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조직관리
· ISBN : 978899293926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0-03-10
책 소개
목차
01장 프로젝트 시작하기
1.1 프로젝트, 프로젝트 관리자란 무엇인가
1.2 견인인자, 제한인자, 변동인자 관리하기
1.3 고객이나 후원자와 함께 프로젝트 제한인자에 대해 이야기하기
1.4 프로젝트에 있는 견인인자 결정하기
1.5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게 많은 후원자 관리하기
1.6 프로젝트 헌장을 작성해서 의사결정 내용 공유하기
1.7 프로젝트에서 품질이 뜻하는 바를 파악하라
02장 프로젝트 계획하기
2.1 시작하기
2.2 시작하기에 적당한 정도로만 계획하기
2.3 프로젝트 계획 양식 만들기
2.4 출시 기준 정의하기
2.5 출시 기준 사용하기
03장 생애주기를 사용해서 프로젝트 설계하기
3.1 프로젝트 생애주기 이해하기
3.2 생애주기 개요
3.3 프로젝트에서 피드백 받아보기
3.4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애주기를 조합할 수 있다.
3.5 아키텍처 위험 관리하기
3.6 폭포수 생애주기를 유용하게 하는 방법
3.7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생애주기
04장 프로젝트 일정잡기
4.1 프로젝트 일정을 수립하는 실용적인 접근방법
4.2 일정잡기 방법 선택하기
4.3 사무용품을 활용해서 일정잡기 시작하기
05장 작업량 예측하기
5.1 프로젝트를 예측하는 실용적인 접근방법
5.2 마일스톤은 프로젝트 범위를 정의한다
5.3 얼마나 적게 일할 수 있을까?
5.4 멀티태스킹 상황에서 예측하기
5.5 고의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도록 일정 수립하기
5.6 '연동 계획하기' 사용하기
5.7 반복주기 기간을 정하기
5.8 가능하다면 인치페블을 사용해서 예측하기
06장 일정 게임을 파악하고 막아내기
6.1 일정을 다시 작성하게!
6.2 희망만이 살길이다!
6.3 현실부정의 관리자
6.4 눈 가리고 아웅
6.5 운 좋은 완료일
6.6 불붙은 엉덩이
6.7 쪼개진 과녁
6.8 일정은 판결문이다
6.9 거기로 갈까? 아니면 저기?
6.1 일정 관리도구는 항상 옳다. 혹은 꿈 같은 일정
6.11 구현하거나 죽거나
6.12 '아니요'는 죽어도 안되죠.
6.13 치킨 게임
6.14 90퍼센트 완료
6.15 내일은 더 괜찮아질 거야
6.16 일정에 최면이 걸리다
07장 탁월한 팀 만들기
7.1 팀원 고용하기
7.2 팀원들이 단합하도록 돕기
7.3 회사 지원 얻어내기
7.4 필요한 팀의 규모를 파악하라
7.5 인원을 추가할 시점을 파악하라
7.6 위대한 프로젝트 관리자로 거듭나기
7.7 떠나야 할 때를 알아라
08장 프로젝트 조정하기
8.1 프로젝트 리듬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조정하라
8.2 임시 회고 사용하기
8.3 요구사항에 우선순위 부여하기
8.4 요구사항 작업에 타임박스를 적용하라
8.5 반복주기에 4주나 4주 이하의 타임박스 적용하기
8.6 연동 계획하기와 연동 일정잡기 사용하기
8.7 교차 기능 프로젝트 팀 만들기
8.8 프로젝트의 위험을 근거로 생애 주기를 선택하라
8.9 적당한 근무시간을 지켜라
8.1 인치페블을 사용하라
8.11 작업 훼방 관리하기
8.12 프로젝트 초기에 발생하는 결함 관리하기
09장 프로젝트 리듬 유지하기
9.1 프로젝트에 지속적인 통합 적용/변형하기
9.2 빌드 작업에 자동화된 스모크 테스트 만들기
9.3 아키텍처 수준이 아니라 기능 단위로 구현하라
9.4 제품을 철저히 검토하자
9.5 리팩터링을 계획하라
9.6 유스 케이스, 사용자 스토리, 페르소나, 시나리오를 활용해서 요구사항을 정의하라
9.7 요구사항에서 GUI 설계를 분리하라
9.8 가능한 오랫동안 엉성한 프로토타이핑을 사용하라
10장 회의 관리하기
10.1 이런 회의라면 취소하라
10.2 이런 회의를 실행하라
10.3 프로젝트 킥오프 회의
10.4 출시 계획하기 회의
10.5 진행 상황 보고 회의
10.6 경영층에게 진행 상황 보고하기
10.7 프로젝트 팀 회의
10.8 반복주기 검토 회의
10.9 회의에서 문제점 해결하기
10.1 전화회의 관리하기
11장 프로젝트 대시보드를 만들고 사용하기
11.1 측정은 위험할 수 있다
11.2 프로젝트 완료를 향한 진척도 측정하기
11.3 후원자를 위한 프로젝트 대시보드 꾸미기
11.4 프로젝트 날씨 보고서를 사용하라
12장 멀티사이트 프로젝트 관리하기
12.1 질문을 하면 손실이 발생한다고요?
