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598
· 쪽수 : 403쪽
· 출판일 : 2017-1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0. 즐거운 미술 수업을 위하여
PART1. 몸으로 표현하기
01 손바닥 찍어 학급 간판 만들기
02 손가락 찍어 지문으로 그림 그리기
03 내면 자화상 그리기
04 황금손 만들기
PART2. 수채화
05 재료들과 친해지기
06 수채화의 표현 기법 배우기
07 수채화로 사물 표현하기 연습
08 자유 수채화 그리기
PART3. 정물화
09 플러스펜 펜 드로잉
10 ○,□,△ 도형으로 과자 포장지 그리기
11 우뇌로 그림 그리기
12 자유 정물화 그리기
PART4. 판화
13 고무판 양각 볼록판화
14 우드락 음각 볼록판화
15 OHP 필름 스텐실 공판화
16 OHP 필름 모노타이프 평판화
PART5. 수묵화
17 먹선 연습하기
18 삼묵법 연습하기
19 민화 따라 그리기
20 자유 수묵화 그리기
PART6. 디자인
21 운동화 디자인
22 티셔츠 접어 꾸미기
23 점자 보도블럭 디자인
24 목각 인형 미니미 만들기
25 목각 동물 인형 만들기
26 병뚜껑으로 냉장고 자석 만들기
27 나만의 마트료시카 만들기
28 클레이 아트 수업
29 한지 열기구 만들기
PART7. 팝아트
30 키스 해링 댄싱독 그리기
31 종이컵에 캐릭터 그리기
32 애플 로고로 채도와 명도 익히기
33 미키 실루엣으로 색의 성질 익히기
34 자화상 팝아트 그리기
35 마그넷 타일 아트
PART8. 옵티컬 아트
36 형광펜 손 그리기
37 좌우로 흔들리는 원
38 이름으로 하는 레터링 아트
PART9. 작가 따라잡기
39 교실을 누비는 고래
40 한글 디자인
41 자연물 대지 미술
42 풍경으로 그림 채우기
43 피카소 자화상 그리기
44 몬드리안의 차가운 추상화
45 칸딘스키의 뜨거운 추상화
PART10. 특별한 미술 수업
46 달 사진 콜라주
47 핀버튼 만들기
48 크리스마스를 위한 미술 수업
49 포스터 수업 쉽게 하기
50 스크래치북으로 건축물 그리기
51 한지로 하는 스테인드글라스
52 반전 그림 그리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미술 수업은 크게 <체험-표현-감상>의 세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그러나 미술 지도서에 학습 목표에 대한 서술이 체험, 표현, 감상의 세 영역으로 따로 서술되어 있어 마치 각 영역을 분절하여 지도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또 체험에 1차시, 표현에 2차시, 감상에 1차시를 편성하지만 시간적인 문제로 표현 2차시만을 지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표현 영역은 미술 교과의 꽃이라 할 수 있고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영역이지만, 미술 수업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이 되려면 <체험-표현-감상>의 세 단계를 반드시 통합하여 지도해야 합니다.
…
<체험-표현-감상>의 세 단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진다는 뜻입니다. 한 차시의 미술 수업 안에는 학생들이 해야 할 미적 경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판화 수업이라면 ‘볼록 판화 원리 이해하기’, 수채화 수업이라면 ‘수채화 기법 익히기’ 혹은 ‘수채화의 특성 이용하여 풍경 그리기’ 등과 같은 것들이 해당 미술 수업에서 학생들이 얻어야 할 미적 경험이라 할 수 있겠죠? 이러한 미적 경험이 <체험-표현-감상>이라는 세 단계로 분절되지 않고 진행되어야 합니다. 체험 활동은 미적 경험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내면에 기초를 만들어주는 활동입니다. 표현 활동은 체험 활동에서 얻은 정보들에 기초하여 미적 경험이 가장 강렬하게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마지막으로 감상 활동을 하는 목적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체험-표현 활동에서 얻은 미적 경험을 친구들에게 말로 설명함으로써 마음속에 추상적으로 존재하던 미적 경험을 구체화하기 위함입니다. 둘째, 같은 주제를 가지고도 다르게 표현된 친구들의 작품을 보면서 표현의 다양성을 경험하기 위함입니다.
-
그림을 그리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사람의 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