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94583181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4-01-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제1장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1.1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은 왜 어려운가?
1.2 ESG 경영 도입은 왜 중소·중견기업 생존 전략에 필수 조건인가?
1.3 ESG 경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1.4 ESG 경영컨설턴트와 기업 실무자의 협업은 왜 필요한가?
1.5 너무 많은 이니셔티브는 왜 혼란을 초래하는가?
1.6 ESG 경영, IM-PACT 방법론은 누구나 실행 가능한가?
1.7 ESG에 왜 경영 전략을 융·통합해야 할까?
제2장 ESG 경영의 역사적 배경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시대
2.2 금융 중심의 유엔 책임투자 원칙: ESG 1.0의 시대
2.3 환경 중심의 ESG 확산과 자본주의가 선택한 미래 생존 전략: ESG 2.0 시대
2.4 경영 전략과 ESG의 융·통합: ESG 3.0의 시대
2.5 ESG 연도별 주요 이슈
2.6 ESG 경영의 향후 전망
제3장 완벽한 ESG 경영을 위한 IM-PACT Framework
3.1 IM-PACT Framework의 비전
3.2 IM-PACT Framework 도입과 운영 프로세스
3.3 IM-PACT Framework 연구·개발 배경
3.4 IM-PACT Framework의 특징
3.5 IM-PACT Framework의 이해
3.6 IM-PACT Framework와 PDCA Cycle
제4장 Issue, 이슈에 대한 고찰
4.1 ESG 추진 T/F팀 구성
4.2 ESG 자가 진단모델(Ⅰ)
4.3 ESG 항목별 자가 진단
4.4 자가 진단 결과 보고
제5장 Measure, ESG 측정
5.1 ESG 자가 진단의 한계
5.2 ESG 전문가 진단이 필요한 이유
5.3 ESG 진단모델(Ⅱ)
5.4 ESG 경영 전문가 진단 실시
제6장 Plan & Goal, 계획과 목표 수립을 통한 ESG 도입 전략
6.1 이해관계자(Stakeholders) 식별과 영향도 평가
6.2 이해관계자 이슈&리스크 도출
6.3 이해관계자 이슈&리스크 영향도와 중요성 평가
6.4 비즈니스 이슈&리스크 도출
6.5 비즈니스 이슈&리스크 SWOT 분석
6.6 비즈니스 이슈&리스크 영향도와 중요성(Materiality) 평가
6.7 이중 중요성(Double Materiality) 평가
6.8 전략 과제 확정 및 보고
6.9 ESG 경영 로드맵(Road Map) 수립
6.10 과제 실행계획 수립
6.11 과제별 액션플랜(Action Plan) 수립
제7장 Action, ESG경영
7.1 전략 과제 실행
7.2 온실가스와 탄소배출량 관리
7.3 전략 과제 실행 점검
7.4 미디어 관리
7.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7.6 지배구조보고서
7.7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검증
7.8 공시와 정보 공개
7.9 CDP와 TCFD
제8장 Check, ESG 경영성과 체크
8.1 ESG 경영 평가의 의미
8.2 ESG 경영 평가모델
8.3 ESG 경영 평가 실시(자체 평가, 기관 평가)
8.4 공급망 ESG 평가
제9장 Transformation, Biz-ESG로 지속가능 성장 기업으로 전환
9.1 ESG 비전과 방침 선언
9.2 사내 표준 및 지침의 제정·개정
9.3 ESG 기반의 프로세스 재정비
9.4 ESG 경영 관리 시스템과 DX(디지털 전환) 기반 구축
9.5 ESG 경영 KPI 관리
9.6 ESG 경영 모니터링
9.7 ESG 경영 전사적 변화 관리
책속에서
ESG 경영을 도입하려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은 비즈니스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지속 가능한 요소들 가운데 ESG 이슈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이를 통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에 자원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외부 컨설턴트와 협력하여 복잡한 ESG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고, 중소기업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ESG 원칙을 채택하는 데 있어 접근 방식이 일률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ESG 경영은 기업의 규모, 업종, 위치, 이해관계자의 기대치를 고려하여 기업의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_제 1장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중에서
저자는 대한민국의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들이 IM-PACT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ESG 경영을 경영혁신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CEO 및 직원들에 대한 방문 교육, ESG 도입 전 과정 컨설팅, 친환경 및 친노동 기업 관련인증(ISO14001 및 ISO45001 등) 취득 및 인증 지원, ESG 진단 및 평가, 공급망 ESG 평가 지원, 지속가능(ESG) 보고서 작성 및 검증 등을 통해 ESG 경영 도입부터 내재화까지의 전 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컨설팅사의 경우에는 IM-PACT 프레임 워크 및 다양한 모델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과 심사원 자격 부여 등을 통해 보다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계
획을 통해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 ESG 경영 체계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_제3장 완벽한 ESG 경영을 위한 IM-PACT Framework 중에서
Scope 1,2,3은 그린하우스 가스 프로토콜(GHG, Greenhouse Gas Protocol)이라는 국제 표준과 기준에 의해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측정, 보고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고, 기업 의 탄소 배출량 분류 방법과 그 범위를 정의하고 있다. 탄소배출량을 감축해야 한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로 정부는 탄소 저감을 위한 노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만약 해당 수입 국가에 비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경우 탄소배출에 따른 세금과 같은 부대비용 지출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탄소배출량 산출 범위가 ‘Scope 1,2,3’에 해당한다. 당분간은 Scope 3으로 배출된 탄소배출량에 대해 자료 요구는 없을 것이나, 분명한 것은 Scope 3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_제7장 (A) ESG 경영 Action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