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93703368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5-08-20
목차
머리말
서론: 주장의 해명
I. 기초 놓기 A: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적 서술
1. 형이상학
1. 1. 형이상학에 대한 객관적 논리학의 입장: 무관심성과 지배
1. 2. 형이상학에 대한 주관적 논리학의 입장 : 의사소통적 자유
2. 비판적 서술
2. 1. 서술의 대상: 진리
2. 2. 비판의 대상: 가상
Ⅱ. 순수 존재 논리학에 대한 해석
1. 순수 가상으로서의 순수 존재
2. 사유 자체의 사건에서 존재의 참다운 의미의 출현
Ⅲ. 기초 놓기 B: 가상과 진리의 통일
1. 형이상학적으로 해석된 가상의 외적 측면에서 본 통일
2. 논리적으로 전개된 진리의 내적 측면에서 본 통일
2. 1. 실증성의 가상
2. 2. 부정적인 것의 동역학
2. 3. 부정 개념의 경험 내용
Ⅳ. 현존재 논리학에 대한 해석
1. 현존재 자체의 규정들에서의 가상
1. 1. 생성으로부터 현존재의 분열적인 유래
1. 2. 현존재 일반이 지니는 일차성이라는 가상
1. 2. 1. 순수 존재의 무규정적인 직접성으로의 소급으로서의 추가 논의
1. 3. 은폐하는 범주로서의 ‘실재성’
1. 4. 어떤 것에서의 진리와 가상의 통일
2. 타자와 타자의 상실
2. 1. 타자
2. 1. 1. 타자화
2. 1. 2. 어떤 것과 타자: 무관심성의 세 가지 측면
2. 1. 3. ‘자기 자신의 타자’라는 것—자기 자신의 타자
2. 2. 타자의 상실
2. 2. 1. 유한한 것의 가상 속에 은폐된 진리
2. 2. 2. 무한성의 ‘참다운’ 개념에서의 은폐된 가상
V. 전망
1. 직접성이라는 가상의 반성 논리적인 해소
1. 1. “존재의 진리는 본질이다”
1. 2. “존재는 가상이다”
1. 2. 1. 직접성의 파괴
1. 2. 2. 직접성의 재구성 시도
2. 직접성의 개념 논리적인 ‘재생산’
2. 1. 순수 존재의 직접성에 깃들어 있는 진리 계기의 구출
2. 2. 현존재의 직접성의 전환
2. 2. 1. 계사에서의 진리의 앞선 비춤
2. 2. 2. 무관심성—지배와 의사소통적 자유
3. 조망 : 논리학, 법철학 그리고 마르크스의 비판
옮긴이의 말
문헌 목록
인명 찾아보기
사항 찾아보기
책속에서
“그러나 개념 자체는 사랑이므로, 개념과 더불어 출현하는 자유는 특정한 자유, 즉 의사소통적인 자유(die kommunikative)임이 틀림없다. 의사소통적인 자유는 어느 하나가 타자를 한계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자기실현의 가능성의 조건으로서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적인 자유는 무관심성 및 지배에 대한 비판의 척도인바, 따라서 헤겔의 법철학이 부르주아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서술에서 구체화했던 그런 비판의 척도일 수 있다. ‘소유 개인주의’라는 부르주아 이데올로기가 두드러지게 만드는 자유가 타자에 대한 무관심성 및 타자에 대한 지배에 의거하고 있는 데 반하여, 의사소통적 자유는 [......] 모든 존재의 자유로서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