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어어법 300문

중국어어법 300문

형복의 (지은이), 김현철, 유성은, 윤유정, 김세미, 조은경 (옮긴이)
차이나하우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어어법 300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어어법 300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92258425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11-07-30

책 소개

학술성과 실용성을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어법연구서로써 총체론, 문장성분, 품사, 구와 절의 종류, 복문과 단락, 연구론 등 총 여섯 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은 모두 실제적인 필요에 따라 제기된 문제를 기반으로 전체 3백 개의 어법 연구에 필요한 항목을 뽑아 기술하였다.

목차

총체론
1. 중국어 어법이란 무엇인가? 1
2. 중국어어법실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
3. 중국어 어법 실체는 어떻게 분류하나? 4
4. 중국어 어법체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6
5. 절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나? 문과 문장의 관계는 어떤가?
중국어 어법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8
6. ‘절의 세 가지 규율’이란 무엇인가? 10
7. 절의 활성율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11
8. 절의 포용율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12
9. 절의 연결율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13
10. 절의 어기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4
11. 평서문이란? 15
12. 감탄문이란? 16
13. 청원문이란? 18
14. 의문문이란? 19
15. 문장어기와 문장 용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16. 문장 어기와 문장 부호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17. 절의 구조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4
18. 절의 어기유형과 구조유형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가? 25
19. 중국어 어법구조는 총체적으로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가? 26
20. 형식간략화에는 어떤 과정이 있는가? 27
21. 의미겸용과 형식간략화의 상호 관계는 어떠한가? 28
22. 중국어 어법구조의 간략화 경향과 겸용은 어떤 원칙에.따른 것인가? 29

문장성분
23. 문장성분이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들이 있는가? 31
24. 문장성분의 배합성이란? 31
25. 문장성분의 층차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32
26. 문장성분의 결합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3
27. 문장성분의 호환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4
28. 주어와 서술어란 무엇인가? 35
29. 주어의 의미유형과 서술어는 어떤 관계인가? 주요 유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8
30. 인물, 장소, 시간을 나타내는 어구의 주어성은 어떻게 봐야 하는가? 41
31. 절은 어떤 상황에서 이중주어를 가지는가? 42
32. 화제와 주어의 관계는 어떠한가? 43
33. 빈어란 무엇인가? 44
34. 빈어의 의미유형과 동어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주요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5
35. 대상빈어에는 어떤 빈어가 있는가? 48
36. 중국어 동빈관계의 복잡성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50
37. 대체빈어는 어떤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가? 51
38. 이중빈어란 무엇인가? 어떻게 구성되나? 54
39. 이중빈어는 어떻게 판별하는가? 56
40. 한정어란 무엇인가? ‘的’字와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떻게 구분하는가? 57
41. 한정어의 중심어에 대한 상황은 어떠한가? 59
42. 종속한정어는 어떤 한정어인가? 60
43. 수량한정어, 지시한정어와 시간장소한정어는 어떤 한정어인가? 61
44. 성질상태한정어, 행위한정어는 어떠한 한정어인가? 64
45. 판단한정어와 함의한정어는 어떤 한정어인가? 67
46. 각각의 유형의 한정어는 어떻게 순서를 배열하나? 68
47. 여러 항의 한정어와 중심어 사이의 층차관계는 어떠한가? 71
48. 상황어란 무엇인가? 어떻게 판별하며 어떻게 분류하나? 72
49. 상황어의 중심어는 무엇인가? 74
50. 성질상태상황어, 범위상황어, 정도상황어, 부정상황어는 어떤 상황어인가? 75
51. 원인상황어, 관련상황어와 어기상황어는 어떤 상황어인가? 78
52. 시간장소상황어, 수량상황어, 사물상황어는 어떤 상황어인가? 79
53. 각 유형의 상황어의 배열 순서는 어떠한가? 81
54. 여러 항의 상황어와 중심어 사이의 층차 관계는 어떠한가? 82
55. 보어란 무엇인가? 어떻게 분류하는가? 중심어 상황은 어떠한가? 83
56. 결과보어와 방향보어는 어떤 보어들인가? 84
57. 가능보어는 어떤 보어인가? 86
58. 정도보어와 평가보어는 어떤 보어인가? 87
59. 시간장소보어, 수량보어, 관계보어는 어떤 보어인가? 90
60. 보어와 빈어의 위치관계는 어떠한가? 92
61. ‘동사+보어’와 빈어의 의미관계는 어떠한가? 93
62. 주서술어 어순의 변화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94
63. 한정어-중심어 위치의 변화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96
64. 상황어-중심어 위치의 변화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98
65. 문장성분은 어떤 조건 하에서 축약이 가능한가? 축약의 유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99
66. 어떤 문장 성분을 축약할 수 있나? 102
67. 성분공용(成分共用)은 어떤 현상인가? 성분축약, 성분결합(?合)과 어떤 관계인가? 104
68. 문장성분분석의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106
69. 문장성분의 조합 층차는 어떻게 파악하고 묘사해야 할까? 107
70. 상황어 뒤에 동빈구조가 올 때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가? 108
71. 상황어 뒤에 중심어-보어 구조가 올 경우 어떻게 분석하는가? 109
72. 상황어 뒤에 주서술어구조가 올 때 어떻게 분석하는가? 110
73. 독립어(?立?)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을 가졌는가? 111
74. 독립어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112
75. 외위어(外位?)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이 있는가? 114
76. 외위어(外位?)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115
77. 접착성분(?合成分)이란 무엇인가? 어떤 경우가 있는가? 116
78. 문장성분 운용에서 자주 보이는 오류는 무엇인가? 117

