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9196554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7-06-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남과 북, 자유민주주의?상생의 통일을 위하여
Part I. 독일통일과 한국
통일 전 동서독 관계와 남북한 관계의 차이
동서독 분단과 한반도 분단
통일에 대한 동서독과 남북한의 입장
통일 이전 동서독 간 정치교류
동서독 간 비정치적 교류
동서독 간 경제교류
통일을 위한 서독의 준비
독일통일 당시 주변국 사정
베를린 장벽 붕괴에서 독일통일까지의 과도기적 과정
통일 후의 동서독 통합과정
우리에게 독일식 통일이 가능한가?
서독과 한국의 통일정책 차이
통일 전 동독의 정치상황과 현재 북한의 정치상황
서독의 대동독 상호주의와 한국의 대북경협의 차이
독일통일과 한반도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태도
통일 비용 부담능력
통일과 사회?심리적 통합
독일식 통일은 우리 현실에 맞지 않아
Part II. 한반도, 올바른 통일을 위한 제언
핵과 김정일
북한의 핵실험
6자회담 타결
김정일의 연명전술
21세기 한국형 통일 모델
남북한 통일정책과 그 문제점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통일 개념
한국형 단계적 통일방안
통일을 향한 과제
대담후기
책속에서
동독에서는 1953년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발생하였고, 그 후 많은 동독인들이 반체제 활동에 가담함으로써 수만 명의 인사들이 정치적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게 되었습니다. 서독 측은 3만 4천여 명의 정치범들을 데려왔는데, 정치범 한 사람에 평균 10만 마르크에 상당한 물품을 지급하였고 총 금액은 약 35억 마르크에 달하였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서독정부가 나서지 않고 종교단체를 앞세웠습니다. 그것이 이른바 동서독 간 ‘정치방의 석방거래’입니다.-p21 중에서
북한이 폐쇄정책을 고수하는 것은 그런 민중혁명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달리 생각해보면 통일 이전에도 인적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남북한 간에도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절실하게 노래할 필요가 그만치 줄어들게 되고, 자연스럽게 통일로 가게 되지 않을까 여겨집니다.-p2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