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196529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09-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_ 한국외교의 역사적 유산
1 외교적 유산의 의미
2 한국적 전통 외교
3 제국주의세력의 진출과 조선의 대응
4 일본의 조선병합과 식민통치
5 주권회복을 위한 대외활동
6 해방과 미군정
7 외교유산의 평가
2장_ 한국외교의 환경과 국가역량
1 한국외교의 환경
(1) 자연적 환경
(2) 사회적 환경
(3) 제도적 환경
(4) 국제적 환경
2 국가의 역량
(1) 국가역량의 요소
(2) 한국의 국가역량
3장_ 한국외교에 대한 회고
1 건국외교(1948-1950)
(1) 전반적인 국제정세(냉전의 시작)
(2) 한국의 독립과 국제적 승인
(3) 외교체제의 수립
(4) 신생국가 외교의 기본정책
(5) 건국 외교에 대한 평가
2 국난극복을 위한 외교(1950-1960)
(1) 전반적인 국제정세
(2) 한국전쟁의 발발과 격퇴
(3) 전쟁의 수습(휴전과 정치회담)
(4) 한미방위조약 체결
(5) 한일관계 개선의 노력
3 성장 시대의 외교(1961-1979)
(1) 전반적인 국제정세
(2) 한일국교 정상화
(3) 월남전 참전
(4) 국제화해 시대와 한국의 대응
(5) 한미관계의 불화
4 냉전 종말기의 외교(1980-1993)
(1) 전반적인 국제정세
(2) 오도된 외교 영역 확대의 노력
(3) 이념의 장벽을 넘어선 외교
(4) 유엔과 비동맹 외교
4장_ 중요 현안
1 북한 핵무기 문제
(1) 핵무기 확산 방지와 한반도 핵무기 문제
(2) 북한의 NPT 탈퇴와 미북 간의 합의
(3) 북한 핵문제 해결 합의의 결렬
(4) 6자회담의 진행과 핵폭발실험
(5) 북한의 신고와 테러명단 해제 및 검증 문제
(6) 북한 핵무기개발 저지 노력에 대한 평가와 전망
2 한미동맹의 운용
(1) 동맹의 결성과 추이
(2) 동맹 유대의 이완
(3) 동맹 이완의 원인
(4) 동맹의 강화
3 한일관계
(1) 독도 문제
(2) 과거사 인식과 종군위안부 문제
5장_ 외교 참여자
1 최고책임자
2 대통령과 참모진
(1) 대통령의 외교권
(2) 대통령의 외교참모진
3 외교부
(1) 개관
(2) 외교조직
4 외교관
(1) 외교관과 외교기능에 대한 오해
(2) 대사의 직무
(3) 외교관의 자질
(4) 외교관의 기량
(5) 한국 외교관의 자질과 기량
(6) 한국 외교관의 선발
6장_ 한국의 외교정책 결정
1 외교정책 일반
2 외교정책 결정의 요인
(1) 일반적 요인
(2) 한국 외교정책의 결정 요인
3 외교정책의 결정과정
(1) 일반적 형태
(2) 한국 외교정책의 결정과정
4 외교정책의 시행
7장_ 새로운 국제질서와 한국외교의 과제
1 새로운 국제환경
2 국제 권력구조
(1) 새로운 권력구조의 형성
(2) 새로운 권력구조 하의 세계정세
(3) 동북아시아정세
3 한국외교의 과제
(1) 한반도의 평화유지와 통일
(2)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협력
(3) 국민생활 향상과 국가위상 제고
(4) 세계평화와 인류복지 증진
8장_ 외교능력의 강화
1 정책에 입각한 외교
(1) 국가시책으로서의 외교정책
(2) 현실성 있는 정책
(3) 외교정책에 비친 민족주의와 세계화
2 외교활동능력의 강화
(1) 외교인력의 양성
(2) 효율적인 관리
(3) 외교부의 위상 존중
(4) 외교수단의 다양화
3 국민의 이해증진과 지지
맺는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