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9582720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6-09-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후기 박정희 시대 극복을 위하여
제1부 : 아줌마 아저씨의 우리 대한민국
제2부 : 의식의 구조적 문제와 그 혁신
1. 수신과 보신
2. 한과 원한
3. 손맛과 노가다
4. 외부의 힘에 의한 왜곡
제3부 : 관행의 척결과 책임의 개인화
1. 관행의 문제점
2. 책임의 개인화와 50배 벌금의 윤리학
3. 자유에로의 강요와 노동윤리
4. 책임의 인격화
제4부 : 교육 및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그 혁신
1. 교사의 선발과 연수 및 평가의 개혁
2. 교장과 교감의 선발 방법의 혁신
3. 폐교를 구하라
4. 객관식 문제의 폐지와 새로운 평가방법
5. 영어마을의 폐지와 영어교육의 혁신
6. 한자 경시대회의 문제성과 한문교육의 혁신
7. 제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8. 낙제제도의 도입
9. 수준별 수업, 보충수업 및 방과 후 과정의 문제점
10. 졸업 기준의 도입
11. 특목고 폐지와 학교에서의 종교의 자유
12. 대학입시의 문제점
13. 논술의 문제점
14. 학부제와 대학원대학교 및 로스쿨의 문제점
제5부 : 우리 사회의 문제점과 대안들
1. 공무원의 선발과 교육
2. 은행의 문제점
3. 도서관 문화의 문제성
4. 황우석과 우리들 속의 황우석 그리고 대학원생
5. 지역감정과 지역독재
6. 신문고시법과 신문기자
7. 친일 청산 문제
8. 불량식품
9. 주택문제와 건축의 문제성 그리고 청계천
10. 병원 문화와 약국 문화
11. 병역거부와 대체복무
12. 장애인과 지하철
13. 고속열차의 문제점
14. 대학의 역할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교육의 근본적인 혁신이란 교장 등의 시스템보다도 내부로부터 나와야 하고 그것이 교과학습에서 논술시험을 통한 의미 있는 절대평가를 통해서만 가능함을 깨닫고 이것을 기획함으로써 교육개혁을 수행하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오히려 반대로 이러한 것이 성공하기 위해서 모든 교육 관련자들의 내적 의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하게 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목표로 하지 못하는 어떤 교육개혁이나 계획도 공허하다고 할 수 있다. 한 국가의 전체 교육과 시험 체계가 이것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는 것은 그 자체로 심각한 지적인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는 어쩌면 깊은 곳에서 이러한 결핍 혹은 결손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할 수가 있다. -- 본문 113쪽