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92264877
· 쪽수 : 664쪽
· 출판일 : 2016-01-29
책 소개
목차
작업표준
Part 1 현장관리와 개선으로의 길
Part 2 작업표준이란
Part 3 작업표준 작성 포인트
Part 4 작업표준의 교육 및 활용 포인트
Part 5 작업표준과 관리·감독자의 역할
Part 6 작업표준의 자가진단
Part 7 관리의 포인트와 작업표준
Part 8 품질향상과 작업표준
Part 9 원가절감과 작업표준
Part 10 기타 관리와 작업표준
Part 11 향후 작업표준과 관리 방향
설비관리
Part 1 현장관리와 개선으로의 길
Part 2 설비관리
Part 3 설비계획
Part 4 설비보전
Part 5 TPM(종합생산보전)
Part 6 설비관리 교육·훈련
눈으로 보는 관리
Part 1 현장관리와 개선으로의 길
Part 2 눈으로 보는 관리란 무엇인가
Part 3 눈으로 보는 관리의 중요성
Part 4 눈으로 보는 관리의 추진방법
Part 5 눈으로 보는 관리의 성공 단계
Part 6 눈으로 보는 관리 실시
Part 7 눈으로 보는 관리 추진 사례
실수방지시스템
Part 1 현장관리와 개선으로의 길
Part 2 실수방지시스템
Part 3 품질보증 활동과 실수방지시스템
Part 4 실수방지시스템의 사고방식
Part 5 실수방지시스템과 사례
Part 6 실수방지시스템의 표준화
Part 7 실수방지시스템의 절차와 사례
Part 8 실수방지시스템 추진을 위한 활동
Part 9 기타 분야의 실수방지시스템
Part 10 인적 요인과 휴먼에러
저자소개
책속에서
안전관리 활동
안전체제를 회사, 특히 제조현장에 실행하기 전에 안전교육 훈련을 충실히 도모하고 배치 후에는 위험행위를 일으키지 않도록 아차사고, 위험 상황에 대한 대책, 위험예지훈련(KYT) 등을 실시해야 한다. 설비에는 안전장치(실수방지시스템)를 설치하고 위험부분 대책을 실시하여 3K(위험, 어려움, 더러움)를 제거하고 쾌적한 회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안전한 회사의 유지 상황을 점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회사 순찰을 실시하고 위험행위, 위험부분을 지적하여 위험에 대한 처치와 개선에 힘써야 한다.
설비투자 평가방법
생산설비는 투자액이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어느 정도의 기간 안에 투자액을 회수할 수 있는지 등의 채산성 평가로 생산설비의 투자를 판단할 수 있다. 생산설비의 투자는 환경 대책이나 복리후생과 같은 작업 환경 측면에서 투자를 해야 하거나 시장 동향에 따라서 연구 개발이나 증산에 대응해야 하는 등 채산성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들을 비교 검토하여 기업 경영의 입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설비투자를 해야 한다.
눈으로 보는 관리 조직 구성
눈으로 보는 관리를 실시하여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추진 체제가 필요하다. 또한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지시체제는 강력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톱다운(Top Down) 방식이 유리하며 전원참여가 바람직하다. 도입 시에는 모든 조직원이 의욕을 가지고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성에 젖거나 안일해 질 수 있다.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자 아래에 추진사무국을 두어, 최고경영자의 지시 명령이 모든 직원들에게 신속하게 전달되는 체제가 바람직하다.
생산기술 부서의 실수방지시스템
생산 개시 후에는 시스템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공정설계나 치공구·장치 설계와 생산준비 단계 등에서 예방적인 실수방지시스템을 검토하여, 양산 전에 설치하는 것이 품질보증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 단계에서도 과거의 실패 사례를 검토하여, 공정 FMEA, 양산 시작 공정 검토 결과 등을 바탕으로 실수방지시스템의 설치 필요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공정의 연결, 설비·치공구 설계에 필요한 실수방지시스템을 계획하여 양산까지의 실수방지시스템을 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