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

홍종선, 신지영, 정명숙, 황화상, 도원영, 김원경, 한정한, 김의수, 변정민, 유혜원, 최경봉, 이동혁, 김혜영, 차준경, 차재은, 김윤주, 김서형, 김지혜, 최석재, 박병선, 이봉원 (지은이)
한국문화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200원 -10% 960원 16,320원 >

책 이미지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8896817272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5-08-25

책 소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이다. 이번 개정판은 초판에 없던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13장 ‘국어교육’이 추가되었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 v
초판 머리말 | vi
일러두기 | xvi

00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 홍종선
1. 한국어와 한국어학 | 4
2.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 7
3. 한국어의 특징 | 9

01 음성학 | 신지영
1. 음성의 개념 | 14
2. 발음 기관 | 15
3. 음성 산출 과정 | 18
4. 분류 | 21
자음과 모음: 조음적 분류 21 | 공명음과 장애음: 음향적 분류 27

02 음운론 | 정명숙
1. 음운론의 개념 | 32
2. 국어의 분절음 체계 | 33
3. 국어의 운율 체계 | 37
4. 국어의 음운 규칙 | 44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음운 규칙 45 | 형태론적 조건에 따른 규칙 49

03 형태론 | 황화상
1. 단어와 형태소 | 60
단어 61 | 형태소 62
2. 형태소의 유형 | 63
3. 형태소와 형태, 이형태 교체 | 66
형태소와 형태 66 | 이형태 교체 67 | 기본형 67
4. 형태소 분석 | 68
5. 단어 구조의 분석과 단어의 유형 | 71
단어 구조의 분석: 직접 구성 요소 분석 71 | 단어의 구성 요소: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72 | 단어의 형태론적 유형 74
6. 단어 형성 | 75
합성 75 | 파생 76

04 품사론 | 김원경
1. 품사의 개념 | 85
2. 품사 분류 기준 | 86
3. 국어의 품사 체계 | 87
4. 국어의 품사 | 90
명사 90 | 대명사 92 | 수사 94 | 관형사 96 | 부사 98 | 감탄사 100 | 조사 101 | 동사 105 | 형용사 107

05 어휘론 | 도원영
1. 어휘와 어휘소 | 114
2. 어휘의 체계와 분류 | 115
3. 어휘의 양상 | 120
고어, 이전 말, 신어 121 | 지역 방언 122 | 문어와 구어 122 | 높임말과 낮춤말 123 | 사회 방언 124 | 비속어, 완곡어, 관용 표현 125 | 전문어 126 | 비표준어와 순화 대상어 126
4. 기초 어휘 | 128
기초 어휘 선정의 필요성 128 | 기초 어휘 선정 시 고려 사항 129
5. 사전을 통한 어휘의 탐색 | 132
어휘 사전과 사항 사전 132 | 일언어 사전과 대역사전 133 | 대사전, 중사전, 소사전 134 | 특수 목적용 사전과 부문 사전 135

06 문장의 구성 | 한정한
1. 문장 성분 | 140
문장의 성분과 종류 141
2. 기본 문형 | 143
주어 144 | 서술어 147 | 목적어 150 | 보어 152 | 관형어 153 | 부사어 155 | 독립어 156

07 문장의 종류 | 김의수
1. 문장의 종결 | 162
2. 내포와 접속 | 171

08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 변정민ㆍ유혜원
1. 피동 | 188
피동의 의미와 구성 188 | 다양한 피동법 189
2. 사동 | 193
사동의 의미와 구성 193 | 다양한 사동 표현 194
3. 높임법 | 197
주체 높임법 198 | 객체 높임법 201 | 상대 높임법 201
4. 시제, 상 그리고 양태 | 203
5. 부정 표현 | 207
‘안’ 부정문 208 | ‘못’ 부정문 209 | ‘말다’ 부정문 210

09 의미론 | 최경봉
1. 의미론이란? | 216
2. 의미의 의미 | 219
의미의 정의 219 | 의미의 유형 224
3. 의미의 분석 | 226
4. 의미의 관계 | 230
계열적 의미 관계 230 | 결합적 의미 관계 235
5. 의미의 체계 | 236
6. 의미의 변이 | 241
7. 의미의 해석 | 244
문장의 중의성 245 | 함의와 전제 246

10 화용론 | 이동혁
1. 화용론의 개념 | 252
2. 직시: 대상 지정하기 | 254
3. 화행: 발화의 실천적 기능, 발화의 행위 | 258
4. 함축: 숨겨진 뜻 | 261

11 방언학 | 김혜영ㆍ차준경
1. 방언의 개념과 가치 | 272
방언과 언어 272 | 방언과 표준어 273 | 방언의 가치 276
2. 지역 방언의 특성 | 277
방언 구획 277 |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성 280 | 지역 방언의 어휘적 특성 281 | 지역 방언의 문법적 특성 283
3. 사회 방언의 특성 | 285
계층과 언어 변이 286 | 나이와 언어 변이 289 | 성별과 언어 변이 292

12 우리말의 변화 | 차재은
1. 우리말 표기 방법의 변화 | 300
훈민정음과 우리말 표기 300 | 차자 표기와 그 원리 302
구결, 이두, 향찰 303
2. 말소리의 변화 | 305
말소리의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 305 | 자음 체계의 변화 306
모음 체계의 변화 308 | 초분절 음소의 변화 310
형태 변화와 말소리 변화 311
3. 어휘의 변화 | 313
어휘의 소멸과 생성 313 | 어휘 의미의 변화 314 | 외래 어휘의 차용 315
4. 문법 범주와 문법 형태의 변화 | 316
문법 형태와 문법 범주의 소멸 316 | 문법 형태의 기능 변화 318

