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기구의 이해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4판)

Margaret P. Karns, Tana Johnson, Karen A. Mingst (지은이), 김계동, 김지용, 이상현, 이유진, 최영미 (옮긴이)
명인문화사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600원 -10% 0원
1,700원
2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기구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1931586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5-08-26

책 소개

탈식민주의와 같은 새로운 이론을 다루고, 5장 지역기구에서 북극이사회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지역기구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간안보 장을 추가하여 코로나19 팬더믹을 포함한 보건 분야, 2022~2023년 글로벌 식량위기와 관련한 분야, 이주와 난민, 인신매매 등의 주제를 새롭게 다루고 있다.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4판』은 미국 Lynne Rienner 출판사에서 꾸준히 개정‧출판하는 Margaret P. Karns, Tana Johnson, Karen A. Mingst가 쓴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The Politics and Processes of Global Governance, 4th edition의 번역서로 국제기구에 관하여서는 최고의 교재라 할 수 있을 만큼 변화하는 국제기구의 모습을 이론별, 분야별, 조직별 등으로 살펴보고 있다.

한국에서 2007년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으로 번역, 출간되었으며, 2011년에는 개정 2판, 2017년에는 개정 3판이 출간되었다. 이번 개정 4판은 3판과의 시간 차가 다소 있지만, 기존의 틀은 유지하면서 변화하는 세계정세, 권력관계, 여러 분야에서 새로이 등장한 다양한 이론과 사건들을 담아 많은 부분을 업데이트했다.

기존 저자인 칸스(Margaret P. Karns)와 밍스트(Karen A. Mingst) 외에 4판 개정판에서는 관료제, 국제기구 운영분석, 공공관리 등을 연구하는 존슨(Tana Johnson) 교수가 합류하여 더 많은 새로운 관점을 반영해 개정판을 출간했다.

이번 4판은 탈식민주의와 같은 새로운 이론을 다루고, 5장 지역기구에서 북극이사회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지역기구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간안보 장을 추가하여 코로나19 팬더믹을 포함한 보건 분야, 2022~2023년 글로벌 식량위기와 관련한 분야, 이주와 난민, 인신매매 등의 주제를 새롭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평화와 안보 장에서 다루면서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전쟁범죄에 대한 실시간 기록, 전쟁이 글로벌 식량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를 다수 포함하였다. 이와 더불어 포퓰리즘적 민족주의 영향, 디지털 화폐 관련 이슈, 소셜 미디어와 전통 미디어의 역할, 기후와 관련한 다양한 주제도 다루고 있다.

이미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개념이 점차 정착되고 있지만, 국제기구는 더 이상 정부간기구의 성격만 가지고 있지 않다. 정부가 주도하지 않는 민간인이나 시민사회 단체에 의한 비정부기구들이 탄생하면서 국제기구의 범위는 비정부기구로까지 확대되었으며 통치를 위한 제도뿐만 아니라 규칙, 규범, 협정 등 레짐 등을 모두 살펴보는 거버넌스(governance)의 측면으로 연구의 범위가 넓어졌다.

이러한 거버넌스의 초점을 중심으로 국제기구를 분석한 이 책은 국제기구에 대한 이론적 틀을 국제정치 이론과의 접목뿐만 아니라 기존의 UN 연구에서부터 국제정치에서 더욱 더 비중이 커져가는 정부간기구, 비정부기구, 국가와 비국가행위자, 규범과 규칙 그리고 그 외 글로벌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이 책에 담았다.

변화하는 국제기구를 설명하는 데 있어 이 책은 국제기구의 바이블로 여겨질 만큼 학자들에게 꼭 필요한 책일 것이다. 또한, 국제기구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훌륭한 교과서가 될 것이며, 국제기구에 취업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나 공무원들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다.

