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8899268047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0-10-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04
Ⅰ. 서론 09
1. 연구목적 09
2. 선행연구 14
1) 환상문학과 인식 일반 14
2) 선행연구 19
3. 연구대상 및 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방법 54
Ⅱ. 환상성에 관한 문학적 접근 및 이해 59
1. 환상성의 개념 및 정의 61
2. 환상성의 존재와 기능 75
Ⅲ. 환상성의 수용양상과 그 기법 83
1. 초월적 공간과 현실적 공간의 수평적 기법 85
1) 「만복사저포기」 88
2) 「취유부벽정기」 99
3) 「이생규장전」 104
4) 「원생몽유록」 109
5) 「운영전」 118
2. 초월적 시간과 현실적 시간의 충격적 기법 130
1) 「조신전」 130
2) 「구운몽」 135
3. 현실적 인간계와 초월적 선계의 경계 허물기 기법 144
1) 「남염부주지」 145
2) 「용궁부연록」 157
3) 「안빙몽유록」 162
4) 「황릉몽환기」 173
Ⅳ. 환상성을 통해 본 작가와 독자의 내재적 의식체계 181
1. 욕망과 세계와의 갈등 해소를 위한 작가 의식체계 183
1) 「조신전」의 일연 183
2) 『금오신화』의 김시습 184
3) 「안빙몽유록」의 신광한 187
4) 「원생몽유록」의 임제 190
5) 작자미상의 「운영전」 191
6) 김만중의 「구운몽」 193
7) 작자미상의 「황릉몽환기」 195
2. 욕망과 세계와의 보상 심리를 위한 독자 의식체계 200
Ⅴ. 환상적 모티프의 문학사적 기여도 209
Ⅵ. 결론 223
참고문헌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