13 국어 교육 | 김윤주
1.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 326
2. 국어과 교육과정 | 327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328 |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331
3. 국어과 교과서 | 333
교과서의 위상 333 | 국어 교과서의 기능 334 | 국어 교과서의 활용 336
4.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337
교수?학습 모형 337 | 국어 수업 설계와 실행 339
5. 국어 교육의 변화와 발전 | 341

14 한국어 교육 | 김지혜ㆍ김서형
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범위 | 348
2. 한국어 교육의 목표 및 교육 원리 | 350
3.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353
4.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359

15 국어 정보학 | 최석재ㆍ박병선
1. 국어 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368
컴퓨터와 대화하기 368 | 자연 언어 처리의 발전 370 | 새로운 가능성, SHRDLU 372 | 국어 정보학의 과제 374
2. 언어 자료, 코퍼스 | 376
코퍼스(corpus)의 정의 377 | 코퍼스의 크기 378 | 대표성과 균형성 379 | 코퍼스의 구조 379
3. 형태소 분석 | 382
형태소 분석의 단위 384 |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 386 | 형태소 분석 방법 387
4. 국어 정보학 응용 시스템 | 388
음성 인식 프로그램 388 | 맞춤법 검사기 390 | ‘21세기 세종계획’의 성과물 391
5. 결론 | 392

16 언어 치료 | 이봉원
1. 의사소통 장애와 언어 치료 | 398
의사소통 장애 398 | 언어 치료학의 정의 398
2. 언어 치료학의 영역 | 400
조음 음운 장애 402 | 언어 장애 403 | 음성 장애 406 | 유창성 장애 407 | 청각 장애 408
3. 국어학과 언어 치료 | 408
음성학과 음운론 409 | 형태론과 통사론 410 | 의미론과 화용론 411 | 국어 지식의 이용 412
4. 언어 치료학의 현황과 전망 | 413

용어대조표 | 418
찾아보기 | 428

저자소개

유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현재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어학 분야의 주요 학회 이사로 활동하면서 국립국어원과 MBC와 공동으로 〈구어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대표 저서와 논문으로는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공저, 2022)》 , 〈불완전동사에 대한 통사 의미적 특성 연구(2022)〉, 〈‘이/가’와 ‘을/를’ 교체 구문에 대한 연구(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최경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홍종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박사) 전주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위원회 편찬위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국어 체언화 구문의 연구』(1990) 『국어 문법사』(2019)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1,2,3』(공저, 2000) 『Hangeul in the World』(공저, 2008)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 1,2』(공저, 2016) 외 역서 『장벽 이후의 생성문법』(공역, 1993) 『연행가』(공역, 2005) 『만보전서』(공역, 2009) 외 논문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1996) 중세 한국어의 상대높임법 ‘니체’의 설정(2004) 국어 시제 형태소 체계와 그 기능 변이(2008) 외
펼치기
홍종선의 다른 책 >
신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언어의 세계를 탐구하는 언어 탐험가. 언어 탐험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려는 인문학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베이스캠프로, 빛나는 학생들과 함께 언어의 세계를 더 멀리 더 깊이 탐험하고 있는 행복한 언어학자다. 고등학교 때 한글 창제의 원리를 배운 후 국어학자가 되겠다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해 공부를 이어갔다. 박사 과정 수료 즈음 말소리의 세계를 더 깊이 탐구하고자 런던대학교에서 다시 박사 과정을 시작했고, 박사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와서는 음성공학과 언어병리학의 세계로 탐험의 영역을 확장했다. 2000년대 초반, 시민들이 언어에 민감도를 좀더 발휘하기를 바라며 ‘언어감수성’이라는 표현을 처음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사회 곳곳에서 만나는 언어의 문제에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행복을 위해 관계의 관점에서 말하기를 다시 바라봐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파하고자 애쓰고 있다. 다행히 그 노력에 공감하는 많은 사람의 지지와 응원으로 활동 영역을 더욱 넓히는 중이다. 그간의 노력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2020년), 한국아나운서대상 장기범상(2020년), 한국어문기자협회장상(2021년) 등을 수상했고, 현재 국립국어원 국어규범정비위원회 위원, 옥스퍼드 영어사전 자문위원, 대검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책에서 그는 일상의 대화는 물론 직장 내 호칭 문제, 세대 간 소통법, 지양해야 할 차별적 언어 표현 등 좋은 관계를 맺고, 그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행복에 이르는 실용적인 방법을 다양하게 풀어내려고 애썼다. 간절한 마음을 담아 쓴 만큼 더 많은 사람에게 이 책의 목소리가 가 닿아, 대한민국의 언어감수성이 한층 더 높아졌으면 하는 것이 그의 바람이다. 저서로 《언어의 높이뛰기》, 《언어의 줄다리기》, 《한국어 문법 여행》, 《한국어의 말소리》, 《말소리의 이해》 등이 있다.
펼치기
황화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1994)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96)와 박사 학위(2001)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기계번역실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영한?한영 기계번역기 개발에 참여했다.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있었고, 현재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문법 분야의 강의를 하고 있다. E-mail: hshwang@sogang.ac.kr 주요 논저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2001) 한국어 전산 형태론(2004) 국어 조사의 문법(2012) 한국어 표준 문법(2018, 공저)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2010)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2013)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2016) 「접미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2017) 「접사의 지배적 기능에 대하여」(2018)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2021) 등
펼치기
도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어사전, 중국어사전, 테툼어사전 등 평생 사전을 편찬하고 연구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 틈틈이 대학생들에게 유쾌하고 즐거운 언어생활을 위한 강의를 계속해 온 덕분에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다. 여러 전문가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사전》, 《한국어 어휘론》, 《열려라, 말》 등을 썼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교수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