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92803106
· 쪽수 : 405쪽
· 출판일 : 2008-09-26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 ⅩⅠ
저자 서문 / ⅩⅣ
제1부 테러리즘의 이해 1
1.테러리즘의 정의 2
정치적 극단주의의 이해 / 3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정의 / 6
테러리스트 또는 자유 투사 / 13
정치폭력 매트릭스 / 19
제1장 요약 / 21
핵심용어와 개념 / 26
테러리즘 웹 사이트 / 26
웹 훈련 / 26
추천문헌 / 27
2. 역사적 조망과 이념적 연원 28
테러리즘에 대한 역사적 조망 / 28
테러의 이념적 연원 / 34
2001년 9월 11일과 테러리즘의 새로운 시대 / 46
제2장 요약 / 51
핵심용어와 개념 / 53
테러리즘 웹 사이트 / 54
웹 훈련 / 54
추천문헌 / 55
3. 테러리스트 폭력의 원인 56
부정의의 결실로서의 정치적 폭력 / 57
전략적 선택으로서 정치적 폭력 / 66
정치적 폭력의 도덕성 / 69
제3장 요약 / 77
핵심용어와 개념 / 80
테러리즘 웹 사이트 / 81
웹 훈련 / 81
추천문헌 / 81
제2부 테러리즘의 환경 83
4. 국가에 의한 테러리즘 84
정부에 의한 테러리즘에 대한 관점 / 85
국가에 의한 국내 테러리즘 / 91
외교정책으로서의 테러리즘 / 102
제4장 요약 / 109
핵심용어와 개념 / 111
테러리즘 웹 사이트 / 112
웹 훈련 / 112
추천문헌 / 113
5. 반체제 테러리즘 114
폭력적 반체제 테러에 대한 시각 / 116
반체제 테러리즘의 관행 / 122
반체제 인사와 신테러리즘 / 132
제5장 요약 / 135
핵심용어와 개념 / 138
테러리즘 웹 사이트 / 139
웹 훈련 / 139
추천문헌 / 139
6. 종교적 테러리즘 141
종교적 폭력에 대한 역사적 관점 / 141
종교적 테러리즘의 실행 / 153
경향과 전망 / 164
제6장 요약 / 167
핵심용어와 개념 / 169
테러리즘 웹 사이트 / 169
웹 훈련 / 169
추천문헌 / 170
7. 국제테러리즘 171
국제테러리즘의 이해 / 173
국제 테러 네트워크 / 181
신테러리즘의 국제적 차원 / 184
제7장 요약 / 192
핵심용어와 개념 / 194
테러리즘 웹 사이트 / 194
웹 훈련 / 195
추천문헌 / 195
8. 미국의 국내 테러 196
미국 내 극단주의 / 197
미국 내 좌파 테러리즘 / 205
미국 내 우파 테러리즘 / 215
제8장 요약 / 223
핵심용어와 개념 / 224
테러리즘 웹 사이트 / 225
웹 훈련 / 226
추천문헌 / 226
제3부 테러리스트의 투쟁과 대응 229
9.테러리스트 폭력과 미디어의 역할 230
미디어 역할의 이해 / 230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전쟁 / 236
제9장 요약 / 247
핵심용어와 개념 / 249
테러리즘 웹 사이트 / 249
웹 훈련 / 249
추천문헌 / 250
10. 테러리스트의 전술과 표적 251
테러리스트 목적의 이해 / 252
테러리스트의 무기고 / 256
테러리스트의 표적 / 266
제10장 요약 / 274
핵심용어와 개념 / 277
테러리즘 웹 사이트 / 278
웹 훈련 / 278
추천문헌 / 278
11. 대테러정책과 테러와의 전쟁 279
무력의 사용 / 280
전쟁 이외의 작전 / 291
법적 대안들 / 301
제11장 요약 / 311
핵심용어와 개념 / 313
테러리즘 웹 사이트 / 315
웹 훈련 / 315
추천문헌 / 315
12. 테러리즘의 미래 경향과 추이 317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318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재검토 / 330
제12장 요약 / 340
핵심용어와 개념 / 342
테러리즘 웹 사이트 / 342
추천문헌 / 342
부록A 참고지도 / 343
부록B 국가정보예측: 미국 본토에 대한 테러 위협 / 356
용어해설 / 366
주 / 387
찾아보기 / 394
저자 및 번역진 소개 / 402
도해목차
도표
도표 1.1 정치폭력 매트릭스 20
도표 2.1 마르크스: 산업시대의 계급 피라미드 41
도표 2.2 미 국토안보부 경보체계 51
도표 8.1 1980년~2001년간 발생한 집단별 미국 내 테러리즘 197
도표 10.1 미국 내에서의 테러리스트 사건의 유형, 1980~2001 268
도표 11.1 국가정보국장실의 조직도 295
도표 12.1 국토안보부 조직도 339
표
표 2.1 고전적 이념의 연속선: 프랑스 혁명 사례 35
표 2.2 고전적 이념의 연속선: 근대적 정치 환경 36
표 2.3 고전적 이념의 연속선: 미국의 사례 38
표 2.4 이념의 비교 47
표 3.1 테러리즘에 대한 민족주의와 사회학적 설명: 지지세력과 반대세력 60
표 4.1 테러리즘에 대한 국가 후원 86
표 4.2 국가의 내적 권위 93
표 4.3 국가 주도 학살 103
표 4.4 자경단 테러리즘: 준군사조직의 사례 104
