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9465579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9-12-23
책 소개
목차
1부 행복 _ 시를 통해 세상을 밝히다
꽃들아 안녕 - 나태주
여름의 일 - 나태주
느티나무의 마음 - 이기철
반딧불 – 윤동주
나는 염소 간 데를 모르네 - 신현정
여름밤 - 이준관
아무리 숨었어도 - 한혜영
풋사과 – 고영민
웃는 기와 - 이봉직
행복 – 허영자
응? – 나태주
미끄럼틀 – 전봉건
노래 – 나태주
걱정 마 - 정진숙
꽃사슴 - 유경환
꽃자리 - 구상
일요일 – 나태주
풀잎 2 - 박성룡
2부 가족 _ 세상에서 가장 힘이 센 내 편
딸을 위한 시 - 마종하
엄마 걱정 - 기형도
오리 세 마리 - 나태주
기러기 가족 – 이상국
엄마하고 – 박목월
엄마가 휴가를 나온다면 - 정채봉
감자 - 장만영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그냥 - 문삼석
먼 길 - 윤석중
아빠 손 - 이종택
어느 날 오후 - 노원호
삼베 치마 3 - 권정생
흔들리는 마음 - 임길택
엄마 마중 - 조장희
엄마가 아플 때 - 정두리
우리 집 - 박남수
우산 속 – 문삼석
이사 - 이성선
3부 성장 _ 기쁨, 슬픔 그리고 친구
강아지풀에게 인사 - 나태주
낙서 – 신형건
섣달 그믐밤에 - 강소천
이제는 그까짓 것 - 어효선
아니다 - 이정록
달라서 좋은 내 짝꿍 - 신경림
유리창 닦기 - 배은숙
다르게 크는 어린이 - 송근영
내가 아플 때 – 이해인
꽃씨 - 최계락
나무 - 이창건
맑은 날 - 손동연
대추 한 알 - 장석주
돌아오는 길 - 박두진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
봄길 - 정호승
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사과를 먹으며 - 함민복
나 하나 꽃피어 - 조동화
4부 관찰 _ 깊은 시선으로 세상을 배우다
기린 – 백석
풀꽃 - 나태주
감자꽃 - 권태응
노랑나비 - 김영일
여름에 한 약속 - 이문구
저녁별 - 송찬호
귀뚜라미와 나와 – 윤동주
별 하나 - 이준관
나무 – 윤동주
호수 1 - 정지용
채송화 – 윤석중
꽃씨와 도둑 - 피천득
나비 - 이준관
우리나라의 새 - 오순택
하늘은 넓다 – 나태주
콩, 너는 죽었다 - 김용택
운동화 말리는 날 - 정두리
바닷가에서 - 정진채
빈 나뭇가지에 - 김구연
감 – 한성기
새 - 박두순
촉 – 나태주
구부러진 길 – 이준관
저녁노을 - 이해인
리뷰
책속에서
어른과 아이가 함께 머리를 마주 대고 읽었으면 좋겠다 싶은 시들만 골라서 이 시집을 묶습니다. 그런 다음 시를 읽고 난 나 자신의 감상을 담았습니다. 정말로 어른과 아이가 함께 이 책을 읽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부모님과 아이, 선생님과 학생. 그렇게 이 시집에 있는 시들을 차근차근 읽으면서 서로서로 느낌을 이야기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부디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될수록 좋은 마음을 갖고 즐거운 마음을 갖고 끝내 행복한 마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시가 사람을 살린다는 것이 내 믿음입니다. 이 책이 그런 일을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 <여는 글> 중에서
어떤 집 어른이든 자기 집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내용은 엇비슷합니다. 공부 잘해라, 착한 사람이 되어라, 친구들과 잘 지내 거라, 길조심, 차 조심해라, 요즘은 거기에 낯선 사람 조심하라는 말까지 덧붙입니다. 학교에서는 또 아이들에게 친구들과 잘 지내라, 왕따 시키지 마라, 사고 치지 마라, 숙제 잘해라, 그 소리가 그 소리 같은 잔소리 속에서 아이들은 하루하루를 삽니다. 견뎌갑니다. 아니, 시들어갑니다. 그렇지만 이 시에 나오는 아빠의 부탁은 얼마나 신선하고 아름답고 속내 깊은 부탁이고 가르침입니까? 그래도 이런 아버지들이 더러 있어서 이 땅은 아주 망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이 땅의 아이들이 잘 자라난다고 생각합니다. 시인 아버지의 부탁을 좀 들어보세요. 첫째가 관찰을 잘하는 사람이 되라는 것이고 도시락을 안 싸 온 친구를 살펴서 그 친구와 도시락을 나누어 먹으라는 부탁입니다. 이 얼마나 거룩한 부탁입니까!
- <마종하, 딸을 위한 시> 감상 글 중에서
살다 보면 별일도 많지요. 자전거를 타고 가거나 걸어서 시내 쪽으로 갈 때 가끔은 낯선 아이들한테 인사를 받을 때가 있지요. 그것도 공손히 손을 모으고 하는 인사입니다. “나를 아니?” 하고 물으면 모른다고 고개를 흔듭니다. 그래도 아이는 그냥 인사를 합니다. 내가 예전에 교직 생활을 했고 교장 선생을 한 것을 아이가 알아서 그런 걸까? 내가 시인인 것을 알아서 그런 걸까? 아닙니다. 아이는 그냥 사람한테 인사를 한 것입니다. 사람 가운데서도 나이 많은 어른한테 인사를 한 것입니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인사입니까? 이제 우리는 나이 많은 나무나 오래된 강물한테도 인사를 해야 할 일입니다. 그렇게 인사를 하면 나 자신이 밝아지고 아름다워집니다. 먼 곳이 잘 보이고 세상이 갑자기 환해지기도 합니다. 감사한 일입니다
- <나태주, 여름의 일> 감상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