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사 3대 논쟁

조선사 3대 논쟁

이재호 (지은이)
위즈덤하우스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170원
13,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5개 1,6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사 3대 논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사 3대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9311903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8-06-30

책 소개

사료검증을 바탕으로 조선사 3대 논쟁인 사육신 조작 작업, 율곡 이이가 십만양병설을 주장했으나 유성룡이 반대하여 무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임진왜란을 초래했다는 잘못된 통설, 원균은 용감한 장수인 반면 이순신은 보신책에만 능한 겁장怯將이라는 몇몇 논자들의 주장에 대해 그 허위를 벗기고 실상을 구명했다.

목차

서설序說·4

1부 사육신, 유응부인가 김문기인가
1. 글을 시작하며·15
2. 단종 복위운동의 배경·22
1_단종 즉위 당시의 정국·22
2_단종 복위의 주동인물·25
3_단종 복위계획의 수립·28
3. 단종 복위의 실패·33
1_『세조실록』의 기사·34
2_『육신전』의 기사·39
3_이론자異論者들의 논리는 무엇인가·50
4. 사육신에 대한 평가의 변천·58
1_왕조 사관의 처지·58
2_사림 절의파節義派의 관점·62
3_사육신 절의가 공인되다·64
5. 글을 마치며·68
6. 사육신 문제에 대한 보론補論·71
1_사육신 외곡 오판의 경위·71
2_사육신 문제의 재연·77

2부 율곡 이이는 실제로 십만양병설을 주장했나
1. 글을 시작하며·85
2. 광복 후 국사학계의 풍토·88
3. 이이의 십만양병설의 발단·93
1_십만양병설의 출전·93
2_관계 기록의 작성연대·102
3_십만양병설이 만들어지는 과정·104
4. 『선조수정실록』 기사의 의문점·108
1_『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109
2_십만양병설의 의문점·111
5. 군정개혁론의 추이·124
1_이이의 군정개혁론·124
2_유성룡의 변경방비책·130
6. 십만양병설의 후론·144
7. 글을 마치며·151
1_각종 기록의 모순점·151
2_사실 부회附會의 발단·154

3부 이순신과 원균, 누가 진정한 구국의 명장인가
1. 글을 시작하며·159
2. 이모와 구모의 편견과 외곡·162
1_사실의 억단臆斷 외곡·162
3. 적군의 침입과 해군의 승첩·166
1_이순신과 원균의 출세·166
2_원균의 고급告急과 이순신의 부원赴援·174
4. 이순신과 원균의 불화와 조정(정계)의 동태·195
1_장재將才의 우열과 쟁공爭功의 단서·195
2_조정(정계)의 동태·203
5. 왜적의 재침과 방위체제의 붕괴·208
1_적賊 간첩의 활동과 수군장水軍將의 교체·208
2_원균의 패몰과 이순신의 재기·222
3_명량해협의 대첩과 전국의 수습·228
6. 원균과 이순신에 대한 사관의 논평·236
7. 글을 마치며·244

주석·253
찾아보기·265

저자소개

이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韓國史의 비정批正』, 『조선정치제도연구朝鮮政治制度硏究』, 『한국사의 천명闡明』, 『창주산문집滄洲散文集』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징비록懲毖錄』, 『서애전서西厓全書』,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금오신화金鰲新話』, 『회재전서晦齋全書』, 『반계수록磻溪隨錄』, 『정다산문선丁茶山文選』, 『망우당문집忘憂堂文集』, 『논어정의論語正義』, 『맹자정의孟子正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유년(선조 30년, 1597) 8월에 이순신이 다시 통제사로 기용된 후 무술년(선조 31년, 1598) 12월 노량해전에서 전몰할 때까지 약 1년 4개월 동안은 그가 공전空前의 침략전쟁인 임진왜란을 토평討平 종결시킨 최후의 결전시기였다. 정유년 8월의 명량대첩에서는 재침하는 적군의 기세를 꺾어 그들의 야욕을 좌절 말살시켰으며, 무술년 12월 노량해전에서는 퇴거하는 적군을 공격 섬멸하는 최후의 승리를 거두었다.
그런데 『인물한국사』의 저자 이모 씨는 이 대목에서 이순신이 통제사가 되었을 적에는 왜적이 물러가고 있었다 하고는, 뒤따라 그는 물러가는 적의 퇴로를 막고 명나라 군사와 연합하여 승전을 거듭했다고 하며, 결국 이순신은 들어오는 적이 아니라 물러가는 적과 싸우다 죽었다고 말함으로써 이순신의 위적을 은폐하려는 중대한 죄과를 범하고 있다.
-본문 228쪽 중에서


