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9412229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05-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행위미술의 전통
1. 우리 행위미술의 토양
서양 행위미술과의 관련성 / 구타이 그룹, 양주팔괴 / 굿 / 마당극, 판소리 / 전통제례, 민간 신앙, 놀이풍속
2. 우리나라 행위미술사
우리 행위미술의 시작 / 1960년대 후반-해프닝 / 1970년대-이벤트 / 1980년대-행위예술 / 1990년대의 행위미술 / 2000년대의 행위미술
3. 행위미술 창작의 발흥
행위미술 작업 동기 / 서양화 전공의 행위미술가들 / 유명세의 도구 / 행위미술가의 조건? / 종합예술가, 기획자, 감독? / 시대정신 / 새로운 눈 / 자기로부터의 출발 / 배설론 / 유희론 / 구도론
4. 회화를 넘어 개념미술로
회화의 확장 / 개념미술 / 행위미술에서의 언어
5. 전위,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탈전통, 탈관습, 저항 / 전위예술 / 광기, 금기와 위반
제2장 행위미술의 전개
6. 주제 1 - 몸
행위하는 몸 / 인식하는 몸 / 몸과 세계(물체) / 고행과 사유의 몸 / 몸과 성
7. 주제 2 - 발언들
일상의 예술화 / 삶의 비평, 사회적 주석 / 사회문화운동, 행동주의 예술 / 이상사회 희구 / 문명비판, 생태주의 / 인간성 회복 / 소통 / 자서전적 발언
8. 소재와 구성 형식들
자연요소를 소재로 / 소리, 영상, 과학기술의 사용 / 쌍방향 미디어의 활용 / 음악적, 연극적 행위미술 / 기록적 행위미술 / 제의적 행위미술 / 행위미술과 설치미술 / 실연 시간, 발표 공간 / 거리 행위미술, 게릴라 행위미술 / 장르의 융합 / 행위미술의 조형성
9. 행위미술의 특성
일회성 / 우연성, 즉흥성, 현장성 / 참여성 - 직접적 소통 / 현존, 실연성 / 수용성, 총체성
제3장 행위미술의 전망
10. 관객 그리고 행위미술의 파장
관객 - 제2의 작가 / 관객과의 괴리 / 감상 - 상징 이해하기 / 사회적 퍼포먼스 / 모두가 주체가 되는 시대
11. 행위미술의 힘
행위가 주는 쾌감 / 행위미술의 치료효과 / 한국적 행위미술 / 좋은 행위미술 작품 / 일화
12. 행위미술의 쟁점들
타 장르와 행위미술의 다른 점 / 행위미술가의 자격 논란 / 작가의 부재 / 미실현 작업 / 상업화, 양식화 / 유사성, 차용 / ‘행위미술’이라는 용어
13. 미래의 행위미술
유목민 사유방식 / 다원예술의 시대 / 상호작용시대 / 과학기술과의 조합 / 다시 몸으로 돌아가다 / 미래의 행위작가에게
저자 주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계에 대한 주체적 참여자로서의 인간은 오로지 몸을 통해 세계를 파악합니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혀로 맛을 보고, 피부로 접촉하고, 코로 낸새를 맡음으로써 세계 속으로 뛰어듭니다. 그렇게 하는 가운데 존재의 생생한 느낌을 맛보는 거지요. 이 느낌, 우리의 몸이 바깥 세계와 연결돼 있다는 것을 감각으로 느끼는 이 느낌이야말로 우리가 지금, 여기에 살아 있음을 알려주는 징표입니다. 그것은 항구적인 것입니다. - 윤진섭, ‘다시 몸으로 돌아가다’
퍼포먼스는 무용이나 연극, 오페라와 같은 공연예술과 달리 대본에 의한 모체matrix가 없이 진행되는 ‘실연 예술live art’입니다. 퍼포먼스 작가들은 이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합니다. - 윤진섭, ‘미래의 행위작가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