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8896817272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5-08-25
책 소개
목차
개정판 머리말 | v
초판 머리말 | vi
일러두기 | xvi
00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 홍종선
1. 한국어와 한국어학 | 4
2.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 7
3. 한국어의 특징 | 9
01 음성학 | 신지영
1. 음성의 개념 | 14
2. 발음 기관 | 15
3. 음성 산출 과정 | 18
4. 분류 | 21
자음과 모음: 조음적 분류 21 | 공명음과 장애음: 음향적 분류 27
02 음운론 | 정명숙
1. 음운론의 개념 | 32
2. 국어의 분절음 체계 | 33
3. 국어의 운율 체계 | 37
4. 국어의 음운 규칙 | 44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음운 규칙 45 | 형태론적 조건에 따른 규칙 49
03 형태론 | 황화상
1. 단어와 형태소 | 60
단어 61 | 형태소 62
2. 형태소의 유형 | 63
3. 형태소와 형태, 이형태 교체 | 66
형태소와 형태 66 | 이형태 교체 67 | 기본형 67
4. 형태소 분석 | 68
5. 단어 구조의 분석과 단어의 유형 | 71
단어 구조의 분석: 직접 구성 요소 분석 71 | 단어의 구성 요소: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72 | 단어의 형태론적 유형 74
6. 단어 형성 | 75
합성 75 | 파생 76
04 품사론 | 김원경
1. 품사의 개념 | 85
2. 품사 분류 기준 | 86
3. 국어의 품사 체계 | 87
4. 국어의 품사 | 90
명사 90 | 대명사 92 | 수사 94 | 관형사 96 | 부사 98 | 감탄사 100 | 조사 101 | 동사 105 | 형용사 107
05 어휘론 | 도원영
1. 어휘와 어휘소 | 114
2. 어휘의 체계와 분류 | 115
3. 어휘의 양상 | 120
고어, 이전 말, 신어 121 | 지역 방언 122 | 문어와 구어 122 | 높임말과 낮춤말 123 | 사회 방언 124 | 비속어, 완곡어, 관용 표현 125 | 전문어 126 | 비표준어와 순화 대상어 126
4. 기초 어휘 | 128
기초 어휘 선정의 필요성 128 | 기초 어휘 선정 시 고려 사항 129
5. 사전을 통한 어휘의 탐색 | 132
어휘 사전과 사항 사전 132 | 일언어 사전과 대역사전 133 | 대사전, 중사전, 소사전 134 | 특수 목적용 사전과 부문 사전 135
06 문장의 구성 | 한정한
1. 문장 성분 | 140
문장의 성분과 종류 141
2. 기본 문형 | 143
주어 144 | 서술어 147 | 목적어 150 | 보어 152 | 관형어 153 | 부사어 155 | 독립어 156
07 문장의 종류 | 김의수
1. 문장의 종결 | 162
2. 내포와 접속 | 171
08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 변정민ㆍ유혜원
1. 피동 | 188
피동의 의미와 구성 188 | 다양한 피동법 189
2. 사동 | 193
사동의 의미와 구성 193 | 다양한 사동 표현 194
3. 높임법 | 197
주체 높임법 198 | 객체 높임법 201 | 상대 높임법 201
4. 시제, 상 그리고 양태 | 203
5. 부정 표현 | 207
‘안’ 부정문 208 | ‘못’ 부정문 209 | ‘말다’ 부정문 210
09 의미론 | 최경봉
1. 의미론이란? | 216
2. 의미의 의미 | 219
의미의 정의 219 | 의미의 유형 224
3. 의미의 분석 | 226
4. 의미의 관계 | 230
계열적 의미 관계 230 | 결합적 의미 관계 235
5. 의미의 체계 | 236
6. 의미의 변이 | 241
7. 의미의 해석 | 244
문장의 중의성 245 | 함의와 전제 246
10 화용론 | 이동혁
1. 화용론의 개념 | 252
2. 직시: 대상 지정하기 | 254
3. 화행: 발화의 실천적 기능, 발화의 행위 | 258
4. 함축: 숨겨진 뜻 | 261
11 방언학 | 김혜영ㆍ차준경
1. 방언의 개념과 가치 | 272
방언과 언어 272 | 방언과 표준어 273 | 방언의 가치 276
2. 지역 방언의 특성 | 277
방언 구획 277 |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성 280 | 지역 방언의 어휘적 특성 281 | 지역 방언의 문법적 특성 283
3. 사회 방언의 특성 | 285
계층과 언어 변이 286 | 나이와 언어 변이 289 | 성별과 언어 변이 292
12 우리말의 변화 | 차재은
1. 우리말 표기 방법의 변화 | 300
훈민정음과 우리말 표기 300 | 차자 표기와 그 원리 302
구결, 이두, 향찰 303
2. 말소리의 변화 | 305
말소리의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 305 | 자음 체계의 변화 306
모음 체계의 변화 308 | 초분절 음소의 변화 310
형태 변화와 말소리 변화 311
3. 어휘의 변화 | 313
어휘의 소멸과 생성 313 | 어휘 의미의 변화 314 | 외래 어휘의 차용 315
4. 문법 범주와 문법 형태의 변화 | 316
문법 형태와 문법 범주의 소멸 316 | 문법 형태의 기능 변화 318
13 국어 교육 | 김윤주
1.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 326
2. 국어과 교육과정 | 327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328 |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331
3. 국어과 교과서 | 333
교과서의 위상 333 | 국어 교과서의 기능 334 | 국어 교과서의 활용 336
4.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337
교수?학습 모형 337 | 국어 수업 설계와 실행 339
5. 국어 교육의 변화와 발전 | 341
14 한국어 교육 | 김지혜ㆍ김서형
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범위 | 348
2. 한국어 교육의 목표 및 교육 원리 | 350
3.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353
4.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359
15 국어 정보학 | 최석재ㆍ박병선
1. 국어 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368
컴퓨터와 대화하기 368 | 자연 언어 처리의 발전 370 | 새로운 가능성, SHRDLU 372 | 국어 정보학의 과제 374
2. 언어 자료, 코퍼스 | 376
코퍼스(corpus)의 정의 377 | 코퍼스의 크기 378 | 대표성과 균형성 379 | 코퍼스의 구조 379
3. 형태소 분석 | 382
형태소 분석의 단위 384 |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 386 | 형태소 분석 방법 387
4. 국어 정보학 응용 시스템 | 388
음성 인식 프로그램 388 | 맞춤법 검사기 390 | ‘21세기 세종계획’의 성과물 391
5. 결론 | 392
16 언어 치료 | 이봉원
1. 의사소통 장애와 언어 치료 | 398
의사소통 장애 398 | 언어 치료학의 정의 398
2. 언어 치료학의 영역 | 400
조음 음운 장애 402 | 언어 장애 403 | 음성 장애 406 | 유창성 장애 407 | 청각 장애 408
3. 국어학과 언어 치료 | 408
음성학과 음운론 409 | 형태론과 통사론 410 | 의미론과 화용론 411 | 국어 지식의 이용 412
4. 언어 치료학의 현황과 전망 | 413
용어대조표 | 418
찾아보기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