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시나리오/시나리오작법
· ISBN : 9788995031636
· 쪽수 : 298쪽
· 출판일 : 1999-07-16
책 소개
목차
1. <쓴다는 것> 시나리오 창작연습 12강
첫머리에/ <연상 트레이닝> - 먼저 두뇌의 유연체조/ <10편 기획> - 대체 자신은 무엇을 쓰고 싶은 것일까?/ <10장의 플롯 작성> - <행동>을 주축으로 한다/ <`발단부`를 쓴다> - 결론을 제일 앞으로 가져와라/ <전개부 1을 쓴다> - <제 1착수 행동>을 발전시킨다>/ <전개부 2를 쓴다> - 맞은편 강가에서 배를 띄운다(피안법 수법)/ <씬 나누기와 지문> - 시나리오는 발주서이다/ <전개부 3, 4를 쓴다> - 도중에서 지치지 말아라, 정면돌파/ <클라이맥스, 에필로그를 쓴다> - 클라이맥스야말로 `구성`의 핵심이다/ <대사를 쓴다> - 대사는 행동이다/ <주제(테마)란 무엇인가> - 누구(무엇)을 위해 쓰는 것인가/ <시나리오 창작> -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체크 리스트 방식>
2. <배운다는 것> - <명작 시나리오>의 실천적 분석 - 감동의 비밀을 배운다
<사관과 신사>/ <제3의 남자>/ <스팅>/ <망향>
3. <생각한다는 것> - 창작의 심리적인 기술 - 어떻게 하면 시나리오를 쓸 수 있는가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데는 일정한 방법이 필요하다/ 시나리오를 쓰는 데는 우선 두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시나리오를 쓰는 것은 상상적인 환경에서 행동한다는 것/ 창조의 용광로 - 두뇌 속의 절대모순/ 자기 자신과 주인공/ 이것이 시나리오의 `구성`이다/ 영화 <다이하드>의 구성/ `악`이란 무엇인가 - 작가의 윤리/ 기획서/ 비드라마 영상에 대해서
책속에서
시나리오 라이터가 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그것은 뭐니뭐니해도 역시 시나리오를 쓴다는 것 자체가 '인간 수련'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긴 세월을 두고 수련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조금 써 보고서 안 되니까 절망해서 그만 둔다고 하는 그 정도의 근성밖에 안 된다면 애당초 그만 두는 것이 좋다.
절망이란 것은 이 세계(작가의 세계)에 있으면 상상도 못 할 정도로 자주 찾아오는 것이다. 그런 긴 안목과 긴 세월, 즉 인간이 살아간다는 개념, '생존'이라는 근본적인 것에서부터 생각하는 작가가 되겠다고 다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