12.2 프로젝트에 존재하는 문화적 차이를 찾아내라
12.3 팀 사이에서 신뢰 구축하기
12.4 팀 단위로 서로 보완하는 실천방법을 사용하세요.
12.5 잠재적인 다문화 문제를 찾아라
12.6 아웃소싱할 때 피해야 할 실수
13장 프로젝트에 테스트 통합하기
13.1 팀원들이 기술 빚을 줄이려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하라
13.2 간단한 테스트를 사용해서 위험을 줄여라
13.3 TDD는 프로젝트에 테스트를 도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13.4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 기술을 사용하라
13.5 팀원마다 테스트 역할을 정의하자
13.6 적당한 개발자와 테스트 비율은?
13.7 개발과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하라
13.8 프로젝트에 적합한 테스트 전략을 정의하라
13.9 시스템 테스트 전략 템플릿
13.1 QA와 테스트의 차이
14장 프로그램 관리하기
14.1 프로젝트가 프로그램일 때
14.2 서로 관련된 여러 프로젝트를 하나의 출시로 구성하기
14.3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관련된 프로젝트들 정리하기
14.4 프로젝트 관리자 관리하기
14.5 프로그램 대시보드 만들기
15장 프로젝트 완료하기
15.1 출시를 앞당겨 달라는 요청을 관리하라
15.2 베타 출시 관리하기
15.3 출시일을 준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15.4 프로젝트 완료하기
15.5 프로젝트 취소하기
16장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하기
16.1 전체 프로젝트를 담은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라
16.2 프로젝트를 평가하라
16.3 당장에 자금을 지원할 프로젝트를 결정하라
16.4 포트폴리오에 순서를 매겨라
16.5 프로젝트 더 일찍 시작하라
16.6 제품 백로그를 사용해서 새로운 기능에 대한 요구를 관리하라
16.7 포트폴리오 관리 문제점 해결하기
부록 A 연속적인 생애주기: 폭포수 방법 또는 단계-게이트 방법
A.1 연속적인 생애주기: 폭포수 방법 또는 단계-게이트 방법
A.2 반복적인 생애주기: 나선형, 점진적인 프로토타이핑, 유니파이드 프로세스
A.3 점진적인 생애주기: 단계별 인도, 디자인-스케줄
A.4 애자일 생애주기
부록 B 용어 정리
부록 C 참고 자료
리뷰
책속에서
프로젝트 관리란 무엇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제 대답은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 PM)로서 프로젝트를 하나씩 끝날 때마다 조금씩 바뀌는 듯합니다. 제일 처음 프로젝트를 맡았을 때 프로젝트를 끝내는 데 초점을 맞췄죠. 그렇기 때문에 프로젝트 내에서 개발할 기능을 개발하는 게 중요했으므로 '기능 개발관리'='프로젝트 관리'라고 생각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회사에서 PMBOK 형태의 프로젝트 관리 체계를 강조했을 때 정해진 절차에 따라서 계획을 세우고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따라서 기능 개발보다 프로젝트 계획을 준수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프로젝트라는 게 변화무쌍한 유기체 비슷하고, 장기 계획의 정확성이 낮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변화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고 그래서 애자일 실천방법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죠.
그리고 최근에 드는 생각은, 특히 SI 프로젝트라면 다양한 이해당사자(stakeholder)들의 힘 벡터가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 시스템이 완성된다는 것입니다. 즉 프로젝트의 자금을 대는 스폰서의 벡터가 크다면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 쓰기 어려운 거만한 소프트웨어가 되거나. 프로젝트 팀원들의 벡터가 지나치게 큰 경우, 그들만의 잔치로 끝나는 경우가 있죠.
결국 이해당사자들의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는 것에 덧붙여서 프로젝트의 주변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프로젝트 성공에 핵심이죠. 즉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려면 흔히들 말하는 프로젝트의 맥락(context)를 파악하는 작업이 무척 중요하다는 게 요즘 드는 생각입니다.
이 책은 다른 프로젝트 관리 서적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프로젝트의 맥락을 파악하는 데서 프로젝트를 시작하라고 충고하죠. 그리고 프로젝트의 맥락을 충분하게 살피고,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끄는 관리방법을 선택해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아울러, 정형화된 프로젝트 관리방법을 적용하면서 염증을 느끼신 분들이나, 애자일 실천방법을 알지만 현실에 적용하면서 적당한 지침이 없어서 곤란했던 분들에게 실용적인 프로젝트 관리 지침으로서 이 책이 유용할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책에 있는 지식들이, 함정과 암초가 똬리를 트고 있는 험난한 프로젝트 던전에서 독자 여러분들을 가슴뭉클한 엔딩으로 안내해주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