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위대한 3인의 전사들

위대한 3인의 전사들

(몽고메리, 패튼, 롬멜)

테리 브라이턴 (지은이), 김홍래 (옮긴이)
플래닛미디어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위대한 3인의 전사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위대한 3인의 전사들 (몽고메리, 패튼, 롬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92326827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10-12-17

책 소개

2차대전 사상 가장 위대한 지휘관이었던 ‘전투기획자’ 몽고메리, ‘용맹의 화신’ 패튼, ‘속도전의 대가’ 롬멜, 세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저자는 이 세 사람의 경쟁을 챔피언 롬멜을 상대로 도전자 패튼과 몽고메리가 함께 링에 오른 권투시합으로 묘사한다.

목차

서문 : 전장의 자아

PART 1
1장 세 개의 초상화
2장 첫 번째 혈투
3장 기갑부대로 싸우는 방법
4장 롬멜의 전격전
_롬멜의 목소리 : 제7기갑사단의 프랑스 침공

PART 2
5장 독일아프리카군단의 정복
6장 롬멜을 압박하는 몽고메리
7장 라이트풋 작전과 토치 작전
8장 영미동맹의 균열
9장 메시나를 향한 패튼의 질주
10장 살레르노를 향한 몽고메리의 포복
11장 공성 망치와 대서양 방벽
_패튼의 목소리 : 제3군 장병들에게 행한 연설

PART 3
12장 마스터플랜 그리고 대침공
13장 캉 논쟁
14장 패튼의 전격전과 몽고메리의 공세
15장 롬멜의 자살
16장 몽고메리와 패튼, 전쟁에 승리하다
17장 나치와 공산주의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_몽고메리의 목소리 : 회고록

후기 : 전투의지

감사의 말
기록물 출처
참고 문헌
옮긴이 말

저자소개

테리 브라이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랭커스터 대학Lancaster University에서 정치학과 철학을, 버밍엄 대학Birmingham University에서는 신학을 공부했고, 영국 박물관협회The Museums Association의 준회원이다. 여러 해 동안 여왕의 왕립 창기병 연대 박물관The Queen's Royal Lancers Regimental Museums에서 큐레이터로 근무했다. 현재 링컨Lincoln에 살고 있다. 다른 저서로는 『헬 라이더스: 경기병 여단의 돌격에 대한 진실Hell Riders: The Truth about the Charge of the Light Brigade』이 있다.
펼치기
김홍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서 금속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해군 중위로 전역했고, 군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톰 클랜시 원작 『베어&드래곤』과 『레인보우 식스』, <넷포스> 시리즈, 로버트 해리스의 『당신들의 조국』, 『나는 하루를 살아도 사자로 살고 싶다: 패튼 직선의 리더십』, 『인천 1950』, 『노르망디 1944』, 『워털루 1815』, 『미드웨이 1942』, 『진주만 1941』, 『레이테만 1944』, 『니미츠』, 『맥아더』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특정한 군사행동을 취해야 할 때, 우리는 항상 가장 과감한 행동과 가장 신중한 행동 중에서 양자택일을 하게 된다. 어떤 사람은 전쟁 이론이 언제나 후자, 즉 신중한 행동을 권장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전쟁 이론이 권고하는 것이 있다면, 가장 결정적인 행동, 즉 가장 과감한 행동을 취하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전쟁의 본질이다. 하지만 전쟁 이론은 지휘관이 자신의 용기, 도전정신, 자신감에 따라 나름대로 과감한 행동을 하도록 지휘관의 재량에 맡긴다. 따라서 지휘관은 이와 같은 내적 능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러나 과감성 없이는 위대한 지휘관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의 원리』, 1812년