목차

서문
1장 글로벌거버넌스의 개념과 과정
글로벌거버넌스는 무엇인가?
글로벌거버넌스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이유
세계화
기술의 변화
초국가주의의 확대
강대국 관계의 변화
글로벌거버넌스의 행위자
국가
정부간기구
비정부기구와 시민사회
전문가와 지식공동체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다국적기업
글로벌거버넌스의 과정: 다자주의의 중요성
어떻게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가
리더십
행위자의 전략
글로벌거버넌스의 다양성
핵심 조직과 구성: 정부간기구
비정부기구
규칙에 기반한 거버넌스: 국제규칙, 국제표준, 국제법
국제규범 또는 ‘연성법’
국제레짐과 레짐복합체
단체와 글로벌회의
사적 거버넌스
공적-사적 파트너십
글로벌거버넌스의 정치와 효율성
힘: 누가 무엇을 얻는가? 누가 이득을 보는가? 누가 손해를 보는가?
권위와 정통성: 누가 통치하고 무엇에 기초하는가?
책임: 누가 누구에게 어떻게 책임이 있는가?
효율성: 우리는 무엇이 작동하는지 어떻게 아는가? 성공과 실패는 어떻게 측정하는가?
2장 글로벌거버넌스이론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또는 신자유주의
기능주의
국제레짐
합리적 설계
집단재 또는 공공재이론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또는 구조적 현실주의
전략적 또는 합리적 선택이론
패권안정이론과 강대국 협력체
사회적 구성주의
비판이론
마르크스주의와 신마르크스주의이론
종속이론
비판적 페미니즘
탈식민주의이론
안보화 연구
조직 간 상호작용이론
조직 간의 과정
네트워크
주인-대리인(PA)이론
조직 내부의 과정
국제관계이론과 글로벌거버넌스
3장 국제기구와 글로벌거버넌스의 기초
국가체제와 그 약점: 국제기구의 발전 과정
초기 거버넌스 혁신: 19세기의 유산
유럽협조체제
공공 국제조합 및 기타 전문기구
헤이그체제
국제연맹
국제기구 공통 핵심 구조의 출현
유엔체제
기능 및 전문기구의 확장
보건문제와 세계보건기구
통신
노동문제와 ILO
식량농업기구와 국제식량레짐
표준화 운동과 ISO: 민간 국제표준 설정
국제재판법원 및 분쟁해결
PCIJ에서 ICJ로
지역법원
전문 법원 및 재판소
민간국제법원
4장 유엔: 글로벌거버넌스의 중심
유엔헌장과 주요 원칙
유엔의 주요 기관
총회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사무국
국제사법재판소
신탁통치이사회
국제회의와 정상회의
지속적인 조직문제와 개혁의 필요성
안전보장이사회의 구조적 개혁
사무국 개혁
재정
비국가행위자들의 통합
유엔과 지역기구들과의 관계
5장 지역기구
지역주의의 기원과 역학
지역의 정의
지역주의를 이끄는 정치적 요인
지역주의를 이끄는 경제적 요인
지역 비교
유럽의 지역기구
북대서양조약기구
유럽안보협력기구
유럽연합
유럽이 다른 지역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아메리카의 지역기구
아메리카 지역주의의 발전
범아메리카 지역주의와 미주기구
소지역통합
아시아의 지역기구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아프리카의 지역기구
아프리카통일기구에서 아프리카연합으로
아프리카연합
중동의 지역기구
아랍연맹
걸프협력회의
북극 지역주의
북극지역의 형성
북극이사회
지역주의의 결과를 평가하기
지역주의를 넘어: 초지역적 기구
6장 비국가행위자의 비판적 역할
비국가행위자의 범위
비정부기구
사회운동과 초국가적 옹호네트워크
인식공동체와 싱크탱크
재단
다국적기업과 기업협회
전통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악한’ 비국가행위자들
다중 이해관계자 협정과 ‘글로벌 시민사회’
비국가행위자의 성장
1700년대와 1800년대의 비국가행위자
국제연맹의 비국가행위자들
유엔의 비국가행위자들
비국가행위자와 유엔 후원회의
비국가행위자의 공급과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
비국가행위자와 정책결정
의제설정, 정책결정 및 집행
비국가행위자의 다양한 목표와 접근방식
IGO에 대한 비국가행위자 접근의 변화
비국가행위자와 관련된 문제들
공익을 위한 활동인가, 정치를 위한 활동인가, 아니면 해를 끼치는 활동인가?
글로벌거버넌스의 민주화?
글로벌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국가주권에 대한 위협?
7장 평화와 안보 추구
안보거버넌스의 기원으로서의 전쟁
정부간기구와 안보
비정부기구와 안보
무력사용과 관련된 규범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메커니즘
조정
예방외교
재판과 중재
집단안보, 강제, 그리고 제재
무력을 동반한 집단안보 노력
강제와 제재
평화활동
강제조치와 평화유지의 구분
전통적 평화유지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평화유지활동
