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91194832195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5-08-19
책 소개
목차
번역에 부쳐서
원저에 대하여
번역하신 분들(가나다순)
서문
제1장 초기의 현미경학자들
제2장 알갱이, 섬유 및 꼬인 원통
제3장 프랑스의 경우
제4장 식물학자들 간의 격렬한 논쟁
제5장 세포에 대한 전형적인 독일 교과서들의 관점
제6장 작은 동물들
제7장 두모르티어와 몰
제8장 세포핵의 발견
제9장 조직학의 요람
제10장 뮐러, 슐라이덴과 슈반
제11장 슈반에 대한 견해
제12장 수정란에서 배아까지
제13장 레마크와 피르호
제14장 세포핵의 분열
제15장 세포막의 필요 불가결함
제16장 염색체
제17장 세포내 유전 결정 인자들
찾아보기
책속에서

"훅은 살아 있는 상태에서 식물체는 즙으로 채워져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코르크의 얇은 단면에서 그가 현미경으로 관찰했던 것이, 세포벽과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세포가 존재했을 세포벽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이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가 코르크의 미세 구멍에 대해 ‘이전에 그것에 대해 언급한 어떠한 작가나 사람을 만난 적이 없기 때문에, 내가 최초로 발견한 또는 최초로 나에게 보인 진정한 현미경적 미세 구멍’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그가 코르크에서 보았던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석화되거나 타버린 나무에서 이전에 관찰했던 구멍과 같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라틴어 cella라는 단어의 일반적인 의미가 작은 공간 또는 작은 방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작은 구멍을 기술하기 위해 ‘cell’이라는 단어를 훅이 사용한 것은 적절한 일이었다."
"1866년 쾨니히그레츠의 전투와 1871년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 제국의 선언 후에 독일인의 우월성은 부각되었다. 그리고 이 기간에 나왔던 독일어로 된 과학 논문은 어떤 때보다 정당하게 평가되지 않았다. 논문에서 인용할 때도 독일 과학자들에 의한 발견은 부각시키고, 프랑스 논문들은 불필요하게 비방을 받거나 모두 삭제되었다. 이와 같이 나라 사이의 상호 적대적인 예가 종종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