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상
· ISBN : 9788994707761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한국판 머리말
책 머리에
추천하는 말
1.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1. 1 과학·기술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1. 2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과학·기술
2. 고대의 자연과학
2. 1 과학의 시작
2. 2 수학적 자연관과 플라톤
2. 3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2. 4 알렉산드리아의 과학
3. 기술의 시작
3. 1 기술의 시작과 인류의 기원
3. 2 로마의 기술
3. 3 책에서 본 고대의 기술
4. 과학혁명
4. 1 과학혁명이란 무엇인가?
4. 2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
4. 3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 탄생
4. 4 티코와 케플러
5. 중세의 산업혁명
5. 1 농업혁명
5. 2 동력 이용의 다양화와 성장
5. 3 광산의 개발
5. 4 12세기 르네상스
5. 5 대학의 등장
6. 근대과학이란 무엇인가?
6. 1 과학혁명과 신비사상
6. 2 갈릴레오 갈릴레이
6. 3 실험 관측과 갈릴레오의 과학
6. 4 데카르트와 기계적 철학
6. 5 뉴튼에 의한 역학의 완성
7. 과학의 제도화와 전문직업화
7. 1 왕립학회
7. 2 17세기 영국의 과학과 기술
7. 3 뉴튼과 실험과학
7. 4 프랑스 왕립 과학아카데미
7. 5 과학의 전문직업화
8.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과 기술
8. 1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교육
8. 2 영국의 산업혁명
8. 3 산업혁명과 과학
8. 4 직인에 대한 과학교육
9. 미국식 대량생산 시스템의 탄생
9. 1 런던 만국박람회
9. 2 미국 시스템
9. 3 호환성 제조의 기원
9. 4 포드와 대량생산 시스템의 확립
10. 기술자: 기업 안의 과학자
10. 1 기술자는 어디에 있는가?
10. 2 근대적 기술자의 여명
10. 3 과학과 기술의 융합
10. 4 엔지니어의 용어 변천과 다양성
11. 국가와 과학기술
11. 1 과학활동의 중심 이동
11. 2 베를린대학의 발족
11. 3 독일의 기술자 교육
11. 4 제국 물리공학연구소의 설립
11. 5 카이저 빌헬름 협회
11. 6 미국에서의 과학기술교육과 연구
12. 과학론의 전개
12. 1 과학의 지위 향상 운동
12. 2 과학론의 시작-과학사·과학철학
12. 3 가설연역법
12. 4 논리실증주의의 등장
12. 5 쿤의 패러다임론
12. 6 과학사회학과 상대주의
13. 냉전형 과학기술 연구시스템의 형성
13. 1 전쟁과 과학기술
13. 2 맨해튼 계획의 시작
13. 3 우라늄의 농축
13. 4 부시와 냉전형 과학
13. 5 냉전형 과학기술 연구시스템의 난관
14. 과학기술에 관한 문제의 분출
14. 1 환경오염에서 환경문제로
14. 2 지구의 유한성과 산성비
14. 3 오존층의 파괴
14. 4 지구온난화와 과학적 불확실성
15. 과학기술사회론으로의 길
15. 1 과학과 기술의 융합
15. 2 공학의 시대
15. 3 과학기술에 대한 불안
15. 4 전문가에 대한 불신
15. 5 참여형 의사결정의 모색
15. 6 사회 속의 과학, 사회를 위한 과학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