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679
· 쪽수 : 626쪽
· 출판일 : 2014-04-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전의 우주적 상징성
제3장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전의 확장되는 목적
제4장 구약 성전의 확장되는 종말론적 목적
제5장 그리스도와 그의 백성 안에서 이루어지는 마지막 성전의 “이미 그러나 아직 아닌” 차원의 성취: 복음서
제6장 사도행전에 나타난 새 성전의 시작
제7장 바울 서신에 나타난 새 성전의 시작
제8장 데살로니가후서 2장에 나타난 성전
제9장 히브리서에 나타난 새 성전의 시작
제10장 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요한계시록의 성전
제11장 에스겔 40-48장의 성전 및 이 성전과 신약성경의 관계
제12장 신학적 결론: 참된 성전인 하나님 임재와 그리스도 임재를 예표하는 유형적 성전
제13장 에덴과 성전에 관한 실제적 성찰: 21세기 교회를 위하여
참고 문헌
현대 저자 색인
성경 색인
고대 문헌 색인
역자 후기
리뷰
책속에서
사실 하나님의 부섭정인 아담과 그의 후손은 그분이 창조하신 세계(창1장)를 사람이 살 만한 공간으로 만듦으로써 그것에 “끝손질”을 가해야 했다. 창조주의 둘째가는 목표는 창조 세계를 인간이 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럼으로써 인간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는 위대한 목적을 이루도록 말이다. 온 땅을 거주 가능한 공간으로 만드는 이 둘째 목표는 이사야 45:18에 의해 확증된다. “하나님이…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드셨으며 그것을 견고하게 하시되 혼돈하게 창조하지 아니하시고 사람이 거주하게 그것을 지으셨으니”(시 115:16도 마찬가지). 하나님의 궁극적인 창조 목적은 그분의 형상을 지니고서 그분의 명령에 순종하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신실한 자들을 통해 온 땅에 걸쳐 자신의 영광을 크게 확장하는 데 있었다. (제3장 중에서)
새 성전의 중요한 본질은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이 영광은 더 이상 유형적인 건축물 안에 갇혀 있지 않고, 그리스도 안에서 온 세상을 향해 숨김없이 계시되었다. 그 이후로 하나님의 영광은 성전과 다름없는 전 세계 교회 안에 성령을 통해 거주한다. 하나님의 계시의 증가는 건축물을 가진 성전에 관한 예언이 원래 사람들의 생각보다 훨씬 더 크게 성취되도록 만들었다. 학개 2:9은 이런 점을 잘 표현한다. “이 성전의 나중 영광이 이전 영광보다 크리라.”
(제8장 중에서)
에스겔 40-48장의 예언에 나오는 성전이 희생제사 제도를 포함한다는 사실은 문자적으로가 아니라 히브리서 10:1-12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에스겔서의 기대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성취되었다고 보는 이유는 구속사적인 시대 전환을 가능케 했던 그리스도의 죽음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사역은 이제 구약의 기대들을 이해하는 중심적인 해석 도구가 된다. 요한계시록 11:1-2에서 교회인 성전은 참된 성전인 그리스도를 모델로 해서 만들어진다. 그리스도처럼 교회도 고통당하고 절망에 사로잡힌 모습을 보일 것이다. 그럼에도 이 모든 것을 통해 하나님의 임재가 그들과 함께 머물 것이요, 영원한 죽음으로 이끄는 온갖 더러움으로부터 그들을 지켜줄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항구적인 임재는 그들의 궁극적인 승리를 보증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그렇게 놀라운 성취는 아니다. 이미 구약 성전의 삼중 구조가, 내부 성소에 있는 하나님의 임재가 마침내는 세상 속으로 밀려들어와 온 세상을 정복할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말이다. 그리스도는 시공(時空)의 창조 세계 안으로 침투해 들어오기 시작하는 하나님의 임재를 의미한다. (제10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