전후 평화구축 및 국가건설
평화활동 조직화에 대한 도전
인도적 개입: R2P와 민간인보호 논쟁
평화활동의 성공과 실패 평가
군비통제와 군비축소
군비통제의 의제화
핵무기 능력 확산 제한
화학 및 생물학무기금지
지뢰와 집속탄 금지: NGO의 역할
세계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테러에 대한 대응
테러에 대한 국제적 대응
인간안보의 도전과제
8장 경제 번영 추구
글로벌 경제거버넌스: 주요 견해와 사건들
주요 견해: 중상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1940년대: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적 경제질서 구축
1950년대에서 1980년대: 자유주의 경제질서의 변화와 도전
1990년대: 자유주의 경제질서의 ‘승리’ 이후 부상한 세계화
2000년대부터 현재: 세계화와 세계화에 대한 반발
무역의 거버넌스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세계무역기구
특혜무역협정, 통화연합, 그리고 지역주의
무역과 기타 정책분야의 상호작용
무역거버넌스의 주요 주제
금융의 거버넌스
금본위, 변동환율 및 국제결제은행
국제통화기금
G7, G8 그리고 G20
유로존과 지역 금융거버넌스
금융의 민간거버넌스
국부펀드, 디지털 화폐, 그리고 민간 금융
금융거버넌스의 주요 주제
개발의 거버넌스
국가와 공적개발원조
세계은행그룹과 IMF를 통한 다자적 지원
지역개발은행
유엔과 개발 구상: 맞춤화, 데이터, 여성의 역할, 지속가능성
유엔과 개발목표 설정
개발 파트너들: 시민사회 단체, 자선재단, 기업
개발거버넌스의 주요 주제
다국적기업: 규제에서 파트너십으로
IGO를 통한 MNC 규제
기업의 자율 규제와 NGO 감시
파트너십과 협력: 유엔 글로벌콤팩트와 유엔 이행원칙
경제거버넌스의 도전과제
9장 인권보호
인권과 인도주의 규범의 근원
종교적 전통
철학자와 정치이론가
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논쟁
인도주의 규범의 진화
국가의 역할: 인권의 보호자와 남용자
국제 인권기관 및 메커니즘
비정부기구와 인권운동
국제연맹
유엔
인권 거버넌스의 과정
인권 기준과 규범의 설정
인권 감시
인권 증진
국제인권 규범 및 법의 집행
글로벌인권 및 인도적 거버넌스의 실행
집단학살과 인종청소
여성에 대한 폭력
성소수자 권리 인정 추구
인권의 세계화와 미국의 역할
10장 환경보존
환경과학의 진화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과 무대책
기후정의를 위한 청년운동의 미래
환경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들
유엔 환경회의, 위원회, 정상회의
1972년 스톡홀름회의
1983~1987년 브룬트란트위원회
1992년 리우회의
2002년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
2012년 리우+20회의
글로벌 환경거버넌스의 구성 요소
핵심 원칙들
다자간 환경협정
IGO 및 관련 기구들
기타 다양한 행위자들
지속가능발전목표
지역 환경거버넌스
유럽연합과 환경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과 환경
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환경
국제법정에서의 지역 환경분쟁
글로벌 환경거버넌스와 환경레짐 준수 및 효력
성공 사례: 멸종 위기종 거래
성공 사례: 오존층 파괴
11장 인간안보 증진
인간안보 개념: 확장된 안보 관점
인간안보와 보건거버넌스
국제보건 문제에 대한 대응 개발: 세계보건기구의 역할
WHO와 파트너십
WHO의 활동
글로벌거버넌스, 국제기구 그리고 식량안보
유엔 식량농업기구
세계식량계획과 식량 비상사태 대응
식량에 대한 인간의 권리가 존재하는가?
국제기구와 글로벌난민 및 이주위기
유엔 난민고등판무관
국제이주기구
글로벌 난민/이주 위기에 대한 다른 대응들
유엔과 글로벌 대응방안 개발을 위한 노력
조정: OCHA의 역할
인간안보를 보호하는 데 있어 직면한 도전
12장 글로벌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
왜 글로벌거버넌스는 실현되기 어려운가
글로벌거버넌스 행위자들의 기여
의제 형성
아이디어 생성과 확산
부족한 지식을 채우고 데이터를 제공
목표의 설정, 추진, 감시평가
개혁 추진
새로운 형태의 거버넌스 개발
글로벌거버넌스 행위자들이 겪는 어려움
국가의 내부 갈등 대응
국제적 규칙과 결정의 집행
다양한 행위자들 사이의 조정
위기에 대한 신속 대응
광범위한 목표를 위한 장기적 사업의 관리
미래의 도전들: 효과성을 넘어서
글로벌거버넌스의 책무성에 대한 도전
글로벌거버넌스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
글로벌거버넌스의 정의와 관련된 도전
글로벌거버넌스의 리더십에 대한 도전
글로벌거버넌스의 필요성


