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215108X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7-01-2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_프레드릭 제임슨 혹은 '부재하는 원인으로서의 총체성'
왜 제임슨인가?
문학.문화계의 독보적 '거인'
제임슨의 화두,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슨의 사르트르 연구
마르크스 문학비평의 정점 '정치적 무의식'
마르크스의주의자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제임슨을 읽는 어려움
마르크스주의자의 난해한 글쓰기
어려운 글을 '손수' 써내는 즐거움
난해한 글의 계급성
제임슨의 글에 저항하기
이 책에 대하여
1 마르크스주의자
제임슨은 헤겔주의적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
마르크스가 세상을 바라본 원리, 유물론
이데올로기와 '토대-상부구조론'
총체성에 대한 알튀세의 불신
제임슨의 알튀세 수렴
언제나 역사화하라!
알튀세의 '해체' 혹은 재구축
2 제임슨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와 형식, 후기 마르크스주의
사물화와 상품화 개념
총체적으로 전망한다는 것
문화와 이데올로기
총체성 인식 가로막는 '사물화'
난해한 예술은 저항한다
진실은 형식에 있을 수 있다
'달의 뒷면'을 보게 하는 변증법
해석과 역사의 변증법적 관계
3 프로이트와 라캉 정치적 무의식을 향하여
마르크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결합
프로이트와 자본주의 분석
라캉의 기호학적 자아
개인 의식과 역사적 유물론의 맞대면
4 정치적 무의식
텍스트의 징후를 주목하라
개인과 사회를 매개하는 '서사'
마르크스주의는 '로망스'
공시성 vs 통시성/부분 vs 전체
정치적 무의식 드러내는 '형식'
발자크, 기싱, 콘래드
발자크와 가족주의적 유토피아
기싱과 이데올로기적 서사
콘래드의 노동과 로망스
5 모더니즘과 유토피아 공격성의 우화
모더니즘, 역사적 현상의 매트릭스
제임슨과 윈담 루이스
제임슨과 모더니즘
제임슨과 유토피아
6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 논리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 논리,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정의하기
제임슨과 이합 하산
제임슨과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제임슨과 위르겐 하버마스
이론의 정치학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 자본주의 문화 논리
깊이 없음
7 제임슨과 영화 보이는 것의 날인, 지정학적 미학
정치적 무의식을 재생산하는 영화
보이는 것의 날인
지정학적 미학
제임슨 이후
제임슨과 'MTV 마르크스주의'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슨과 제3세계 연구
제임슨의 모든 것
제임슨이 쓴 책
제임슨 관련 책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다시 말해서 제임슨은 서구인이 외국 예술에 대해 갖는 부정적 반응을, 서구 자본주의 사회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다른 체제를 악마화하고 착취하는 방식과 연결시켜 이해하려 한다. 이러한 착취의 트라우마는 잠재되어 있으며, 그 진실을 은폐할 수 있도록 오늘날에는 이처럼 문화에 대한 부정적 반응으로만 드러난다. 만일 서구의 관객이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예술을 지금까지 즐겨왔다고 해도, 그들이 아프리카와 아시아 문화의 '낯설음'이나 '타자성'을 대면해온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 즐김에는 아프리카 및 아시아와 서구가 맺어온 제국주의와 착취의 역사적 관계를 고려해야 할 아무런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다. - 본문 13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