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9378457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04-0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6
이 책의 주요 용어들에 대해서 9
서문 12
1. 인재 쟁탈 관리전(The war for on talent) 22
2. 재능 정의하기(Defining talent) 50
3. 재능 측정하기(Measuring talent) 76
4. 몰입하는 재능에 대해서(Engaging talent) 108
5. 재능 개발하기(Developing talent) 138
6. 재능의 어두운 면(The dark side of talent) 170
7. 재능의 미래(The Future of talent) 202
8. 결론(Final thoughts) 244
감사의 글 265
출처 257
리뷰
책속에서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천재들이 가진 전문성을 '직면한 상황과 관련 없는 것들은 모두 무시해버리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전문가는 문제를 대할 때 문제 자체와 관계 없는 모든 요소들에 대해 일절 신경쓰지 않는 능력을 발휘한다. 반대로 아마추어나 초심자들은 같은 문제를 대해도 골치가 아프다. 현재 상황과 크게 상관 없는 요소들에도 신경이 쓰이기 때문이다. 결국 정신적 자원을 낭비하며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만 한다. 따라서 '재능 = 성과 - 노력' 공식은 당신이 어떤 재능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내는 데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만약 어떤 일이 너무나 쉽게 다가온다면 재능이 있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아니면 최소한 그 분야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성격과 일이 잘 어울리는 적합성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추적한 연구결과는 의미심장하다. 사춘기에 측정된 외향적 성격의 표준편차가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나이가 들어 관리자가 된 사람의 급여는 7% 증가되고 영업 및 서비스 담당자가 된 사람의 급여는 4% 증가된 반면, 그 외 다른 직업을 선택한 사람의 급여는 오히려 2%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