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스포츠/레저 기타 > 기타
· ISBN : 978899249066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09-17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글
1. 베를린과 모스크바에서 드러난 올림픽의 진정한 얼굴, 아르헨티나 월드컵_19
2. 2008년 베이징 : 치욕의 올림픽_27
3. 올림픽헌장_49
4. 경쟁의 스포츠 : 세계화된 스포츠 쇼와 국가적 상징_78
5. 세상만큼 오래된 스포츠 : 새로운 스포츠 질서_88
6. 스포츠비판의 기원과 발전 : 스포츠가 진행시키는 세계화_97
7. 스포츠·문화·젊은이_107
8. 챔피언·약물·약물중독_116
9. 약물과 스포츠의 세계화_135
10. 스포츠의 세계화와 생산양식_146
11. 스타디움 : 쇼_155
12. 스타디움 : 관중의 결집과 함성_162
13. 영상에 의한 스포츠의 탄생 : 스타디움 내부의 영상_182
14. 영상의 힘 : 스포츠의 미디어화?미디어의 스포츠화_197
15. 규격화된 미학_207
16. 성·동성애·스포츠_219
17. 스포츠라는 종교 : 노동 가치를 지닌 문명으로의 이행_229
18. 스포츠 학과목의 등장_234
19. 스포츠비판의 과거 : 더 이상 스포츠비판이 아닌 것_238
20. 스포츠비판의 미래_245
- 덧붙이는 글
- 원주
- 참고문헌
- Dazed & Confused와의 인터뷰
- 《리베라시옹》에서
- 역자후기
- 찾아보기
책속에서
유명선수의 육체에 변화가 생기는 순간, 사회의 시선은 거기로 쏠리곤 했다. 이렇게 되면 선수의 육체는 정말로 더 이상 그의 것이 아니다.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의학기술이 그의 육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스포츠계에서 약물사용이 불가피하고 결정적인 수단이 되면서부터, 유명선수의 육체와 그의 이미지와 그를 모방하려는 시선에 변화가 생기게 됐다.
어떤 이들은 약물사용이 확실히 비극적인 일이긴 해도, 스포츠 영역을 우연히 덮친 다음에 그곳을 전염시킨 현상으로 판단한다. 만일 이렇다면 약물을 사용하는 일 자체만을 비판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 약물사용은 모든 스포츠의 핵심적인 단계를 이루고 있다는 의미에서, 스포츠 자체에 고유하게 속한 사건이다. 곧 지금약물사용은 스포츠에 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스포츠의 토대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