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93418774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4-02-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개헌 없이 미래는 없다 _ 05
제1장 왜 개헌인가
01 응답하라 1987 _ 14
02 개헌은 이미 합의되었다 _ 28
03 시대적 과제로서의 개헌 _ 41
제2장 갈등 그리고 불평등
01 베트남 패망의 교훈 _ 58
02 갈등의 현주소와 사회적 비용 _ 67
03 불평등 그리고 갈등의 대가 _ 80
제3장 새로운 권력 구조, 분권형 대통령제
01 52 : 48 vs 100:0 _ 90
02 한국형 권력 구조, 분권형 대통령제 _ 100
03 세계 각국 헌법의 대통령의 권한 _ 128
제4장 좋은 세상의 기본권
01 권력,기본권 그리고 국민 _ 142
02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_ 157
03 사회적 약자 그리고 복지 _ 169
제5장 행정구역 개편과 지방자치
01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_ 186
02 세계 각국 헌법의 지방자치제도 _ 201
03 지방행정 체제 개편 _ 212
제6장 미래를 위한 한 걸음
01 신념과 선택 _ 228
02 통합 그리고 비전 _ 234
부록 1 이재오가 제안하는 개헌 시안 _ 246
부록 2 헌법에서 명시한 세계 각국의 대통령 권한 _ 286
저자소개
책속에서
1987년 ‘직선제 개헌 쟁취’와 ‘후보 단일화 실패’로 시작된 내 정치 여정은
이제 2014년, 다시 한 번 ‘개헌 쟁취’에 대한 소신으로 가득 차 있다.
만약 어리고 혈기왕성했던 나의 1987년에 응답하라고 한다면,
나의 1987년은 이렇게 답할 것이다.
그때의 초심을 잃지 말라고… 미래를 위해 전진해 나가라고…
- 본문 중에서
진보가 아니면 보수, ‘친이’가 아니면 ‘친박’, 복종 아니면 변절, 부자 아니면 가난뱅이라는 식의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은 나를 비롯한 수많은 이들에게 시대의 아픔을 겪게 했다. 지금도 우리 사회는 마찬가지다.
어떻게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까. 나는 그 해답이 우리 사회에 있는 갈등과 불평등 해소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갈등과 불평등을 치유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일은 국가나 사회를 정의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나는 낡은 시대의 헌법을 새 시대에 맞는 헌법으로 바꾸자고 주장하는 것이다.
더 좋은 세상을 위하여, 지금이 미래를 위한 한 걸음을 내디딜 때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