전투기획자, 몽고메리
세 사람 중 몽고메리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소모적인 참호전을 경험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그는 병사들이 아무런 성과도 없이 죽음으로 내몰렸으며 그런 식의 전쟁수행은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무능력한 장군의 빈약한 계획과 일선부대와 지휘소 간의 열악한 통신체계 때문에 전쟁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됐다고 생각한 그는, 자신이 참모로서 계획업무와 통신절차를 개선함으로써 전쟁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느꼈다. 몽고메리는 처음부터 ‘전선 너머’를 생각했으며 전투는 시작 전부터 본부에서 내린 결정에 의해 이미 승패가 결정된다고 확신했다.
그는 지휘방식 또한 유별나서 의도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모든 부하들에게 알리기 시작했다. 2차대전 당시 그는 예하의 모든 부대들을 방문했으며, 전용차의 지붕 위에 컬러 라이트를 달아서 병사들에게 자신을 알렸다. 그의 군대는 ‘지휘관인 동시에 마스코트’를 원했다. “나는 의도적으로 이 두 번째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일을 시작했다. 그것은 병사들이 자신을 전투에 내보내는 사람을 한 명의 개성 있는 인간으로서 인식하게 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본문 196쪽) 그의 유명한 검은색 전차부대 베레모는 이러한 이유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지휘관으로서 몽고메리는 대부분의 경우 신중하고 천천히 전진했다. 북아프리카에서 그의 적수였던 롬멜은 그러한 몽고메리의 신중성 덕분에 독일아프리카군단을 후퇴시킬 수 있었다. “영국군 지휘관은 지나치게 신중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는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우면 절대 모험을 하지 않으려고 했으며, 과감한 해법은 그에게는 전적으로 낯선 존재이다. … 나는 몽고메리가 아무런 위험도 없이 추격을 감행해도 될 때조차, 과감하게 추격해 우리를 추월하지는 않았다는 사실에 매우 만족한다.” (본문 247쪽)
몽고메리는 모든 관련자들에게 자신의 방식대로 전투를 치를 수 있고 그럴 의지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몽고메리는 연합군이 전력을 집중하고 자신을 지상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하면 전쟁을 빨리 끝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원한 것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방식으로 전쟁을 이기는 것이었다.

몽고메리, 현재 살아 있는 군인들 중 가장 위대한 자.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몽고메리는 영국의 가장 위대한 장성이다.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Gerd von Rundstedt


용맹의 화신, 패튼
“대담하게, 대담하게, 항상 대담하게L'audace, l'audace, toujours l'audace.”
프로이센Preussen의 프리드리히 대왕Friedrich der Grosse이 말한 이 인용구는 패튼의 군대경력에 있어서 그의 표어가 되었다. 그는 플루타르코스Ploutarchos나 크롬웰Crowell, 나폴레옹Napoleon, 클라우제비츠Clausewitz의 책을 읽었고, 그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았다.’ 그는 자신이 카이사르의 10군단으로 행군하거나 나폴레옹과 함께 모스크바Moskva에서 후퇴하는 동안 일개 병사로서 싸우다 죽었다고 주장했다.
패튼은 전투를 시작하기 전에 항상 연설로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았다. 그렇게 그는 적의 사격을 당해 본 적도, 누구를 죽여 본 적도 없었던 ‘전쟁 연습 참가자’들을 ‘살인자’로 바꾸어 놓았다. “전투는 우리가 참아야만 하는 끔찍한 고통이 아니라 근사한 경험이다. 바로 그 속에서 인간을 짐승보다 우월하게 만드는 모든 요소들, 즉 용기와 희생, 이타심, 임무에 대한 헌신이 발현된다. 영광스럽게도 우리가 무찔러야 할 적들은 훌륭한 병사들이다. 그들에게 승리하기 위해, 우리는 그들의 능력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 자신의 우월성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만 한다.” (본문 175쪽)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의 원리Die Grunds?tze des Kriegf?hrens』에서 “과감성 없이는 위대한 지휘관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패튼이야말로 그 적절한 예라고 할 수 있는데, 그의 전술교리에서 이러한 ‘과감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신속하게 이동하고, 맹렬하게 공격하라. 전쟁은 전투를 의미한다. 전투는 살인을 의미하는 것이지, 참호를 파라는 의미가 아니다. 적이 동요할 때, 신중함 따위는 바람에 날려버려라. 격렬한 추격만이 교전에 종지부를 찍게 될 것이다. 신중함은 새로운 전투를 초래할 뿐이다.” (본문 84쪽)
“어떤 전차도 적에게 항복하거나 적의 전리품이 되어서는 안 된다. 만약 적에게 둘러싸인 채 혼자 남았다면, 끝까지 사격을 멈추지 마라. 만약 대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 권총으로 싸우면서 무한궤도로 적을 짓밟아라. 제군들이 미국의 첫 번째 전차병임을 잊지 마라. 제군들은 ‘미군 전차는 절대 항복하지 않는다’는 전통을 확립해야만 한다.” (본문 77쪽)

패튼은 미국 최고의 군인이다.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패튼 장군은 파헤치고 다그치고 속사포처럼 말을 내뱉는 미군 지휘관이다.
- 〈NBC〉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