김문기의 후손들이 편찬한 『백촌유사白村遺事』에도 김문기를 사육신의 일원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나온다. 곧 “국문에 임할 때 선생(김문기)이 ‘나와 육신六臣은 모의 역시 같이 했고 의義 역시 같은데 어찌 다시 묻느냐’ 하고는 입을 다물고, 혀를 깨물어 답하지 않았다[臨鞫時 先生對曰 吾與六臣 謀亦同 義亦同 不復何問 因緘口嚼舌]”라고 전한다. 김문기 스스로가 ‘육신’이라는 표현을 썼다는 사실은 김문기가 사육신에 포함될 수 없음을 단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
“김문기도 육신이 화를 당한 날에 같이 죽었다[忠毅公 金文起 同死於六臣被禍之日]”는 이유로 정조 시대 「어정배식록」을 정할 때 삼중신三重臣 중 한 사람으로 지정되어 사육신과 함께 배향되었다. 이 「어정배식록」은 정조가 내각과 홍문관에 명하여 국내의 참고할 만한 모든 문서와 사적을 널리 고증하게 하여 신중히 결정한 국가적인 의전儀典이다. (……)
김문기가 사육신에 포함된 적은 없으며, 그런 인식 또한 없었다. 다만 근래 한 권력자(김문기의 후손인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의중에 맞추기 위해 일부 어용 사학자들이 문제를 만든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노량진의 사육신 묘역에는 사육신 이외의 어떤 특정 인물이 추가 봉안될 수 없다. 김문기를 봉안하려면 삼중신 묘역을 따로 조성해야 한다.
-본문 69~70쪽 중에서


김장생이 찬술한 「율곡행장」은 이이의 ‘십만양병설’은 10년 전에 임진왜란이 발생할 것을 미리 예견했다면서 그 증거로 “일찍이 경연에서 청하기를 10만의 군병을 미리 길러 완급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10년이 지나지 않아서 장차 토붕와해土崩瓦解의 화禍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지만 ‘10년이 지나지 않아서’라는 뜻의 ‘불출십년不出十年’은 반드시 10년을 단언한 것이 아니라 ‘불원장래不遠將來’나 ‘불원간不遠間’을 지칭한 말이다. 회제 이언적도 「일강십목소」에서 “10년이 지나지 않아서[不出十年]”라고 말했고, 학봉 김성일도 진언進言에서 “10년이 지나지 않아서[不出十年]”라고 말했듯이 ‘10년이 지나지 않아서’는 멀지 않은 장래를 뜻하는 말이지 정확히 10년을 지칭하는 말은 아니다. 율곡 이이도 「만언봉사」에서 “오늘날의 일도 실로 이와 같으니 불원장래(불출십년)에 화란이 반드시 일어날 것입니다[今日之事 實同於此 不出十年 禍亂必與]”라고 말했다. (……)
김장생이 「율곡행장」에서 ‘10만 양병’을 말한 것은 훗날 왜적의 대군을 대적하기 위해 군병 10만이 필요하다는 데 착안한 것이고, 그 시기를 ‘10년’이라고 말한 것도 훗날 발생한 임진란에 맞춰 만든 것이다. 「율곡행장」의 기사는 이이의 난전亂前 건의를 난중 정세에 결부하려는 행장 찬술자의 부회적인 논지에 불과하다.
-본문 153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