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1989061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07-08-0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중층문화를 표방하는 학교
1. 새로운 형태의 교육 도입
2. 학교의 출현과 사회변화
3. 가정과 다른 학교
4. 학교는 중층문화를 표방한다
5. 학교의 중층문화 교육
6. 헤비거스트Robert J. Havighurst 교수
7. 1961년 서울근교 초등학교의 중층문화 교육
제2장 6-3-3-4학제와 교육의 양과 질
1. 보통학교: 두 갈래 학제의 통합
2. 광복과 교육기회의 민주화
3. 우리나라 사학의 특이한 발전
4. 우골탑과 대학정비의 기회
5. 부패왕국
제3장 교육 격차와 '게임의 법칙'
1. 성적을 떠나서는 할 수 없는 학교생활
2. 학교차의 문제
3. 싫든 좋든 학교차는 존재한다
4. 교사들은 학습지도안부터 쓸 줄 알아야 한다
제4장 대한민국에 태어난 인연
1. 공산주의사회에서 살아야 하는 사람들
2. 기로에 선 대한민국
3. 일본 교직원조합(일교조)
제5장 계급사회이면서도 계급사회가 아닌 미국사회
1. 계층이동의 수단이 되는 학교교육
2. 미국의 사회계급
3. 한미 양국의 대학입학제도 비교
4. 미국의 대학입학전형 위원회
제6장 우리의 소원은 균형있는 학교교육 체제
1. 입시 정도를 이탈한 오늘 우리의 입학제도
2. 자주교육의 토착화가 시급한 이유
3. 대학입시제도의 정도
4.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르는 사람들의 세상
제7장 결론
1. 잘사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이 더불어 사는 인간사회
2. 다시 찾아간 대왕초등학교
3. 사회적 교육문제해결과 색깔론
4. 수직상승의 비결: 경쟁상대는 결국 자신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에 양극화란 없다. 교육은 능력을 다루는 것이고 그 능력이 성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숫자로 표현된 성적이 양극으로 분리되는 현상은 실제로 일어날 수 없다. 양극상태를 수적 개념이나 평균점을 통해서 만들 수는 있지만 실제로 양극화란 인간에게 적용이 되지 않는다.-p80 중에서
교육문제로 말하자면 미국처럼 교육이념이 확고하게 정해진 사회에서는 어떤 입시제도가 사회계급구조의 안전과 변화를 동시에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인지가 명백해진다. 왜냐하면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원하는 입학전형제도를 어떻게 운영하면 모든 국민들, 즉 모든 사회계급 출신의 부모와 그 자녀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를 알기 때문이다. 학교는 사회적 상승의 길을 어떻게 공평하게 개척할 수 있는가를 정하면 되는 것이다.-p16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