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92166737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13-07-27
목차
1. 북한 인민군의 주력이 된 팔로군의 조선인들
2. 김일성의 만주 교두보 확보
3. 소련, 마오의 승리 보고 태도 바꿔
4. 김일성이 40여 차례나 스탈린 졸라
5. 김일성 계획에 시큰둥했던 중공
6. 중공의 보위국방 제1차 회의
7. 한반도에서 마주칠 뻔한 마오쩌둥과 장개석
8. 스탈린, 쫓기는 북한 정권 만주로 소개 지시
9. 박헌영과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회담
10. 마오쩌둥, 급히 펑더화이를 불러올리다
11. 흑해연안의 중소 회담
12. 마오쩌둥 아들까지 참전
13. 펑더화이 광산에서 김일성 만나
14. 중공군 야음을 타고 도강
15. 중공군의 제 1차 공세
16. 1, 2차 공세에서의 경험 축적
17. 마오의 아들과 장군의 아들들
18. 펑 사령관 38선 월경 거부
19. 펑더화이가 당면한 난제
20. 중조연합사령부와 중공군의 서울 재입성
21. 진격 멈춘 펑더화이, 소련 고문들과 충돌
22. 중조연사의 확대간부회의
23. 적의 전술 뚫어본 리지웨이
24. 저우언라이와 후방보급 임무
25. 중공군의 대민 정보 선전 활동의 강화
26. 제4차 공세와 서울 후퇴
27. 지평리 전투서 중공군 첫 번째 대패
28. 펑더화이 귀경 직보와 전략 변경
29. 백만대군 동원한 제5차 공세 개시
30. 땅 따먹기와 살육전의 대결 - 사창리 전투
31. 국군의 패주와 중공 1개 사단의 와해
32. 5차 공세의 실패와 휴전의 모색
33. 마오, 휴전회담, 지구전 방침 내비쳐
34. 정전에 대한 마오와 스탈린의 생각
35. 정전 부정적인 스탈린 설득작전
36. 중공과 북한 측의 회담준비
37. 회담 준비 그리고 전력강화
38. 신경전으로 시작된 양측 첫 접촉
39. 유엔군 측의 제안
40. 38선 경계 두고 줄다리기 시작
41. 중공군의 6차 공격 변경과 유엔군의 여름 반격
42. 판문점으로 회담장 바꿔야
43. 개성을 두고 벌인 밀고 당기기
44. 중소 공군기 출격과 교살 작전
45. 갱도구축과 생화확전 전말
46. 또 하나의 장벽 포로 문제
47. 클라크의 첫 공세
48. 정전 문제로 공산권 수뇌 회동
49. 아이크의 등장과 스탈린의 퇴장
50. 마지막 힘겨루기와 정전의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