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교과교육론/기타 전공
· ISBN : 9788994955971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2-09-07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시리즈 편집자의 머리말
서문
역자 서문
1 언어 정의하기와 문제 이해하기
2 문법 개념에 대한 도전
3 언어의 역동성(문법하기)
4 세 영역
5 규칙과 이유
6 선택의 문법
7 담화의 문법
8 문법 학습: SLA 연구와 의식 상승에서 얻는 깨달음
9 출력 연습과 산출
10 피드백
11 문법하기 가르치기
참고 문헌
용어 색인
책속에서
이 장에서는 이제까지 정의되어 온 문법 개념에 대해 도전적으로 비판하고자 한다. 이는 형태 학습에 참여하지 않거나 혹은 형태 학습을 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 학생들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언어 교육자들이 생각하는 언어 요소 특히 문법 요소들에 대한 개념을 바꿔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모든 교사들이 문법과 문법 교육에 대해 동일한 생각과 태도를 가졌다는 것은 아니다. 아이젠스타인 엡스워스와 슈위어즈(Eisenstein Ebsworth and Schweers 1997)에 따르면, 모든 교사들이 문법 교육에 대해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 조사에 참여한 교사들은 모두 대학생 수준의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데, 그 중 절반은 푸에르토리코, 절반은 뉴욕 출신이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전통을 존중한다.; 우리가 새로운 개념을 실행하는 데 있어 조심스러운 이유는 그것이 새롭기 때문이다. 문법은 언제나 언어 학습 경험의 일부였다. 그것을 완전히 포기할 이유는 없다. (푸에르토리코 출신 교사, 인터뷰)
나는 문법을 의식적으로 가르치지 않을 것이다. 규칙과 예외들이 너무 많아 학생들이 쉽게 궁지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가르칠 때 주제 단위(thematic units)를 사용한다. 나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을 사용하는 것이 학생들을 언어에 광범위하게 노출시킨다고 느낀다.(뉴욕 출신 교사, 인터뷰)
나는 영어를 주로 암시적으로 가르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명백하지 않거나 혼동될 만한 것이 있으면 미니-레슨(mini-lesson) 즉 규칙과 많은 예가 포함된 명시적 문법 수업으로 보충한다. ..... 이 미니-레슨은 학생들의 불안 수준(anxiety-level)을 낮춘다. 우리 학생들은 명시적으로 배운 적이 있어 그들이 익숙해 하는 방식과 연관시켜 가르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푸에르토리코 출신 교사, 설문지)
본문 중 ‘2. 문법 개념에 대한 도전’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