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94054933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왜 장안과 낙양 그리고 북경인가
제2장 중국의 역대 왕조와 황제들
1. 중국의 역대 왕조와 황제들의 특징
2. 장안에서 천하를 지배한 나라들
(1) 서주(西周)
(2) 진(秦)
(3) 서한(西漢)
(4) 수(隋)
(5) 당(唐)
3. 낙양과 중부지방 도시에 도읍한 나라들
(1) 낙양, 동주(東周)와 동한(東漢)
(2) 낙양, 그 밖의 위(魏)와 서진(西晉)과 동진(東晋)·남북조(南北朝)·오호십륙국(五胡十六國)
(3) 오대(五代) 십륙국(十六國)·변량(汴梁), 북송(北宋)·임안(臨安), 남송(南宋)
4. 북경에서 천하를 지배한 나라들
(1) 원(元)
(2) 명(明)
(3) 청(淸)
제3장 중국 전통 학술 문화의 형성과 발전-장안과 낙양 시대
1. 장안의 서주(西周)와 낙양의 동주(東周)
(1) 중국 전통문화의 형성-장안(長安) 서주시대(西周時代)
(2) 중국 전통문화의 발전-낙양(洛陽), 동주(東周)시대
2. 장안의 진(秦)·서한(西漢)과 낙양의 동한(東漢)
(1) 진시황(秦始皇)의 천하통일, 한자 자체(字體)의 통일-장안, 진(秦)
(2) 중국 전통문화의 정착-장안, 서한(西漢)
(3) 유학을 바탕으로 하는 봉건전제의 확립-장안, 서한 무제(武帝)
(4) 학술문화의 발전-낙양, 동한
3. 낙양의 위(魏)·서진(西晉) 과 건업(建業)의 동진(東晋) 및 낙양과 건업의 남북조(南北朝)
(1) 중국 전통문화의 본격적인 발전-낙양, 위(魏)·서진(西晉)·건업(建業), 동진(東晋)
(2) 중국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건업(建業), 낙양, 남북조(南北朝)
4. 중국 전통문화의 정착-장안에 도읍한 수나라와 당나라의 학술 문화
(1) 당대 전기(前期) 와 후기(後期)
(2) 당 전기의 『오경정의(五經正義)』 편찬 및 그 시기의 문화
(3) 당나라 후기의 학술 문화
5. 중국 역사상 정치와 전통문화도 최고 수준으로 발전시켰던 나라- 변량(汴梁)에 도읍한 북송
(1) 북송의 건국과 정치 사회
(2) 북송의 학술과 이학(理學)의 발전
(3) 북송 문학의 발전
제4장 중국 전통 학술 문화의 이질화-북경시대
1. 중국 전통 문화사에서의 고대와 근대-장안시대와 북경시대
(1) 중국 문화사에서 고대와 근대는 무엇을 말하는가
(2) 역사가(歷史家)들의 시기 구분
(3) 근대로의 변화의 시점(始點)과 그 특징
2. 중국 학술 문화의 이질적인 발전-북경의 금·원
3. 전통 학술 문화 복구의 몸부림-북경의 명
4. 대중적인 문화의 발전-북경의 청
제5장 새로운 북경시대의 전개
1. 중국의 전통문화와 중화인민공화국
2. 대국굴기(大國崛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