이들 못지않게 건강하며 창의적이고 활동적이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미국 시카고대학 심리학 교수인 버니스 뉴가튼(Bernice L. Neugarten)은 55세 정년을 기점으로 75세까지를 ‘청년노인(Young old)’으로 구분하였다.
이 구분에 따르면 75세까지의 세대는 ‘이미(already)’ 노인이 되었지만 그러나 ‘아직은(not yet)’ 노인이 아니다. 오늘날 새로운 노인(New Senior)은 청년노인으로서 그야말로 ‘젊은 오빠’들이다. 장수국가 일본에서도 이 세대를 특별히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고 부른다. 건강하고 활동적인 연장자라는 의미이다.
장수사회의 꿈을 실현한 오늘날, 노후 인생을 보다 행복하게 지내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인생 삼모작의 실천으로서 이는 곧 ‘평생 현역’의 실현이다. 따라서 평생현역 사회란 누구나가 평생을 현역으로 보낼 수 있는 사회, 즉, 누구나가 전 생애에 걸쳐, 건강을 유지하고 자립생활을 누리면서, 미래의 비전과 목적을 가지고 활동함으로써, 장수의 축복을 실감할 수 있는 사회이다.
역사적으로 노인의 경륜과 지혜는 세상사와 인생사의 토대가 되어 왔다. 그래서 로마의 철학자 세네카는 “노인을 활용할 줄 알면 즐거움이 가득하므로 노인을 존경하고 사랑하라”하였고, 로마의 정치가 키케로는 "이성과 판단이 발견되는 것은 노년기에서다. 노인들이 없었더라면 그 어떤 나라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도 했다. 다산 정약용 역시 훌륭한 목민관이 되려면 노인의 지혜를 구하라고 권면하였다. 제아무리 물질이 풍요로워도 시련과 고통이 따르며, 갈등과 혼란을 겪기 마련이니, 이럴 때 노인들의 지혜는 그 빛을 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