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9232639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8-07-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예상을 뒤엎은 권력 교체
쌍두마차 시대 어떻게 될까
러시아 이중권력의 역사
푸틴의 의도는 무엇인가
메드베데프의 러시아 어떻게 달라질까
● 블라디미르 겔만 인터뷰(상트페테르부르크 유럽대학 교수, 러시아 정당정치 연구자)
제1부 인간 메드베데프, 그는 누구인가
1. 출생에서 대학까지
인텔리 집안의 외동아들 | 모범생의 첫사랑 | 하드 록에 빠지다 | 부족해도 낭만이 있던 시절 | 야간으로 들어간 법대
2. 절대 권력을 향한 여정
교수이자 사업가로 시작한 사회생활 | 푸틴과의 인연 | 모스크바에서의 초고속 출세 | 후계자 지명을 둘러싼 암투 | 왜 메드베데프였나 | 크렘린에 입성하다 | 절대 권력의 중심으로
3. 인간, 메드베데프
유도에서 요가로 | 퍼스트레이디 스베틀라나는 누구 | 그리고 남은 이야기들
제2부 메드베데프 시대 러시아
1. 메드베데프의 러시아 어디로 가나
2. 푸틴이즘의 충실한 계승자에 그칠 것인가
러시아식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관리민주주의, 주권민주주의 | 러시아식 자본주의의 성공 : 장관이 기업체 사장 | 푸틴이즘의 대외정책수단 : 에너지 권력 | 건재한 푸틴의 친위인맥
3. 메드베데프, 제2의 해빙기를 만들 것인가 - 협력 속의 독자노선
자유와 민주주의의 희망 메드베데프 | 푸틴이즘을 위협하는 경제적 요소 | 엘리트와 세대 간의 역학 관계 | 메드베데프 친정체제 구축
4. 러시아식 권력승계방식과 푸틴 총리 취임
5. 메드베데프의 국정과제
경제, 사회 분야의 국정과제 4I | 산업 다각화와 인구감소 문제 | 루블 안정화 정책 | 크렘린 국가프로그램 회의와 국가토지펀드 설립 | 러시아 대외정책의 기조 | 동아시아 정책
6. 한국-러시아 관계 변화 오는가
한-러 관계의 향방 | 메드베데프 집권 시기 극동·동시베리아·동아시아의 중요성 | 한국-러시아 협력 분야
제3부 배신, 권력의 형식―전임자를 밟고 권력을 키워라
1. 후임자와 전임자의 권력 투쟁과 배신은 소련·러시아의 전통
푸틴은 후견인 옐친을 배신하고 | 옐친은 자신을 밀어준 고르바초프를 배반하고 | 브레즈네프는 자신을 발탁한 흐루시초프가 휴가 중일 때 등을 치고 | 흐루시초프는 자신을 기용한 스탈린을 격하하고
2. 절대 권력이 사라진 소련 ― 스탈린을 부정한 최측근 베리야
스탈린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인물들 | 스탈린 병상 앞에서 울다 웃다 쇼를 한 베리야의 음모 | 스탈린이 죽자 안면을 바꾼 최측근 베리야 | 원하시면 대량 학살쯤이야 : 스탈린이 살아 있을 때는 절대 충성 | 인종 청소의 원조 : 인간 백정 베리야 | 스탈린의 공신 베리야, 미국에서 정보를 빼내 원자탄을 만들다 | 군부대 지휘 경험도 없이 원수가 된 베리야 | 스탈린의 고향사람인 베리야가 두려워한 것 | 베리야가 맡았던 NKVD는 대숙청 주도한 비밀경찰 | 주인이 처형한 개들 : NKVD의 역대 책임자들, 줄줄이 비참한 죽음을 맞다
3. 후견인인 베리야를 사지로 몰고 자신도 밀려난 말렌코프
내가 살려면 너를 죽여야 한다 : 베리야 방식으로 이루어진 베리야의 실각과 처형 | 베리야 최후의 순간
4. 스탈린을 부정하고, 도와준 동지들도 밀어낸 흐루시초프
흐루시초프, 제1트로이카 체제를 만들어 권력을 나누다 | 카가노비치가 추천하고 스탈린이 발탁한 흐루시초프 | 권력 앞에 과거 없다 : 권좌에 오른 흐루시초프 | 그 나물에 그 밥 : 흐루시초프는 스탈린을 비난할 자격이 있나 | 전임자 격하의 대가 : 아슬아슬하게 위기를 넘긴 흐루시초프 | 흐루시초프의 이중 잣대 | 쿠바 위기 후에 보수파에게 밀려난 흐루시초프
5. 흐루시초프의 은혜를 원수로 갚은 브레즈네프, 권좌에 오르다
휴가 중인 은인의 뒤통수를 친 브레즈네프 | 은인을 배신하고 흐루시초프를 몰아낸 브레즈네프 | 배반의 장미가 된 흐루시초프의 부하들 | 은인을 쫓아내고 역사의 바퀴를 뒤로 돌린 브레즈네프 | 브레즈네프, 흐루시초프를 쫓아내고 트로이카를 함께 이룬 동지도 쫓아내다
6. 권력 장악 도운 은인을 쫓아내고 개혁개방을 추진했던 고르바초프
고르바초프의 소련 마지막 트로이카 | 킹에게 밀려난 킹메이커 그로미코
● 트로이카, 권력의 형식
7. 은인이 위기에 있을 때 배신해버린 옐친
영웅 옐친, 은인을 배신하다 | 고르바초프가 발탁해 중앙정계로 데려온 옐친 | 인기 업고 고르바초프에 도전 | 휘청거린 옐친 통치기
8. 모든 걸 다 물려준 옐친의 모든 걸 다 부정한 푸틴
옐친이 키운 푸틴, 옐친을 배신하다 | 전임자를 모두 부정하고 스탈린 시대로 돌아가려 한 푸틴
9. 메드베데프는 전임자 푸틴을 극복할 수 있을까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는 권력자들 | 힘이냐, 분열이냐 : 러시아 쌍두독수리의 진실은 | 세
력은 푸틴 편, 정치 전통은 메드베데프 편 | 동지라고 권력을 나눠 가질 수 있을까
● 권력을 절대 나눠 가지지 않았던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
메드베데프 약력
책속에서
2005년 10월 21일 메드베데프는 보건, 교육, 주책, 농업 등 4대 분야 발전을 위한 국가 프로젝트 추진 책임자로 임명됐다.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질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장기 프로젝트였다. 러시아 정부는 이 프로젝트 실현을 위해 2006년 한 해에만 47억 달러가 넘는 예산을 책정했다. 메드베데프에게는 국민들에게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이 프로젝트가 국민의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후계자 선발에 고심하던 푸틴이 메드베데프에게로 마음이 기울고 있다는 언론 분석이 나오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73쪽, '인간 메드베데프, 그는 누구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