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88994024462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0-10-05
목차
제 1 부
시와 ‘영원성’의 감각 - 김소월론
1. 소월 시의 위치
2.‘사랑’에 의한 영원성
3. 음양의 결합을 통한 영원성
4. 소월 시에서의 영원주의의 의미
시대와‘상징주의’의 의미 - 오장환론
1. 문학과 상징주의
2. 문학관의 형성 -‘상징주의’에의 경도
3. 상징주의의 실천
4. 모성적 상징 세계
5. 오장환 시와 상징주의
시적 발생의 미시공간적 특질 - 윤동주론
1. 윤동주 시의 출발
2. 문체적 특징과 공간성
3. 소재적 특징과 공간성
4. 공간의 선택적 성격
5. 자의식과 공간의 문제
시와 정치의 시공성(時空性)의 차원 - 서정주론
1. 서정주 시의 새로운 단계
2. 완미(完美)한 서정시의 시공성
3.‘신라적 세계’의 시공성
4. 시와 정치의 함수관계
‘절대’의 외연과 내포 - 유치환론
1. 생명파와 유치환
2. 유치환의‘시관(詩觀)’과 시적 특성
3.‘진술의 시’의‘절대’의 외연
4.‘서정의 시’의‘절대’의 내포
5.‘절대’의 해석학적 지점
6. 유치환 시의 시사적 의미
이신론(理神論)적 기독교 신학의 관점 - 김현승론
1. 시와 종교의 문제
2. 기독교 세계관의 해석학적 틀
3. 김현승 시의 기독교적...제 1 부
시와 ‘영원성’의 감각 - 김소월론
1. 소월 시의 위치
2.‘사랑’에 의한 영원성
3. 음양의 결합을 통한 영원성
4. 소월 시에서의 영원주의의 의미
시대와‘상징주의’의 의미 - 오장환론
1. 문학과 상징주의
2. 문학관의 형성 -‘상징주의’에의 경도
3. 상징주의의 실천
4. 모성적 상징 세계
5. 오장환 시와 상징주의
시적 발생의 미시공간적 특질 - 윤동주론
1. 윤동주 시의 출발
2. 문체적 특징과 공간성
3. 소재적 특징과 공간성
4. 공간의 선택적 성격
5. 자의식과 공간의 문제
시와 정치의 시공성(時空性)의 차원 - 서정주론
1. 서정주 시의 새로운 단계
2. 완미(完美)한 서정시의 시공성
3.‘신라적 세계’의 시공성
4. 시와 정치의 함수관계
‘절대’의 외연과 내포 - 유치환론
1. 생명파와 유치환
2. 유치환의‘시관(詩觀)’과 시적 특성
3.‘진술의 시’의‘절대’의 외연
4.‘서정의 시’의‘절대’의 내포
5.‘절대’의 해석학적 지점
6. 유치환 시의 시사적 의미
이신론(理神論)적 기독교 신학의 관점 - 김현승론
1. 시와 종교의 문제
2. 기독교 세계관의 해석학적 틀
3. 김현승 시의 기독교적 해석의 범주
4. 이신론(理神論)적 기독교 신학
5. 김현승 시에서의 종교의 의의
민중시에서의 ‘울음’의 의미 - 신경림론
1. 시와 민중성
2.‘울음’의 지속성과 보편성
3. 타자와의 뒤섞임과 존재의 전이
4. 울음과 노래의 만남으로서의 민요시
5. 신경림 시의 시사적 위치
심층생태학과 초월적 세계관의 상관성 - 오세영론
1. 시와 생태주의
2. 생태주의 담론의 등장과 심층 생태론
3. 생명체로서의 자연
4. 지구에 대한 심층생태론적 윤리관
5. 심층생태론적 측면에서 본 오세영 시의 의의
제 2 부
언어적 측면에서의 문학과 종교의 유사성
1. 문학에서의 종교
2. ‘상징’과 ‘역설’의 종교적 언어
3. 구원을 위한 제의 행위
4. 문학과 종교의 접점
‘히스테리’ 문화 현상과 현대시
1. 히스테리와 현대
2. ‘히스테리’의 사회·문화적 성격
3. 히스테릭 자아에 의한 시적 해체 전략
4. 히스테리의 시사적 의미
이항대립 시대의 민중의 주체화
1. 1970년대 사회와 문학
2. 사회의 구조적 인식과 민중들에 대한 호명
3. 계몽의 197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