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92214063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06-10-10
책 소개
목차
진정한 '선진사회' 한국을 위하여
1. 한국사회의 문화변동
한국사회의 재구조화와 문화변동 -생태적 문화사회를 향하여-
누구를 위하여 '문화의 종'은 울리나
'노풍'의 사회적 형성과 새로운 정치운동의 가능성
황우석 사태의 형성과 전개 -사기와 맹신의 이중주-
2. 월드컵의 문화적 영향
'붉은악마 현상'의 사회적 형성과 의미
월드컵, 붉은악마, 그리고 이야기들
'붉은악마 현상'과 사회 바꾸기 -우리 곁의 '다른 사회'를 찾아서-
2002년 한.일 월드컵과 한국사회
월드컵 응원의 상업화
3. 고도성장과 문화적 다양화
근대화와 어린이
세대갈등과 문화정치
교육과 불평등 -학벌사회의 맷돌-
'환상물'의 유행과 '상상력 산업'
내 밥상 위의 민족주의?
4. 민주화와 문화적 다양화
IMF와 광고 속의 민주주의
'50년 전쟁체제'의 사회적 결과 -비정상성의 정상화-
한.미동맹의 문화적 결과 -영혼의 미국화-
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문화정치
보수주의의 이중적 변화와 일상적 보수주의의 등장
저자소개
책속에서
1990년대 이래로 한국사회는 커다란 문화변동을 겪었다. 그것은 단순히 문화현상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문화경관과 문화지형에 이르는 거대한 변화였다. 이 때문에 우리는 1980년대와 달리 1990년대를 '문화의 시대'로 기억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바탕에는 훨씬 커다란 구조적 변화가 자리 잡고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성장과 민주화다. 다양한 문화가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여기에 지구화, 정보화, 생태위기 등의 문명적 변화가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사회의 문화는 더욱더 다채로운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그것은 한국사회가 세계사 차원에서 거대한 구조적 변화를 겪었으며 또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였다. - 본문 3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