표 4.5 국가 후원 테러리즘: 외교정책 분야 105
표 5.1 외국 테러조직 (2004) 115
표 5.2 자아의식 혹은 허위의식? 자유투사로서의 반체제 테러리스트 122
표 6.1 사례비교: 종교적/세속적 테러리즘 142
표 6.2 두 가지 전통, 하나의 종교 160
표 6.3 종교적 테러리즘 165
표 7.1 국제적인 반체제 테러리즘 173
표 7.2 국제테러리즘과 테러 환경 176
표 7.3 국제테러 환경의 이해 185
표 7.4 국가 없는 혁명 191
표 8.1 미국 내 테러리즘의 특징 198
표 8.2 미국에서의 인종 갈등: 1960년대의 ‘길고 뜨거웠던 여름’ 212
표 8.3 우애로운 클랜(The Fraternal Klan) 218
표 9.1 홍보: 폭력적 극단주의자의 조직적 명칭 237
표 10.1 후원자와 적: 전술과 표적의 선정 255
표 10.2 인티파다 자살 폭탄범들 267
표 10.3 효율성의 척도 274
표 11.1 대테러정책 대안들: 일반적 정책 분류 281
표 11.2 대테러 옵션: 무력의 사용 292
표 11.3 경제제재: 성공을 위한 조건과 문제점들 297
표 11.4 전쟁 이외의 작전: 강압적 대안들 298
표 11.5 전쟁 이외의 작전: 유화적 대안들 302
표 11.6 대테러 옵션: 법적인 대응 311
표 12.1 대테러정책 대안들: 일반적 정책 분류 319
표 12.2 분쟁 중인 세계: 정치적 폭력의 근원 추론 325
표 12.3 연방 기관과 국토안보: 9?11에 의한 조직의 위기 이전 338
표 12.4 연방 기관과 국토안보: 조직의 위기 이후 340
관점
관점 1.1 우리, 클랜의 신념 7
관점 1.2 신테러리즘 시대에 적을 분류하는 문제 11
관점 2.1 가이 포크스(Guy Fawkes)의 폭파 음모 31
관점 2.2 스페인의 팔랑헤 당: 파시즘의 모델 43
관점 2.3 신테러리즘 시대의 전쟁 수행 49
관점 3.1 여성 테러리스트들 63
관점 3.2 베트콩의 선택적 테러리즘 지령 70
관점 3.3 폭력적 극단주의자들의 배경: 레일라 칼레드와 아부니달 74
관점 4.1 해방운동의 혼란: 짐바브웨의 국가적 억압 90
관점 4.2 사회정화 95
관점 4.3 안팔작전: 이라크에서의 집단학살적 국가 테러리즘 99
관점 4.4 크메르 루주: 캄보디아의 집단학살적 국가 테러리즘 101
관점 4.5 계산 또는 오산? 대량살상무기와 이라크 사태 107
관점 5.1 아동 병사 120
관점 5.2 팔레스타인 운동(Palestine Movement) 125
관점 5.3 러시아의 체첸 테러리즘 133
관점 6.1 가나안 땅의 정복 144
관점 6.2 시온 장로들의 의정서: 극우주의자들의 음모 151
관점 6.3 지하드: 신을 위한 투쟁 153
관점 7.1 테러리스트들 간의 협력: 유럽 커넥션 172
관점 7.2 국제테러리즘의 변화하는 환경 178
관점 7.3 국제테러리즘의 주목할 사례: 일본 적군파(JRA)와 로드(리디아) 공항 학살사건 182
관점 7.4 알 카에다를 넘어 188
관점 8.1 미국의 컬트와 테러리스트 폭력 199
관점 8.2 미국 우파의 음모론 203
관점 8.3 테러리즘의 씨앗: 미국 좌파의 급진주의 206
관점 8.4 테러리즘의 씨앗: 미국 우파적 반동성 216
관점 9.1 메시지 전달 245
관점 10.1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 교본 265
관점 10.2 표적의 상징성: 미국에 대한 테러리스트 공격 270
관점 10.3 전술적 공포: 디지털, 비디오. 그리고 오디오 테러리즘 272
관점 11.1 엘도라도계곡 작전(Operation El Dorado Canyon) 284
관점 11.2 인질구출 289
관점 11.3 미르 아이말 칸시(Mir Aimal Kansi)의 체포 303
관점 11.4 고문 논란 307
관점 12.1 홀로코스트 부정(Holocaust Denial) 329
책속에서
반체제 테러리즘은 정부과 국가의 상징물을 대상으로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는 종족-민족, 인종, 종교 혹은 이념적인 적대 세력으로 전체 주민을 직접 겨냥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적대세력의 범위가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규정되기 때문에, 이런 유형의 테러리즘은 극단적인 억압과 대규모 폭력의 성격을 보이는 것이 특이하지 않다. 공동체의 테러리즘은 갈등의 오랜 문화적 기억 속에서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경우에 때로는 대량학살 행위로 이어진다. 왜냐하면 서로 적대적인 사람들은 강대국이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이들은 모두가 인정하는 전투 규칙을 무시하고 무차별적 차량폭파, 폭탄 투척 혹은 대중을 향한 총기를 난사함으로써 민간인을 살해하거나 불구로 만들기 때문이다. (127~128쪽, '제5장_반체제 테러리즘'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