품 사
79. 중국어 어법체계에서 단어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20
80. 명사란 무엇인가? 어법상 어떤 특징이 있는가? 121
81. 명사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122
82. 시간명사와 시점, 시간프레임(시역)의 관계는 어떠한가? 127
83. 장소방위명사의 ‘方’과 ‘所’의 상황은 어떠한가? 128
84. 단순방위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복합방위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29
85. 어법분석에서 명사의미특징의 분석은 어떤 의의가 있는가? 131
86. 동사란 무엇인가? 어법상 어떤 특징이 있으며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133
87. 행위타동사와 행위자동사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136
88. 심리동사, 경과동사, 판단동사와 명령동사는 각각 어떤 특징들이 있는가? 137
89. 동사 중첩식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가? 140
90. ‘V一V’와 ‘VV’는 무엇이 다른가? 142
91. 능원동사는 어떤 단어인가? 144
92. 방향동사는 어떤 단어인가? 145
93. 동사의 통사기능은 무엇인가? 147
94. 어법분석에서 동사의미특징 분석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149
95. 형용사란 무엇인가? 어법상 어떤 특징이 있는가? 150
96. 동사와 형용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152
97. 형용사의 중첩형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154
98. 형용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156
99. 정질(定?)형용사와 성질상태형용사의 관계는 어떠한가?
99. 재료(?料)명사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158
100. 형용사의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159
101. 어법분석에서 형용사의 의미특징 분석은 어떤 의의가 있는가? 160
102. 동태화 모형에 들어가는 형용사는 어떤 요소의 제약을 받는가? 161
103. 부사란 무엇인가? 어법상 어떤 특징이 있는가? 162
104. 부사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164
105. 부사는 명사 혹은 명사구조와 결합할 수 있는가?
208. ‘?+명사’는 어떻게 보아야 할까? 165
106. 상황어로 쓰이는 비부사(非副?)는 어떻게 구별하는가? 169
107. 부사의 의미와 작용은 어떻게 분별하는가? 171
108. 정도부사 ‘最’는 반드시 첫 번째에 위치한 사물만을 가리키는가? 172
109. 각 성분사와 절의 관계는 어떠한가? 175
110. 품사체계에서 수사와 양사는 어떤 특수한 점이 있는가? 176
111. 수사란 무엇인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기수, 배수, 분수 그리고 어림수와 수사의 관계는 어떠한가? 177
112. 중국어 기수사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78
113. 중국어 서수사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80
114. 현대 중국어 수사 체계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180
115. 양사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이 있으며 그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82
116. 양사체계에서 도량형량사의 지위는 어떠한가? 183
117. 양사 체계 중 다음절양사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184
118. 준량사란 무엇인가? 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86
119. 양사 형성의 근거는 무엇인가? 187
120. ‘수에 근거하여 양을 판단함(据?辨量)’과
‘양에 근거하여 수를 판단함(据量辨?)’이란 무엇인가? 188
121. 정형화된 구조로서, 수량사는 어떤 특수한 표현이 있는가? 189
122. 수사와 양사가 단독으로 문장 성분을 담당하는 경우는 어떠한가? 191
123. 대사란 무엇인가? 기타 성분사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93
124. 품사 체계에서 대사의 특수성은 어디에 있는가? 193
125. 대사 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194
126. 인칭대사의 세트(配套)형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196
127. 지시대사의 세트(配套)형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196
128. 의문대사의 세트(配套)형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197
129. 대사의 활용이란 무엇인가? 인칭대사와 지시대사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199
130. 의문대사의 활용 상황은 어떠한가? 201
131. 의음사(?音?)란 무엇인가? 어떠한 특수성이 있고, 어떻게 분류하는가? 203
132. 의음사(?音?)의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성질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05
133. 의음사(?音?)의 의음성(?音性)과 비정형성(非定型性)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06
134. 개사란 무엇인가? 어법상 어떤 특징이 있는가? 207
135. 개사의 개입과 결합 작용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209
136. 개사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210
137. 동사와 관련되는 개사(涉?介?)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211
138. 개사와 동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214
139. 접속사란 무엇이고, 어법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 215
140. 접속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216
141. 접속사와 부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217
142. 접속사와 개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218
143. 조사란 무엇인가? 어법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 219
144. 조사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어법 구조에서 조사의 위치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220
145. 조사와 개사, 접속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222
146. 구조조사란 무엇인가? 전형적인 구조조사로 어떤 것들이 있나? 223
147. 글말의 ‘的’, ‘地’, ‘得’의 역할분담은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224
148. 어떤 조사들이 준구조조사(准??助?)인가? 225
149. 시태조사란 무엇인가? 전형적인 시태조사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27
150. 준시태조사(准時態助詞)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28
151. 표수조사(表?助?)란 무엇인가? 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29
152. 복수조사 ‘?’은 어떠한 점에 주의하여 활용해야 하나? 230
153. 비유조사(比?助?)란 무엇인가? 어떠한 것들이 있나? 231
154. 어기조사란 무엇인가? 어기조사가 곧 어기인가? 232
155. 어기조사와 절 어기유형의 관계는 어떠한가? 233
156. 어기조사 ‘的’와 구조조사 ‘的’는 어떻게 구분하나? 234
157. 어기조사 ‘了’와 시태조사 ‘了’는 어떻게 구별하는가? 235
158. 어기조사 ‘?’의 독음과 서사형식은 어떠한가? 236
159. 어기조사는 반드시 문미에만 출현하는가? 237
160. ‘품사’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38
161. 중국어 단어의 어법 특징은 어느 방면에서 나타나는가? 239
162. 단어의 의미는 품사 구분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 241
163. 어법특징의 불규정성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242
164. 품사자질을 판별하는 것에 어떤 논증방법들이 있는가? 243
165. 단어의 동형이류(同形??) 현상은 어떻게 판정할 것인가? 244
166. 품사문제의 난점은 어디에 있는가? 246
167. 앞으로의 품사연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어떤 대책을 취할 것인가? 247
168. 품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은 어떻게 실시하는가? 248
169. 성분사 활용 중 자주 보이는 잘못은 무엇인가? 249
170. 특수성분사의 활용 중 자주 보이는 잘못은 무엇인가? 250
171. 비성분사의 활용 중 자주 보이는 잘못은 무엇인가? 252

