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징비록

징비록

(국역 정본)

류성룡 (지은이), 이재호 (옮긴이)
위즈덤하우스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2개 1,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징비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징비록 (국역 정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95884959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7-05-20

책 소개

<징비록>은 서책으로는 드물게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 역사에 드물게 보존되어 온 기록문학이다. 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인 이재호 교수가 번역 했으며 생소한 어휘와 사물들에 대한 각주를 세세히 달음과 동시에 각종 지도와 사진, 그림자료들을 함께 실었다.

목차

징비록 서설序說
자서自序

제1권
제1장_ 전란 전의 일본국과의 관계
제2장_ 우리의 국방 태세와 이순신의 기용
제3장_ 일본군의 침입과 서전緖戰의 붕괴
제4장_ 충주성의 패전과 수도의 위급
제5장_ 국왕의 피란과 구원군의 요청
제6장_ 수군의 승전과 전세의 만회
제7장_ 민중의 분기와 의병의 활동

제2권
제8장_ 명군의 내원과 평양 수복
제9장_ 전선의 교착과 화의의 제기
제10장_ 수도 수복과 국민의 적개심
제11장_ 강화 실패와 정유재란
제12장_ 이순신의 하옥과 수군의 복몰覆沒
제13장_ 적군의 재침과 지방 의사의 분전
제14장_ 이순신의 재기와 전세의 정비
제15장_ 적군의 철퇴와 수군의 최후 공격
제16장_ 국난을 극복한 이순신의 인품

녹후 잡기錄後雜記
제1장_ 전란 발생의 징조
제2장_ 전시 중의 각종 대비책
제3장_ 명·일 양국 강화 사건의 시작과 끝

징비록 관련 연표
서애 유성룡 연보
찾아보기
임진왜란 관련 지도

저자소개

유성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다. 156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벼슬길에 나섰다. 전적, 공조좌랑 등을 거쳤으며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壯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이어 이조참의를 거쳐 부제학, 대사간, 우부승지, 도승지를 거쳤다. 1583년 다시 부제학이 되어 「비변오책(備邊五策)」을 지어 올렸다.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여러 차례 벼슬을 내려놓으려 했으나 임금이 허락하지 않았다. 1590년 우의정에 올라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에 녹훈되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왜란이 있을 것에 대비하여 형조정랑 권율(權慄)과 정읍 현감 이순신(李舜臣)을 각각 의주 목사와 전라도 좌수사에 천거하였으며, 진관법鎭管法을 예전대로 고칠 것을 주장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판서를 겸하고, 도체찰사로 군무(軍務)를 총괄했다. 이어 영의정이 되어 선조를 모시며 평양으로 파천했다. 이때 나라를 그르쳤으니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이유로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면직되었는데, 의주에 이르러 평안도 도체찰사가 되었다. 명나라의 장수 이여송(李如松)과 함께 평양성을 수복한 뒤 충청·경상·전라 3도의 도체찰사가 되어 파주까지 진격했다. 이여송이 벽제관(碧蹄館)에서 패배하고 퇴각하려 하자 이를 만류했으며 일본과 화의에도 반대했다. 유성룡은 전란 기간 내내 군대 양성과 더불어 훈련도감 설치, 화포를 비롯한 각종 무기의 제조, 성곽의 수축을 건의하여 군비 확충에 노력했으며, 소금을 만들어 굶주리는 백성을 진휼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펼치기
이재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8년 현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韓國史의 비정批正』, 『조선정치제도연구朝鮮政治制度硏究』, 『한국사의 천명闡明』, 『창주산문집滄洲散文集』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징비록懲毖錄』, 『서애전서西厓全書』,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금오신화金鰲新話』, 『회재전서晦齋全書』, 『반계수록磻溪隨錄』, 『정다산문선丁茶山文選』, 『망우당문집忘憂堂文集』, 『논어정의論語正義』, 『맹자정의孟子正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체로 신립은 날쌔어서 그 당시에 이름은 얻었으나 군사 쓰는 계책은 그의 장점이 아니었다. 옛 사람들이 말하기를 "장수가 군사 쓸 줄을 알지 못하면 그 나라를 적군에게 내어주는 것이다" 하였는데, 지금에 와서 비록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마는, 그래도 훗날의 경계가 되겠기에 상세히 기록해둔다.-p91-92 중에서

적군이 임진년에 우리 국경을 침범한 이후로 오직 수군에게만 패전을 당해서, 평수길은 이것을 분하게 여겨 평행장에게 책임을 지워 우리 수군을 반드시 쳐부수라고 명령했다. 이에 평행장은 거짓으로 김응서에게 실정을 통하는 체하여 이순신이 죄를 얻게 하고, 또 원균을 유인하여 바다로 나오도록 하여 방비가 있는지 없는지 다 알게 된 후에야 습격한 것이다. 그들의 계책이 지극히 교묘하여 우리는 모두 그들의 꾀에 떨어지고 말았으니 참으로 슬픈 일이다.-p294 중에서


만력萬歷 병술년丙戌年(선조宣祖 19년, 1586) 무렵에 일본국 사실 귤강광橘康廣(다치바나 야스히로)이 일본의 국왕 평수길平秀吉(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서신을 가지고(우리나라에) 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