약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지도
7.1 소말리아
7.2 콩고민주공화국


4.1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거부권 행사, 1946~2022년
4.2 유엔이 지원하는 국제회의와 정상회의들
4.3 유엔체제의 비용, 1971~2020년
5.1 EU 회원국 변천
7.1 유엔제재의 주요 유형, 1990~2022년
7.2 전통적인 유엔 평화유지활동
7.3 복합적 유엔 평화유지작전
7.4 지역기구와 평화활동
7.5 냉전 이후 주요 인도적 위기 사례
9.1 선별된 유엔 인권협약
10.1 글로벌 및 지역 다자 간 환경협정

도표
1.1 글로벌거버넌스의 행위자
1.2 정부간기구 형태의 분류
1.3 글로벌거버넌스의 다양성
1.4 정부간기구의 기능
3.1 20세기 IGO와 INGO의 성장 패턴
3.2 기능적 정부간기구
3.3 주요 국제 및 지역법원
4.1 유엔헌장의 주요 규정
4.2 유엔체제
4.3 유엔 내 코커스그룹
4.4 유엔 회원국의 증가, 1945~2023년
4.5 유엔 사무총장
4.6 유엔체제 내에서의 여성, 1991~2019년
4.7 안전보장이사회 개혁 관련 논쟁
4.8 유엔 정규예산 및 자본기금의 주요 기여국 평가, 2021년
5.1 중첩된 유럽 제도
5.2 유럽통합 연대표
5.3 유럽연합 핵심 기관
5.4 아시아 지역기구
5.5 북극이사회에 영구 참가자로 참여하는 원주민 단체
6.1 비국가행위자의 유형
6.2 유엔 회의와 정상회의에서 국가 및 NGO의 참여
6.3 정책결정 과정의 세 가지 주요 단계
7.1 국가 기반 무력충돌의 세계적 추세, 1946~2022년
7.2 글로벌 및 지역안보 관련 정부간기구 및 관련 단체
7.3 안보 관련 국제비정부기구
7.4 침략범죄에 대한 정의
7.5 반인도적 범죄
7.6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헌장 제7장 결의안, 1995~2022년
7.7 평화작전임무의 유형
7.8 대량살상무기 관련 군비통제 조약
7.9 글로벌테러리즘 대응 법적레짐
8.1 주요 경제그룹
8.2 WTO의 주요 원칙
8.3 무역협정의 주요 유형
8.4 2015년 개혁 전후의 IMF 투표권 비율
8.5 지속가능발전목표
9.1 유엔 인권조직 구조
9.2 집단학살방지협약의 주요 조항
11.1 WHO 파트너십
11.2 FAO의 식량 불안정 수준 측정 방법
11.3 글로벌이주 동향, 1990~2020년
11.4 강제이주된 전 세계 인구, 2000~2020년

