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사전략/무기
· ISBN : 9788992521901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08-10-05
책 소개
목차
Ⅰ 군사혁신이란 무엇인가?
1. 정의 및 기본개념 19
⑴ 혁신에 관하여 /19
⑵ 군사혁신 /24
2. 군사혁신의 조건 27
⑴ 불리한 군사·안보적 환경 /28
⑵ 혁신을 위한 차별화된 능력 /28
⑶ 지도력과 정책적 의지 /29
3. 군사혁신의 대상 30
⑴ 무기와 전투력 /30
⑵ 부대구조 /31
⑶ 전략 /32
4. 군사혁신의 특징 33
Ⅱ 군사혁신의 역사
1. 도구에서 화약으로 39
⑴ 화약 이전의 군사력 /39
⑵ 화약:전쟁의 새로운 지배자 /53
2. 기계의 시대 70
⑴ 산업혁명과 군사력 /70
⑵ 기계화 전쟁 /83
⑶ 핵시대의 공포 /98
3. 정보화 대 비대칭 109
⑴ 정보우위가 승리를 결정한다. /109
⑵ 4차원의 새로운 전장 /131
⑶ 약자의 선택, 비대칭전 /137
4. 향후 전망 151
⑴ 주목받는 신기술 /151
⑵ 합동성 그리고 만능 소형부대 /162
⑶ 비(非)선형, 마비·병렬전 /167
⑷ 제4세대 전쟁의 도전 /172
Ⅲ 주요 국가들의 군사혁신 현황
1. 미국:‘국방변혁’을 향하여 179
⑴ 쏟아지는 신무기들 /180
⑵ 효과와 네트워크:전술·작전의 신개념 /200
⑶ 원정부대와 합동성으로의 길 /205
⑷ 럼스펠드 개혁의 명(明)과 암(暗) /214
2. 러시아:북극곰의 귀환 222
⑴ 재정비되는 전투력 /225
⑵ 공세 전략의 강화 /234
⑶ 통합군에서 합동군으로 /241
3. 유럽:평화 속의 개혁 244
⑴ 작지만 더욱 강하게 /245
⑵ 합동성과 기능 중심으로 /257
⑶ 유럽의 깃발 아래 /263
4. 군사 강소국(强小國)들 267
⑴ 이스라엘 /267
⑵ 싱가포르 /278
⑶ 호주 /285
5. 동북아시아 291
⑴ 중국 /291
⑵ 일본 /308
⑶ 대만 /328
Ⅳ 한국의 군사혁신-과제, 그리고 제언
1. 당위성-왜 군사혁신인가? 353
⑴ 군사적 도전의 실재(實在) /353
⑵ ‘한미동맹 만능주의’의 종언(終焉) /378
⑶ ‘우물안 개구리’식 군사력의 한계 /387
2. 비전-무엇을 혁신할 것인가? 397
⑴ 군사전략의 혁신 /400
⑵ 전투력의 혁신 /408
⑶ 부대구조의 혁신 /464
3. 실천방안-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478
⑴ 연구개발과 방위산업 역량의 강화 /478
⑵ 적정예산 보장과 구조조정의 동시 실천 /486
⑶ 인적 역량의 정예화 /496
⑷ 정치·군사 지도부의 혁신 리더십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