구와 절의 특정 문형
172. 단어의 예비성과 구의 조립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54
173. 엄격한 의미에서 구와 서로 대립되는 단어는 어떠한 규정성이 있는가? 255
174. 구와 단어의 기본적인 차이는 어느 방면에서 나타나는가? 256
175. 교학어법 분석에서 구와 복합어의 가장 좋은 분별 방법은 무엇인가? 258
176. 교학에서 구와 단어를 구분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259
177. 구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261
178. 관계류 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62
179. 표지류 구(?志?短?)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62
180. 표지류 구의 내부관계에서의 상황은 어떠한가? 263
181. 체언성 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고 용언성 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64
182. 주서술어구의 구조 성분은 어떠한가? 265
183. 주서술어구는 어떤 성질의 구인가?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65
184. 동빈구의 구조 성분은 어떠한가? 268
185. 동빈구의 어법 성질과 통사 기능은 어떠한가? 269
186. 한정어-중심어 구의 형성에는 어떤 조건들이 있는가? 270
187. 한정어-중심어 구의 구성성분은 어떠한가? 271
188. ‘的’자의 사용은 한정어-중심어 구에 어떠한 영향이 있나? 272
189. 한정어-중심어 구의 어법 성질은 어떠한가? 273
190. 한정어-중심어 구의 통사 기능은 어떠한가? 274
191. 상황어-중심어 구와 중심어-보어 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275
192. 상황어-중심어, 중심어-보어 두 종류의 구와 구조조사 ‘地’, ‘得’의 관계는 어떠한가? 276
193. 상황어-중심어, 중심어-보어 두 종류 구의 어법성질과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77
194. 연합구의 구성성분은 어떠한가? 279
195. 연합구의 연합항의 품사자질이 다른 경우가 있는가? 280
196. 연합구에는 어떠한 연합표지가 있는가? 282
197. 연합구의 어법성질과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83
198. 동격구의 구성성분과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85
199. 성명과 관련된 동격구는 어떠한 점들을 주의해야 하는가? 286
200. 연동구와 겸어구의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87
201. 능원구의 구성성분과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89
202. 개사구의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X到Y’는 어떻게 분석되는가? 290
203. 개사의 부가화(?附化)란 무엇인가? 개사구가 보어가 되는 현상은 어떻게 다룰 것인가? 292
204. ‘的’ 구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93
205. 비유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그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94
206. 수량구의 통사기능은 어떠한가? 295
207. 절 특정문형(小句特定句式)이란 무엇인가? 구, 특수문형(特殊句式)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96
208. 존현문형이란 무엇인가? 기본 형식은 어떠한가? 어떤 특징이 있나? 297
209. 존현문의 장소방위주어는 어떤 형식을 취하는가?
시간주어, 물체주어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99
210. 연동문형은 어떤 문형인가? 기본 특징은 무엇인가? 300
211. 연동식은 모두 ‘동사 + 동사’로 연결되어 있는가? 302
212. 겸어문형은 어떤 문형인가? 기본 특징은 무엇인가? 303
213. 겸어식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304
214. 겸어식과 주서술어구조가 빈어로 쓰이는 문형(主?作?句式)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05
215. 겸어식과 이중빈어문형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306
216. 겸어식의 복잡화에는 어떤 상황이 있는가? 307
217. 어떤 상황에서 겸어와 연동의 두 가지 해석식이 나타나는가? 308
218. ‘把’자문형은 어떤 문형인가? 기본 특징은 무엇인가? 309
219. ‘把’자문에 사용되는 어구에는 어떤 특수한 상황이 있는가? 311
220. ‘被’자문형은 어떤 문형인가? 기본 특징은 무엇인가? 312
221. ‘被’자문에 사용되는 어구에는 어떤 특수한 상황이 있는가? 313
222. ‘被’자문과 대상주어문의 관계는 어떠한가? 314

