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9328522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8-08-25
책 소개
목차
1장 우리 아이 영어교육, 엄마들은 불안하다
조기 유학을 선택한 민수
영어 학원에만 의존하는 소심이
외국어 언어감각을 키우는 유식이
2장 외국어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아이들의 미래
글로벌 시대를 사는 소심이와 유식이
언어감각 없는 소심이, 언어감각이 뛰어난 유식이
우리말도 어려운 소심이, 외국어도 자신 있는 유식이
외국어를 쫓아가는 소심이, 외국어에 앞서가는 유식이
영어에 목숨 거는 소심이, 외국어를 즐기는 유식이
소심이, 드디어 유식이를 만나다
미래가 어두운 소심이, 미래가 밝은 유식이
소심이 엄마, 깊은 고민에 빠지다
3장 우리말을 배울 때부터 준비하는 외국어 언어감각
유식이 엄마에게서 배우는 모국어 언어감각
아이의 호기심과 질문은 언어감각의 시작이다
엄마가 읽어 주는 책 속에서 깨어나는 언어감각
하루일과에서 배우는 논리적 언어감각
동화책에서 배우는 논리적 언어감각
외국어 언어감각, 모국어 이해 속에서 준비하다
혼자 책을 읽으며 다지는 언어감각
신문을 읽고 토론하며 발달되는 언어감각
말하고 듣고 읽고 쓰며 완성되는 언어감각
4장 머릿속에 차근차근 만드는 여러 개의 외국어 방
유식이 엄마에게서 배우는 외국어 언어감각
외국어 언어감각, 영어부터 시작이다
모국어와 다른 영어, 듣기 감각부터 잡아주다
외국 여행은 외국어 학습의 동기를 부여한다
머릿속에 만들어 가는 영어 소리 방
영어 소리 방에 의미 방을 더하다
문자를 익히며 완성하는 영어 방
영어와는 다른 중국어, 성조의 감각을 익히게 하다
다른 외국어 방과 교류를 시작하다
여러 언어를 함께 생각하며 완성되는 언어감각
소심이 엄마, 언어감각의 중요성을 깨닫다
부록
우리 아이에게 꼭 해주어야 할 언어감각 교육
글로벌 언어 교육에 중요한 부모의 역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저도 우리 유식이가 영어를 빨리 잘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마음은 소심이 엄마나 민수 엄마, 서이 엄마 못지않아요. 그렇지만 이제 앞으로 애들이 활동할 세상은 영어 하나만으로는 부족한 세상이 될 거예요. 그러니 아이에게 영어든 중국어든 외국어를 제대로 빨리 익힐 수 있도록 기반이 되는 언어감각을 길러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에요. 그래야만 외국어를 빨리 배울 수 있을 테고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인재가 되지 않겠어요?”
“근데 그게 우리말 공부하고 무슨 상관이 있나요? 언어감각을 기른다는 게…….”
“언어감각은 탄탄한 모국어에서 나오기 때문이지요. 모국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아이가 외국어를 제대로 할 수 없단 말이거든요.”
“아니 애들이 초등학교 다닌 지 몇 년이나 되었는데 아기들도 아니고 우리말을 잘 못하는 아이들이 있나요?”
“우리말을 못한다는 얘기가 아니에요. 말은 다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게 말하고 또 그것을 글로 표현하고, 상황에 맞는 말을 제대로 할 줄 아는 모국어 구사력을 의미하는 거지요.”
“아유, 그래도 다들 영어 공부에 혈안이 되어 있는데 유식이 엄마는 불안하지도 않아요?”
소심이 엄마가 유식이 엄마의 말을 가로막고 질문을 던졌다.
-본문 20쪽, <1장 외국어 언어감각을 키우는 유식이> 중에서
원어민 선생님이 들어왔으니 교실 안에서는 영어만 써야 한다는 학원의 규칙이 시작되었다.
“Hi, everyone. How are you today?”
“Fine, teacher Steve. How are you today?”
“Not bad.”
늘 있는 스티브 선생님과의 인사로 수업을 시작했다. 오늘도 전부 “Fine”이란 공통된 대답을 하고 선생님만 자신의 느낌대로 정확히 의사를 표현했다. 선생님은 우선 숙제 검사를 하고 회화 수업으로 들어갔다. 선생님이 아이들 한 명 한 명에게 질문을 시작했다.
“Sang Sik, what did you do last week?”
“Um…… I ate Ra-myun and go to park with my family and meet friend.”
“So Sim, how about you? What did you do last week?”
“I went amusement park.”
소심이는 진짜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보다 전에 외웠던 문장이 먼저 떠올라 그것을 대답했다. 그러자 스티브 선생님은 소심이에게 더 자세한 내용을 물어보았다. 소심이는 결국 “I don’t know.”라고 대답했다. 한 명씩 순서대로 물어보던 선생님은 길게 대답하는 아이의 대답에는 장단을 맞추며 들어주었다. 내용이 순서가 맞고 말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어 보였다. 그러고는 아이들이 이야기한 것보다 더 많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는 1시간 30분이라는 약속된 시간이 다 되어 가자 숙제를 내 주며 수업을 마무리했다.
-본문 69쪽, <2장 미래가 어두운 소심이, 미래가 밝은 유식이> 중에서
민수 엄마가 주문한 차까지 나오자 아이들 이야기가 봇물같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민수 엄마, 진짜 민수 두고 들어온 거예요? 왜요?”
참고 참았던 소심이 엄마의 질문이 시작되었다.
“사실 우리 민수, 유치원 때부터 보내려고 했잖아요. 근데 애 아빠가 반대해서 미루었거든요. 그러다 초등학교에 가고 보니 더 늦어지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 그래서 미국에 있는 민수 고모 댁에 보냈거든요. 그런데 너무 어릴 때 가서 그런지 적응을 잘 못하고 해서 내가 바로 따라 들어갔었어요.”
“그래서요?”
소심이 엄마는 눈을 동그랗게 뜨고 민수 엄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우리 민수요…….”
민수 엄마는 그때의 일이 다시 생각났는지 한숨을 한 번 쉬더니 차를 한 모금 마시며 창밖으로 눈길을 돌렸다. 민수 엄마는 힘들게 입을 열어 이야기를 이어갔다.
-본문 13쪽, <1장 조기 유학을 선택한 민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