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94044439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12-07-05
목차
머리말
제1부 동양 전통에서 교육의 의미
1.'교(敎)'와 '육(育), 그리고 '학(學)'의 문자적 의미
1) 교(敎); 효(爻)+자(子)+복(?)
2) 육(育); 자(子)+육(肉)
3) 학(學); 효(爻)+구(臼)+멱(?)+자(子)
2. '교육(敎育)'의 등장과 그 의미 맥락
3. 교(敎)와 학(學)의 동질성과 이질성
제2부 동양사상과 교육의 문제
1. 유학과 교육사상
1) 유학의 기본특징 / 2) 유학의 교육이론
2. 도가와 교육사상
1) 도가의 기본사상 / 2) 도가의 교육관
3. 불교와 교육사상
1) 불교의 기본사상 / 2) 불교의 교육관
3부 한국의 전통사상과 교육
1. 풍토와 사상의 형성
2.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
1) 건국신화의 교육적 맥락 / 2) 성년식과 교육
3. 삼국시대의 교육
1) 문자의 사용과 유학 · 불교의 전래
2) 고구려의 교육 / 3) 백제의 교육
4) 신라의 교육 / 5) 발해의 교육
4. 고려시대의 교육
1) 교육제도 / 2) 과거제도와 교육
3) 고려의 교육사상가
5. 조선시대의 교육
1) 교육제도 / 2) 과거제도와 학교교육
3) 교육 법규
4) 조선 초 · 중기 성리학적 교육사상의 학교교육
5) 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사상의 흐름
6. 대한제국 및 애국계몽시기의 교육
1) 정부 주도의 교육 개혁
2) 민중과 민족 선각자들의 교육 구국 운동
3) 기독교 선교사들의 교육활동
7.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시기의 교육
8. 해방 후 현대 교육
제4부 중국의 역사와 교육
1. 중국 고대사회의 교육
1) 원시사회의 교육
2) 학교 출현과 선진 교육 / 3) 고대 사회의 교육 목적
2. 진한 시대의 교육제도
3. 육조 및 수당 시기의 교육
4. 송 · 원 · 명 시기의 교육
5. 청나라 시기의 교육
6. 중국의 근대화와 교육
7. 중국의 현대 교육
제5부 동양교육의 본질에 관한 성찰
1. '교육'이 의미하는 것
2. 더불어 살기; 자기충실과 타자배려
3. 교사의 역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