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94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03-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1. 교실로 들어온 직업놀이
1. 직업놀이, 아이들을 성장시키다
2. 왜 직업놀이인가?
3. 직업놀이의 세 가지 원칙
4. 모두의 관심과 흥미를 아우르는 직업 만들기
5. 아이 유형에 따른 직업 정하기
PART2. 교실 속 직업놀이 3단계
01. 자존감을 세워주는, 성장하는 직업놀이
1. 바리스타│2. 마음 의사│3. 비서팀│4. 디자이너│5. 학급 공무원│6. 학급 변리사│7. 학급 은행원│8. 학급 외교관│9. 뽑기 가게 매니저│10. 탐정│11. 학급 군인│12. 환경 지킴이│13. 안전 보안관│14. 칠판 관리사│15. 세스콤│16. 렌트 회사│17. 음악 DJ│18. 정리 컨설턴트│19. 엔지니어│20. 스포츠 선생님│21. 스포츠 기획자│22. 홍보팀│23. 사서 선생님│24. 아이템 관리자│25. 우편 배달원│26. 식물 관리사│27. 공정 심판│28. 고민 상담사
02. 소통과 배려를 배우는, 협력하는 직업놀이
29. 마음 변호사│30. 반 의원│31. 반 청장│32. 세무사(국세청장)│33. 공정 거래 위원장│34. 수학 박사│35. 종이접기 선생님│36. 아나운서│37. 학급 기자│38. 창의 작가
- 혼자만의 직업놀이에서 함께하는 협력놀이로
- 직업별 협력놀이 15가지
03. 도전과 용기를 배우는, 성취하는 직업놀이
39. 파티 플래너│40. 경매사│41. 가수와 댄서
- 다양한 주제로 진행하는 프로젝트 직업놀이
- 프로젝트 직업놀이 10가지
- 프로젝트 직업놀이 운영 방법
PART3. 직업놀이와 학급 운영
1 직업놀이에 적합한 교실 환경 정비하기
2 가정과 연계하여 직업놀이 운영하기
3 직업놀이를 통한 학급 운영 방법
교실 속 직업놀이 Q&A
- 직업놀이 연간 운영 계획안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들이 당당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마음의 힘을 키우고, 친구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법을 배우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통해 주도적인 아이로 성장하는 데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당연히도 교사 혼자만의 분투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친구들의 따뜻한 시선이니까요.
교실 속 직업놀이는 아이 한 명 한 명의 기질과 특성을 고려하여, 교실 속에 아이 맞춤형 직업을 만들어줌으로써 자존감을 높여주는 진로 및 인성 중심의 교육 활동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기질과 성격은 모두 다르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 또한 다양합니다. 그래서 우리 반에는 모두를 만족시킬 60가지의 직업이 있습니다. ‘역할’이 아닌 ‘직업’인 이유는 학급에서 ‘필요한 역할’을 맡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반 아이들에게 꼭 맞는 ‘나만의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해서입니다.
교실 속 직업놀이에서는 단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됨 없이, 모든 아이가 가슴에 용기를 품고 도전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소속감과 자긍심은 물론 서로를 돕는 즐거움과 기쁨,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직업놀이를 경험하면서 아이들은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
- <PART1. 교실로 들어온 직업놀이> 중에서
자존감의 크기가 다른 아이들이 협력을 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학급에서 자존감이 높고 주도적인 아이들과, 아직 단단해지지 않은 자존감을 가진 아이들이 함께 활동하게 되면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이 마음의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함께 협력하는 활동을 진행하기 전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이 함께 어울리며 부대껴도 쉽게 부서지지 않는 단단한 마음의 힘인 자존감을 키울 수 있도록 충분한 격려의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교실 속 직업놀이는 총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단계인 ‘자존감을 세워주는, 성장하는 직업놀이’는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자신을 바로 세우는 단계이며, 자신감과 자존감을 회복하여 내면이 단단해지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내면의 힘을 키운 아이들이 서로 같은 직업을 가진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가 2단계인 ‘소통과 배려를 배우는, 협력하는 직업놀이’입니다. 그리고 소그룹 활동을 통해 협력하는 법을 배운 아이들이 다양한 직업군의 친구들과 함께 새로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가 3단계인 ‘도전과 용기를 배우는, 성취하는 직업놀이’입니다. 3단계에서는 다양한 아이들이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팀을 만들어, 학급의 큰 행사를 스스로 만들어갑니다. 이렇게 3단계의 직업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 해내는 자율의 힘과 자기 주도성을 키우게 됩니다.
- <PART1. 교실로 들어온 직업놀이> 중에서
아이들이 교사의 눈치를 보는 것은 교사의 마음에 드는 결정을 해서 칭찬받기 위함입니다. 주로 지금까지 선생님에게 인정을 받아온 아이들이 이런 행동을 보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너희들 스스로 내린 결정이 중요하고, 어떤 결정을 내릴 때는 선생님이 아닌 반 친구들의 입장에서 친구들이 무엇을 좋아할까 무엇을 싫어할까를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려줘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들은 점점 교사가 아닌 친구들을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친구들을 배려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들의 자율의 힘은 자신이 맡은 역할 안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며,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줄 때 생깁니다.
- <PART2. 교실 속 직업놀이 3단계>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