복문과 문장군
223. 복문의 구성단위는 무엇인가? 글말에서 복문 문미에는 어떤 부호를 쓰는가? 316
224. 복문 속에서 분문의 구조 지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17
225. 복문 안의 분문 사이에는 어떤 휴지를 사용하나? 글말에서 어떤 부호를 사용하나? 319
226. 복문에는 어떤 유형이 있나? 320
227. 복문관계어구란 무엇인가? 321
228. 복문관계어구의 범위는 어떠한가? 322
229. 복문관계어구의 작용은 어떠한가? 323
230. 인과류 복문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25
231. 인과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26
232. 추측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28
233. 가정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29
234. ‘要不是……就……’는 어떤 가정문인가? 330
235. ‘如果?……那?……’는 어떤 가정문인가? 331
236. 조건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32
237. ‘只有’조건문과 ‘只要’조건문은 어떤 차이가 있나? 334
238. ‘如果’가정문과 ‘只要’조건문은 어떤 차이가 있나? 335
239. 목적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37
240. ‘以便’목적문과 ‘以免’목적문의 차이는 무엇인가? 338
241. ‘越……越……’는 어떤 복문문형인가? 339
242. ‘?其……不如……’는 어떤 복문문형인가? 340
243. 병렬류 복문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42
244. 병렬문이란 무엇인가? 기본상황은 어떠한가? 343
245. 대조식과 해석식 병렬문은 어떠한가? 344
246. 연관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46
247. ‘一……就……’는 어떤 복문문형인가? 347
248. 점층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48
249. 반체문(反?句)은 어떠한가? 349
250. 반어문(反逼句)은 어떠한가? 350
251. ‘??’, ‘不?’ 점층문은 어떠한가? 352
252. ‘更’자 점층문은 어떠한가? 353
253. 선택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54
254. 진술선택문 내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56
255. 전환류 복문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358
256. 돌발전환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59
257. 양보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60
258. ‘?然……但是……’는 어떤 양보문인가? 돌발전환문과 어떤 차이가 있나? 362
259. ‘?使……也……’는 어떤 양보문인가? ‘?然’문과 어떤 차이가 있나? 363
260. ‘?使……’는 사실인가 거짓인가? 365
261. ‘无?……都……’는 어떤 양보문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66
262. ‘?可……也……’는 어떤 양보문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68
263. 가정전환문이란 무엇인가? 기본 상황은 어떠한가? 369
264. 인과성 가정전환문은 어떠한가? 370
265. 조건성 가정전환문은 상황이 어떠한가? 372
266. 선택성 가정전환문은 상황이 어떠한가? 373
267. 청원성 가정전환문은 상황이 어떠한가? 375
268. 요구성 가정전환문은 상황이 어떠한가? 376
269. 전환사(?折?)는 전환류 복문 속에서 어떻게 응용되나? 377
270. 전환사는 병렬류 복문에서 어떻게 응용되는가? 378
271. 인과류 복문에서 전환사의 응용은 어떠한가? 380
272. 복문 유형의 세 가지 체계를 어떻게 보아야하나? 382
273. 복합복문은 무엇인가? 383
274. 복합복문은 어떻게 분석해야하나? 385
275. 긴축문이란 무엇인가? 387
276. 긴축문에는 어떤 유형이 있나? 388
277. 어떤 복문과 단문이 명확하게 대립하는가? 390
278. 복문과 단문은 어떻게 결합하는가? 391
279. 단문 안에 복문관계표지가 사용된 현상을 어떻게 단정해야 하나? 393
280. 한정어-명사 구조가 분문으로 쓰이는 경우는 어떠한가? 394
281. 교학에서 복문과 단문의 구분문제는 어떻게 처리하나? 396
282. 복문 운용에서 자주 보이는 오류는 무엇인가? 398
283. 문장군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399
284. 문장군의 구조층차는 어떠한가? 401
285. 문장군의 조합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02
286. 문장군과 복문의 관계 유형에는 다른 점이 있는가? 403
287. 선택의문문 문장군은 상황이 어떠한가? 405
288. 복문과 문장군은 어떻게 다른가? 406
289. 글말 안의 구두점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407

