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처음으로 읽는 궁중음악 이야기)

송지원 (지은이)
추수밭(청림출판)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8,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처음으로 읽는 궁중음악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9235599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3-05-15

책 소개

2010년 출간된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의 개정판이다. 오늘날의 국립국악원에 해당하는 장악원의 풍경을 중심으로 조선 시대 음악인들의 일상을 그렸다. 그들이 연주한 음악과 악기에 얽힌 사연을 재미난 일화를 곁들여 풀어냈다.

목차

저자 서문 | 조선 시대로 떠나는 음악 여행 5
프롤로그 | 조선 시대 궁중 연향 현장 스케치 - 숙종, 한바탕 잔치를 벌이다 12

1장 조선 시대 음악가들의 희로애락 - 장악원 풍경
음악이 있는 곳엔 항상 그들이 있다! 27
tip1. 조선 시대 음악의 기준서, 《악학궤범》 35
조선의 음악을 이끈 쌍두마차 36
조선 시대 뮤지션으로 산다는 것 42
눈 대신 귀! 또 하나의 주역, 관현맹인 47
조선 시대 춤꾼, 무동과 여기의 삶 49
연습, 연습, 연습! 오직 연습만이 살 길이다 54
배워서 남 주나? 조선 음악인의 중국 견문기 65
중국에 파견된 노래 사절단, 창가비를 아시나요? 68
tip2. 소현세자 따라온 명나라 유민 굴씨 이야기 74

2장 알고 보면 재밌는 궁중음악 상식 - 예禮와 악樂의 앙상블
우주를 닮은 음악 79
tip3. 국상에도 음악을 연주해야 했던 숙종의 비애 89
조선 왕실의 다섯 가지 소문난 잔치는? 91
음악은 백성과 더불어 즐기는 것! 〈여민락〉이야기 95
조선의 음악에서 고려의 향기가 난다 98
춤에도 격이 있다! 당악정재 이야기 100
우주의 암호가 들어 있다고? 일무 이야기 104
100년만의 부활! 처용무 재현 분투기 107
악기는 아무나 만드나? 인정전 악기 제작 프로젝트 111
tip4. 조선 시대 악기 제작 단가는? 117
멀고도 험난했던 악기 국산화의 길 118
‘예’가 무너진 사회, ‘악’으로 일으켜라! 122

3장 조선의 대표 음악가 10인의 고군분투기 - 새로 쓰는 악인樂人열전
조선의 음악은 나로부터 시작했다 - 맹사성 131
세종의 뛰어난 ‘음악 비서’ - 박연 137
비로소 조선의 음악이 완성되다 - 성현 141
신선놀음에서 전문 음악인으로 - 임흥 152
주체할 수 없는 천재적 기예 - 정렴 159
악보 제작의 달인 - 허억봉 163
조선 음악 부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다 - 허의 168
tip5. 전쟁은 악기도 숨게 한다 174
조선 음악 분기점의 산증인 - 한립 175
영조의 아악 부활 프로젝트를 이끌다 - 이연덕 179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정조의 기대주 - 김용겸 185
tip6. 그 누구보다 귀가 밝았던 정조 190
tip7. 사도세자의 넋을 기리다, 〈경모궁제례악〉 192

4장 기技로 완성하는 예藝 - 이야기가 있는 악기樂器열전
망국 가야의 한을 담은 섬세한 선율 - 가야금 195
tip8. 사라진 연주 공간, 움집 204
태곳적 북방의 웅혼한 선율 - 거문고 205
단순함에 깃든 화려함 - 해금 215
영혼을 위로하는 저음 - 아쟁 223
국악기의 이방인 - 양금 231
그리움이 묻어나는 소리 - 비파 239
만 가지 파도를 쉬게 하는 소리 - 대금 249
왜소하지만 꿋꿋한 힘 - 피리 260
tip9. 곱게 화장하지 않은 자, 유죄! 269
만물을 생동하게 하는 소리 - 생황 270
tip10. 성호 이익의 증언으로 본 생황의 유통과 제작 280

참고 문헌 282
도움 주신 분들 286

저자소개

송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음악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비전임교수로 강의하고 있으며 국악방송에서 〈국악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명예회장이다. 조선시대의 음악사상사, 음악문화사, 음악사회사 분야의 연구를 통해 인간과 문화, 사회, 사상의 관점에서 조선시대를 읽어 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연예술 및 축제와 의례에 대한 관심도 크다. 2002년 제3회 이혜구 학술상과 2013년 제17회 난계악학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회장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의 국악연구실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 및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정조의 음악정책』, 『한국음악의 거장들』,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음악, 삶의 역사를 만나다』(공저), 『새로 쓰는 예술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악공과 악생은 이른바 3D 직종의 하나로 여겨졌다. 그래서 전쟁 후 흩어졌던 악공과 악생 중에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 실제로 악공과 악생의 수가 모자라 충원하는 데에 애를 먹었으며, 정원을 채우지 못할 때도 허다했다. 그러면 각 지방에 인원수를 할당해서 서울로 보내는 식으로 조달했는데, 사정은 해당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조선 시대 음악인의 연주 행위는 순수하고 자발적인 예술 욕구라기보다는 동원 체제의 하나로서 ‘신역’의 형태로 부과되는 것이었다. 즉, 순수한 ‘음악 행위’ 이전에 대가가 낮은 ‘노동’의 한 형태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창가비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명나라로 떠나게 된다. 떠나기 전에는 이들의 부모친척과 함께 위로연을 열어 주는데, 잔치판은 온통 울음판이 되어 버린다. 먼 이국땅으로 떠나면 언제 돌아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종 대에는 모두 25명의 여자아이들이 명나라로 파견을 가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