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야만의 스포츠

야만의 스포츠

(전 세계로 번지는 재앙)

마르크 페렐망 (지은이), 이현웅 (옮긴이)
도서출판 삼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7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야만의 스포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야만의 스포츠 (전 세계로 번지는 재앙)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스포츠/레저 기타 > 기타
· ISBN : 978899249066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09-17

책 소개

국제 스포츠 행사들을 분석하며 어떻게 스포츠가 오늘날 우리의 일상과 시선을 조작하고, 그로부터 우리가 광신적 애국주의, 인종혐오, 육체에 가해지는 폭력, 만인에 대한 만인의 경쟁, 적에 대한 증오를 체화하는지를 가차 없이 폭로한다.

목차

- 들어가는 글
1. 베를린과 모스크바에서 드러난 올림픽의 진정한 얼굴, 아르헨티나 월드컵_19
2. 2008년 베이징 : 치욕의 올림픽_27
3. 올림픽헌장_49
4. 경쟁의 스포츠 : 세계화된 스포츠 쇼와 국가적 상징_78
5. 세상만큼 오래된 스포츠 : 새로운 스포츠 질서_88
6. 스포츠비판의 기원과 발전 : 스포츠가 진행시키는 세계화_97
7. 스포츠·문화·젊은이_107
8. 챔피언·약물·약물중독_116
9. 약물과 스포츠의 세계화_135
10. 스포츠의 세계화와 생산양식_146
11. 스타디움 : 쇼_155
12. 스타디움 : 관중의 결집과 함성_162
13. 영상에 의한 스포츠의 탄생 : 스타디움 내부의 영상_182
14. 영상의 힘 : 스포츠의 미디어화?미디어의 스포츠화_197
15. 규격화된 미학_207
16. 성·동성애·스포츠_219
17. 스포츠라는 종교 : 노동 가치를 지닌 문명으로의 이행_229
18. 스포츠 학과목의 등장_234
19. 스포츠비판의 과거 : 더 이상 스포츠비판이 아닌 것_238
20. 스포츠비판의 미래_245
- 덧붙이는 글

- 원주
- 참고문헌
- Dazed & Confused와의 인터뷰
- 《리베라시옹》에서
- 역자후기
- 찾아보기

저자소개

마르크 페렐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생. 파리10대학에서 인간의 몸과 건축물의 관계를 주제로 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고, 이후 미학분야에서 프랑스 대학의 최고학위로 간주되는 연구지도자격HDR을 취득했다. 현재 같은 대학에서 건축학과 미학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또한 1986년부터 2004년까지 레 에디시옹 드 라 파시옹Les Editions de la Passion 출판사를 설립해 운영하며 인문학·미학·건축학 분야에서 많은 책을 출판했고, 현재 베르디에Verdier 출판사와 파리10대학출판부가 각각 총서로 발간하고 있는 <예술과 건축 Art et architecture>과 <책과 사회Livre et societe>의 편집책임을 맡고 있다. 이미 1975년부터 스포츠에 대한 근본주의적 비판가 장 마리 브롱Jean-Marie Brohm과 함께 잡지 《어떤 육체Quel Corps?》를 발간했을 만큼 아주 이른 시기부터 스포츠에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저서로는 『육체의 구성/건축학의 공장. 형상, 역사, 광경Construction du corps/Fabrique de l'architecture. Figures, histoire, spectacle』(1994), 『야만의 스타디움. 스포츠 광경이 만들어내는 분노Le Stade barbare. La Fureur du spectacle sportif』(1998), 『스타디움들의 시대. 어떤 역사적 공간의 생성과 구조L'Ere des stades. Genese et structure d'un espace historique』(2010), 『또 다른 자아. 도시, 육체, 대중Alter ego. Ville, corps, masse』(2013) 등이 있으며 이 제목들이 암시하듯, 그는 인간·건축물·스포츠(혹은 광경)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이어오고 있다.
펼치기
이현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출판 기획자와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느와르』, 『어느 인질에게 보내는 편지』, 『자본주의는 윤리적인가』, 『2030 미래희망』,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혁명의 한가운데로의 여행』, 『그들이 세상을 지배해왔다』, 『야만의 스포츠』, 『생텍쥐페리의 르포르타주』, 『나치의 아이들』, 『유엔을 말하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불』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명선수의 육체에 변화가 생기는 순간, 사회의 시선은 거기로 쏠리곤 했다. 이렇게 되면 선수의 육체는 정말로 더 이상 그의 것이 아니다.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의학기술이 그의 육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스포츠계에서 약물사용이 불가피하고 결정적인 수단이 되면서부터, 유명선수의 육체와 그의 이미지와 그를 모방하려는 시선에 변화가 생기게 됐다.


어떤 이들은 약물사용이 확실히 비극적인 일이긴 해도, 스포츠 영역을 우연히 덮친 다음에 그곳을 전염시킨 현상으로 판단한다. 만일 이렇다면 약물을 사용하는 일 자체만을 비판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 약물사용은 모든 스포츠의 핵심적인 단계를 이루고 있다는 의미에서, 스포츠 자체에 고유하게 속한 사건이다. 곧 지금약물사용은 스포츠에 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스포츠의 토대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