저자소개

Margaret P. Karns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대 정치학 박사 데이튼대 정치학과 명예교수 매사추세츠대 보스턴캠퍼스 거버넌스 및 지속가능성 센터 펠로우 주요 연구분야: 국제정치, 외교정책분석, 국제기구, 다자간 제도 주요 저서 The United States and Multilateral Institutions: Patterns of Instrumentality and Influence (Routledge, 1990) The United Nations in the 21st Century (Routledge, 1995) The United N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Routledge, 2000) 외 다수
펼치기
Karen A. Mingst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스콘신-매디슨대 정치학 박사 켄터키대 정치학과 명예교수 주요 연구분야: 국제기구, 국제법, 국제정치경제 주요 저서 Electing to Fight: Why Emerging Democracies Go to War (MIT Press) From Voting to Violence: Democratization and Nationalist Conflict (WW Norton) The United Nations in the 21st Century (Routledge) Essentia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9th ed. (WW Norton) 외 다수
펼치기
Tana Johns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대 박사 위스콘신-매디슨대 공공정책 및 정치학과 교수 주요 연구분야: 제도설계, 관료제 관리, 국제기구의 운영 분석, 공공관리 주요 논저 Organizational Progeny: Why Governments are Losing Control over the Proliferating Structures of Global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Guilt by association: The link between states’ influence and the legitimacy of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Review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dinary Patterns in an Extraordinary Crisis: How International Relations Makes Sense of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Organization) 외 다수
펼치기
김계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 외교학과 석사 일리노이주립대(어바나-샴페인) 정치학 박사 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한국핵물질관리학회(INMM-K) 이사 핵비확산 및 군축을 위한 아태리더십 네트워크(APLN) 이사, 한국 멤버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 스웨덴 스톡홀름 안보개발정책연구소 (ISDP) 객원연구원, 워싱턴 DC, Stimson Center 방문연구원 역임 주요 논저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과 한반도』 (공저, 세종연구소) Two Presidents, One Agenda: A Blueprint for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the 2020s and Beyond (공저, Wilson Center)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공저, 명인문화사) 『신외교안보 방정식: 네트워크 경쟁과 전략문화』 (공저, 전략문화연구센터) 『한반도 핵무기정치: 군사적 자산 또는 외교적 부담』 (공저, 명인문화사)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공저, 명인문화사) 『국제관계이론』 (역서, 명인문화사) 『사이버안보: 사이버공간에서의 정치, 거버넌스, 분쟁』 (공역, 명인문화사) 외 다수
펼치기
최영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인하대 정치학 석사 위스콘신 밀워키대 정치학 박사 현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한국조지메이슨대 국제학과 조교수 서울대 행정대학원 전임연구원 역임 주요 논저 “FTA Motives in South Korea: is an FTA a way to increase general welfare or to meet political interest?” (Contemporary Politics) “Constituency, Ideology, and Economic Interests in U.S. Congressional Voting: The Case of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한중일 삼국의 독자적 국제관계 이론화 성과에 대한 고찰” (국제정치논총) 『신자유주의』 (역서, 명인문화사) 『세계화와 글로벌 이슈, 6판』 (공역, 명인문화사) 외 다수
펼치기
이유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토론토대 정치학 석사 토론토대 정치학 박사 현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일미래포럼 이사 통일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캐나다학회 회장 역임 주요논저 The Integrity Gap: Canada’s Enviro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s, UBC Press (편저). 『글로벌 환경정치와 정책』 (역서, 명인문화사) 『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역서, 명인문화사) 『거버넌스』 (역서, 도서출판 오름) 『비정부기구의 이해, 2판』 (역서, 명인문화사) 『환경정치학』 (역서, 한울아카데미) 『비교정부와 정치, 12판』 (공역, 명인문화사) 『정치학개론, 15판』 (공역, 명인문화사)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의 원자력 관련 제도 변화에 대한 연구” (일본연구논총) “일본의 세습정치인에 대한 연구” (비교일본학) 외 다수
펼치기
김지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경제학과 졸업 연세대 국제관계학 석사 뉴욕주립대 국제관계학/방법론 박사 현 해군사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한국핵안보전략포럼 편집기획위원장 및 운영위원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사단법인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유엔 ICBL 아시아태평양 coordinator 국방부 군사명저 간행위원 방위사업청 “AI 기반 합동지휘통제 초지능화 기술개발” 자문위원 한국정치학회 국제정치연구분과 간사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이론분과 간사 국립외교원 객원교수, 중앙대 강의전담교수 역임 주요 논저 『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1: 당위성과 추진 전략』 (공저, 블루앤노트)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공저, 박영사) 『행태적 분쟁: 사람의 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미래 분쟁에서 왜 결정적인가?』 (공역, 국방부) 『국제안보의 이해: 이론과 실제』 (공역, 명인문화사)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공역, 명인문화사) 『국제분쟁관리』 (공역, 명인문화사) “중국의 해군력 증강과 대만 침공 가능성 분석: 인정투쟁 이론과 네 가지 해전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중국의 대만 침공과 미국의 서태평양 철수 가능성 분석: 청중비용과 해군력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청중비용이론으로 분석한 제2차 북일 정상회담: 청중비용 논쟁과 민주국가 지도자를 위한 희소식” (한국과 국제사회) “대만과 한반도 유사시 한국의 대응 전망과 과제” (세종연구소) “양안전쟁과 피로스의 승리 이후” (서울대학교)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