연구론
290. 정태분석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409
291. 동태분석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410
292. ‘소삼각(小三角)’의 기본내용은 무엇인가? 411
293. ‘소삼각(小三角)’의 분석검증은 어떻게 실시하는가? 412
294. ‘대삼각(大三角)’의 기본내용은 무엇인가? 413
295. ‘대삼각’의 분석ㆍ검증은 어떻게 실시하는가? 414
296. ‘소삼각’과 ‘대삼각’의 관계는 어떠한가? 416
297. ‘세 가지 충분 조건’이란 무엇인가?
208. ‘두 개의 삼각’과는 어떤 관계인가? 418
298. ‘해석’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419
299. 사실발굴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420
300. 담화맥락은 사실발굴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저자소개

형복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중국어 어법연구가이며, 필명은 華萍이다. 海南省 樂東縣 사람이다. 1956년 7월에 華中師範學院(지금의 華中師範大學) 中文係中文專修科를 졸업하고 지금까지 華中師範大學 語言學硏究所 所長, 敎授, 博士硏究生 指導敎授, 華中師範大學 語言與語言敎育硏究中心主任, 中國對外漢語敎學學會會長, 中國語文現代化學會 副會長, 中國語言學會 常務理事, 中國修辭學會副會長, 湖北省語言學會 會長, 中國邏輯與語言硏究會 學術委員 등의 직책을 맡아 왔다. 주로 現代漢語語法學 硏究에 從事하고 있는데, [中國語文] 등의 기간물에 3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37종의 저작을 저술하였다. 주요 著作으로는 <語法問題探討集>, <漢語語法學>, <漢語複句硏究>, <漢語語法三百問>, <邢福義自選集>, <語法問題思索集>, <漢語法特點面面觀>, <現代漢語語法修辭專題>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중국 언어와 문화 전공자. 한국연구재단 중점사업 ‘중국 정사 당송 예악지 역주’ 사업 연구책임자. 연세대학교 우수업적 교수상, 우수강의 교수상, 공헌교수상 및 우수업적 논문분야 최우수상을 수상 200여 편의 논문과 저역서 편찬, 『중국 언어학사』가 ‘1998년 제31회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중국어어법 연구방법론』이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 『대조분석과 중국어교육』이 ‘2019년 학술부문 세종도서’로 선정
펼치기
유성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현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저역서로는 『중국언어학사』, 『중국어문장 바로쓰기』 등 다수.
펼치기
윤유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경사범대 중문과 박사생(문학박사.중국어법학 전공)
펼치기
김세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하나고등학교 중국어 교사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박사 졸업 베이징대학교 고급진수과정 수료 두산연강재단 중국학 연구원 연세대학교, 한국교통대학 중문과 강사 역서) 중국어어법300문
펼치기
조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원대 중문과 강사(문학박사.중국어법학 전공)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